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양교과목의 분반이 시험 결과에 미칠 영향

        신맹식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New information that is paid attention to gets consolidated into a long-term memory when processed semantically and rehearse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in memory task, an efficacy of retrieval of the consolidated memory can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contexts that are same or different between encoding and retrieval phas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is context-dependent effect would also occur in a general-education practice. Whether college freshmen’s and sophomores’ exam scores can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texts given during performing their exams was presently investigated. Scores for the sum,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essay questions did not differ between same and different context split-groups for each grade group. Implications of this result were interpret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process level model ’, the new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lass learning by students may have been processed more meaningfully than through a typical memory process. Second, the students may have been utilizing the strategy of ‘distributed learning’ that is believed to be more effective in memory retrieval. Furthermore, additional analyses of the data revealed that the freshmen’s scores for the sum and multiple choice question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sophomores’ whereas those for essay questions did not. The current interpretation on this result suggests that a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 balanced general-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주의를 받은 새로운 정보는 단기기억 장치에서 의미 중심으로 처리되고 반복되면 장기기억 의 형태로 응고화된다. 기억과제에서, 응고화된 정보는 인출 정보가 약호화 때의 물리적 맥락과 동일한가와 같은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그 인출의 효율성이 달라진다는 선행의 보고들이 있다. 이런 맥락 의존적인 기억의 특성이 대학의 교양교육 현장에서도 발생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현재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연구에서는 신입생과 2년생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험 성적이 분반에 따라 달리 산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시험 성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 두 학년 집단 모두에서 학습 때(약호화 단계)와 시험 때(인출 단계)의 물리적 맥락이 동일한 분반집단과 그맥락이 다른 분반집단 간에 총점, 객관식 문제 점수 및 주관식 점수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산출되지 못했다. 시험과제에서 기억과제에서보다 새로운 정보가 의미적으로 더 깊게 처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시험과제에서 학생들이 기억인출의 효과가 더 큰 분산학습을 했을 것이라고 보는 추정을 바탕으로 현재의 맥락 상쇄 효과가 해석된다. 한편, 학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추가적인 자료 분석에서, 신입생들의 성적이 2년생들의 경우보다 총점수와 객관식 점수에서 더 좋았으나, 주관식 점수에서는 두 학년 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기억이론에 바탕을 둔 이결과에 대한 현재의 해석은 균형있는 교양 교육에 대한 주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시스템 응고화 이론에 의한 내측 측두엽 손상 환자들의 기억 인출 또는 실패에 대한 역동적인 해석

        신맹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4

        외현적 기억정보는 의미 중심으로 정교하게 처리되면 해마에서 장기기억으로 전환하여 비교적 안정적으로 저장된다. 현대의 기억 연구자들에게 많은 관심의 대상되고 있는 시스템 (재)응고화 이론은 외현적 장기기억의 역동적 특성을 강조한다. 즉, 해마에서 형성된 외현적 장기기억의 흔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대뇌피질로 옮겨가 저장되며, 이 기억이 재활성화되는 경우에는 다시 해마로 복귀해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고 또다시 대뇌피질로 이동함을 반복한다. 이런 이론의 신경심리학적 기초가 되는 자료들은 H.M.을 포함하여 내측 측두엽이 손상된 환자들로부터 얻어졌음에도, 지금까지의 기억에 관한 신경심리학적 연구들은 이들의 각 사례들 간을 서로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역동적인 시스템 응고화 과정에 비견하는 설명이 부족하다. 이에, 현행의 리뷰에서는 해마 의존적인 외현적 기억 특성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에서 각기 별개로 기술되어 온 각 내측 측두엽 손상 환자들의 뇌손상 범위에 따른 다양한 기억 인출 상의 특징들을 계열적으로 묶어 역동적인 시스템 (재)응고화 이론에 대입하여 설명했다. 이로써, 현행의 접근은 이들 뇌손상 환자들의 사례를 재고찰하는 데에 일편의 역동적인 해석의 틀을 제공한다는 데에 주요 의의가 있다. Explicit information for memory is believed to be stored relatively stable after its conversion to a long-term memory(LTM) in the hippocampus, following the organism's elaborative processing of it. Systems (re)consolidation addresses the importance of dynamic properties of explicit LTM, and consequently has attracted modern memory researchers.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engram of the explicit LTM formed in the hippocampus transfers gradually to the cerebral cortex as the memory consolidates. When reactivated, the engram tends to return to the hippocampus, leading to the integration of additional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n is retransmitted up to the cerebral cortex. Although considerable neuropsychological data underlying this theory have been obtained from medial temporal lobe-lesioned patients including H.M., modern memory-related researches based on these cases have little addressed a possible direct serial linkage of extents of their brain damages to ranges of their failure in retrieving explicit memory. Furthermore, the researches have little reflected the patients' various aspects seen during their memory retrieval onto the dynamic flow of the explicit LTM during systems (re)consolidation. Therefore, the present review, regarding the hippocampus-dependent explicit memory, accounted for the patient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memory retrieval depending upon their ranges of brain damage, via serial combination of their discrete individual cases on the basis of the systems (re)consolidation theory. The present approach provides a useful framework in reinterpreting these cases dynamically.

      • KCI등재

        Down Regulating Mu Receptors in the Basolateral Complex of Amygdala Prevents Antinociception in the Rat

        신맹식,데이빗 베일리,세실리아 힐러드,프레드 헬름스테터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0 No.4

        Data from our laboratory indicate that application of the mu agonist DAMGO into the basolateral complex of amygdala (BLA) suppresses tail flick reflexes in anesthetized rats. This DAMGO-induced antinociception can be blocked by pretreatment of the BLA with the nonselective opioid antagonist naltrexone, the mu opioid antagonist β-FNA, or the G protein inhibitor pertussis toxin, suggesting that DAMGO's interaction with G protein-coupled mu receptors in the BLA leads to production of antinociception. The present study employing the gene control strategy was conduct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direct action of DAMGO on the mu receptors in the BLA. Intra-BLA application of antisense oligodeoxynucleotides (ODN) against mu receptors blocked antinociception following intra-BLA injection of DAMGO. The amount of [3H]-DAMGO binding to mu receptors in the amygdala was also reduced in the antisense ODN-pretreated rats. These data confirm the idea that antinociception induced by DAMGO in the BLA results from a direct interaction of DAMGO with mu receptors in the amygdala.

      • KCI등재후보

        계열 교차적인 교양과목에 대한 수강생들의 학문배경에 따른 학업 성취도의 변화 양상 - 심리학 개론을 중심으로

        신맹식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4

        General-education courses are believed to offer a variety of opportunities for whole-person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reality of the Korean college education indicates that students taking cross-tracking general-education courses have a probability of a decline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A) for the courses due to a little of basic knowledge regarding their cross-tracking courses that is presumably attributable to their little chance of intensive academic training on them since their high school days. In the present study, AA was examined in ‘Introduction to Psychology’ course that enables all the registered students to experience contents for both natural sciences (NS) and liberal arts (LA) tracks. The present data analyses targeting scores for midterm exam, final exam and the sum showed that students from the LA track were generally superior to those from the NS track in the AA. Specifically, whereas there exis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for the first half of the course (i.e. midterm exam scores) between the NS versus the LA students, scores for the second half (i.e. final exam scores) were higher in the LA than in the NS students.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nal exam scores between the two academic tracks on almost every academic grade pair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in midterm exam scores between them on any grade pair. Converging lines of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in the overall AA has primarily arisen from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acks in the final exam scores on every academic pair. In addition, the current data showing that AA for NS students is inferior to that for LA students in the final exam scores but not in the midterm exam scores suggest that NS students may have a relati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ontents for the second half of the course that are believed to be more related to LA. Furthermore, a probe of simple effect within the NS students found that students in higher grades were inferior in AA to those in lower grad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not only an intensive and systematic training for college logical thinking should be more effective when provided during students’ lower grades but also steady efforts by higher graded studen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ir logical thinking. On the other hand, the observation that LA students were not inferior in the first part of the course seems to have resulted from an enhancement of their memory consolidation through sufficient further discussions on related topics.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general-education providers should recognize an already existing difference in cross-tracking AA and accordingly establish efficient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fit for students taking cross-tracking general-education courses. Some related desirable strategies are sugges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전인적 교육의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교양교육에서 수강생들이 자신의 계열과는 학문적 배경이 다른 지식을 습득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고등학교 때의 계열 선택성이 대학까지 지속되는 특성이 있는 국내의 교육 시스템을 고려할 때 계열 교차적인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부생들이 해당 과목의 학업 성취도에서 부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연구에서는 수강생들이 자신의 계열은 물론 타계열의 내용까지도 경험할 수 있는 심리학 개론에서의 학업 성취도를 살펴보았다. 현재의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문과계열 수강생들에서 이과계열들에서보다 학업 성취도가 더 높게 나왔다. 이과계열에 더 가까운 전반부의 내용에 대한 학업 성취도(중간고사 점수)에서는 문이과계열 간의 차가 없었지만 문과계열에 더 가까운 후반부에서는 문과계열 수강생들의 성취도(기말고사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기말고사 점수에서는 거의 모든 학년에서 계열차가 있었지만 중간고사 점수에서는 전학년에서 그렇지 않았다. 통합적으로 이들 결과는 계열 간의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의 차가 거의 전학년의 기말고사 점수에서의 차에서 기인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과생들이 전반부에서는 문과생들만큼 성취도가 좋았으나 후반부에서는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결과는 이과생들이 논리적 사고를 더 강조하는 문과계열적인 교과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이과계열 내에서는 중간 및 기말고사 점수에서 고학년생들이 저학년생들보다 학업 성취도가 낮게 나온 결과는 학부생들에게 저학년 때에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논리적 사고에 대한 훈련이 수행되어야 함은 물론 고학년 때에서도 꾸준한 논리적 사고 훈련이 있어야 함을 제안한다. 한편, 전반부의 내용에 대한 이해에서 문과계열생들이 저조하지 않는 이유는 더 심층적이고 충분한 토론을 통해 그들에서 기억 응고화가 촉진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이들 관찰과 해석은 교양교육 제공자가 이미 존재한 국내 대학생들의 계열 교차적인 학업 성취도의 차를 인식하고 타계열 수강생들의 특성에 맞는 교수법과 교육 계획을 설립하고 적용해야 할 것임을 제안한다. 이와 관련하여본연구의 논의에서는 몇 가지의 방안이 제시된다.

      • KCI등재

        뇌의 항유해 작용 기제에 관한 개관: 편도체-뇌간 회로를 중심으로

        신맹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0 No.2

        위협적인 환경에 노출되는 유기체는 흔히 유해자극에 대한 통각민감성을 감소시킨다. 본 리뷰의 목적은 지금까지 축적되어온 신경생물학적, 신경심리학적 증거를 통합하여 편도체-뇌간의 항유해 작용 기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하행성 항유해 작용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뇌 부위는 PAG 및 RVM을 포함하는 뇌간 영역이다. 편도체는 신경해부학 및 기능적으로 이들 뇌간 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공포자극에 의해 편도체 자신이 활성화되면 차례로 이들 뇌간 영역도 활성화되어 결국 통각감소로 이어진다. 항유해 작용과 관련하여 편도체-뇌간 회로의 신경과학적 토대는 주로 아편물질과 비아편물질 간의 상호작용이다. 본 리뷰는 특히 이 뇌 회로에서 항유해 작용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의 활성 수준이 주로 뮤 아편물질에 의해 조절되는 억제성 (GABA) 시냅스와, 글루타민, 뉴로텐신 또는 VIP 등의 흥분성 시냅스 간의 신경통합의 결과에 의해 결정된다고 제안한다. 더 나아가 본 저자는, 설치류의 보다 보편적인 공포반응인 동결반응의 측정으로부터 얻어진 주요한 실험적 관찰에 비추어, 편도체의 항유해 작용 기제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로부터 얻어진 발견의 의의를 논한다. Exposure of organisms to a threatening environment often reduces their pain sensitivity to peripheral nociceptive stimulation. The present review was processed based on a considerable amount of existing neurobiological/psychological evidence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amygdala-brainstem neural mechanisms of the stress-induced antinociception. Brainstem areas including the PAG and the RVM are critical for descending antinociception. The amygdala is neuroanatomically and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se brainstem areas. Stimulation of the amygdala cells following presentation of fear-inducing stimuli to organisms activates the descending antinociceptive system of the brainstem, leading to inhibition of pain. Antinociception is now believed to arise from interactions between opioid and non-opioid synapses in this brain circuitry. Notably, the activity of an antinociceptive cell in this brain circuitry is suggested to be determined by a fine balance, or neural integration between excitatory (i.e., glutamatergic, neurotensinergic, or VIPergic) input and mu-opioid regulated inhibitory (i.e., GABAergic) input onto this cell. The author further discussed some implications of recent observations on amygdala antinociceptive mechanisms, via reflecting them onto findings from studies on other fear responses including freezing in the rodent.

      • 편도체중심핵내 요힘빈과 날록손의미세주입이 신기성으로 유발된 통각감소에 미치는 효과

        신맹식,조소현,김기석,김현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5 No.1

        선행연구에서 동물이 새로운 환경에 노출되면 날록손에 역전되지 않는 통각감소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신기성으로 유발된 통각감소(novelty-induced hypoalgesia)는 세로토닌(serotonin: 5-HT)이나 노어피네프린(norepinephrine: NE)등의 모노아민계에 의해서 매개된다. 본연구에서는 정서/인지적 반응과 항유해적반응을 매개하는 하나의 신경구조물로 알려져 있는 편도체중심핵이 이러한 통각감소를 전달하는 데에 책임있는 영역인지, 그리고 NE의 작용에 아편계가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실험에서는, 먼저 모든 쥐에게 양측 편도체중심핵을 표적으로 안내관을 심는 시술을 실시했다. 1주일 후 이들 쥐를 크게 노출집단과 비노출집단의 2 집단으로 나눈 후 노출집단만 23℃의 열판에서 매일 5분씩 7일간을 노출시켰다. 8일째에 각 집단을 다시 요힘빈집단과 생리식염수집단(요힘빈-노출집단, 요힘빈-빈노출집단, 생리식염수-노출집단 및 생리식염수-비노출집단)으로 분류한 다음 편도체중심핵의 양측에 해당의 각 약물을 미세주입하고 모든 동물을 49℃의 열판에 노출시켜서 뒷발바닥핥기 잠재기를 측정하였다. 각 동물을 열판장치에서 꺼내자마자 동일한 부위에 다시 날록손을 주입하고 앞에서와 동일하게 잠재기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열판기구라는 신기성환경에 의해서 통각감소가 유발되었음은 물론, 알파-2 NE 수용기 길항제인 요힘빈에 의해서는 비노출조건에서만 통각감소가 증가하였으며, 날록손의 경우는 비노출조건의 요힘빈집단에서만 통각감소가 감소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동물이 신기성환경에 접하면 공포와 함께 통각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편도체중심핵내의 NE가 이러한 효과를 매개 및 상승시킴을 의미한다. 그리고, 편도체중심핵에서 비노출조건의 요힘빈하에서만 아편계가 관여한다는 사실은 신기성환경으로 유발된 통각감소에 아편계가 단독으로 개입할 가능성은 미소하며 이런 종류의 통각감소에서 아편계보다는 NE계의 역할이 큼을 시사한다.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novel environment renders animals hypoalgesic and this novelty-induced hypoalgesia(NIHA) is not reversed by naloxone-pretreatment; in fact, the NIHA seems to be mediated through the monoaminergic system such as serotoninergic- and noradrenergic substrate, according to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i.p. injection of those receptor ligands on the NIHA.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not only whether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ACe), which is known as mediating anti-nociceptive response as well as emotional/cognitive ones including fear/anxiety response, is responsible for the NE-mediated NIHA, but also whether the opiate system modulates this kind of NE mediation. In the present experiment, all rats were first given bilateral cannulae-implantations into the ACe. 7 days later, after thes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named 'exposure group(EXP)' and 'non-exposure group(NON)', only the EXP started to be exposed to the non-functional floor of the Hot-Plate Apparatus (at the temperature of 23℃) 5 minutes every day for 7 consecutive days. On the 8th day, after being divided into two subgroups such as yohimbine group and saline group and being supplied with bilaterally-microinjected yohimbine or saline equivalent to its condition into the ACe, each group received a hot-plate(49℃) test. The latency to lick a hind-paw was manually recorded. As soon as picked out of the Apparatus all the rats were re-provided with naloxone, one of opiate receptor antagonists, and were re-tes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mentioned. The result is that the novelty rats produced more hypoalgesia than the adapted rats in the hindpaw-licking latency, and that the bilateral micro-injection of yohimbine, an α(2^-)NE receptor antagonist increaing NE release in the brain-neuron synaptic cleft by blocking the presynaptic autoreceptors, potentiated the hypoalgesia, only in the novelty rats; which indicates that the novelty-induced hypoalgesia appears to be carried through the NE substrate and that the ACe is the chief forebrain site conducting the NE-potentiated novety-induced hypoalgesia. As far as the effect of naloxone injec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injected yohimbine and saline is concerned, the hypoalgesia was reduced only under the condition of novelty yohimbine, neither under that of novelty saline nor under that of non-novelty yohimbine and saline; which implicates the opiate substrast may participate in the hypoalgesia necessarily as the NE-substrate-dependant pattern rather than by itself. Thus, the NE system may play more important role than opiate system in mediating the novelty-induced hypoalgesia.

      • KCI등재

        항유해 작용과 관련된 편도체의 신경회로 개관: 아편계와 카나비노이드계의 작용 원리에 관하여

        신맹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3

        Organisms encountering a threatening environment often express various fear responses including antinociception, or hypoalgesia. Main brian structures or regions responsible for antinociception are the PAG, the RVM and the amygdala that primarily compose the amygdala-brain stem circuitry. Regarding antinociceptive mechanisms of the amygdala that is important for processing negative emotional information, the author has previously suggested a potent neural model mainly focusing on actions by opioid systems. On the other hand, a considerable amount of recent empirical data have shown important contributions of endocannabinoids released in the antinociceptive system including the amygdala to controlling pain in organisms facing environmental stressors. Hence, the present review was processed to reflect this trend of neuropsychology and present a more comprehensive neural model. Important points of the present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ctivation of neurons in the central nucleus of the amygdala (CeA) that project to the brain stem is the critical factor for producing antinociception from the amygdala, and the activity of the CeA cells is determined by a neural integration between inhibitory and excitatory inputs given from the basolateral complex of the amygdala (BLA). Second, these inhibitory and excitatory inputs are currently suggested to be regulated by opioids and endocannabinoids that are both released in the BLA under stress, respectively. Third, the present new neural model of amygdala antinociceptive actions gives comprehensive accounts for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shared by opioids and endocannabinoids, such as functional similarities, synergistic actions and interactions. 스트레스 환경에 직면하는 유기체는 흔히 통각에 대한 민감성의 감소를 포함하여 여러 양상의 공포반응을 나타낸다. 항유해 작용을 담당하는 주요 뇌 부위는 중뇌수도주변회백질, 연수 및 편도체를 포함하는, 이른 바, 편도체-뇌간 회로이다. 부적 정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편도체 내의 항유해 작용 메카니즘과 관련하여, 선행 리뷰에서 본저자는 주로 아편계를 바탕으로 하는 신경회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많은 연구 자료들은 유기체가 위협적인 환경에 노출될 때 편도체를 포함한 항유해계에서 내인성 카나비노이드도 분비되어 통각을 감소시키는 데에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현행의 리뷰는 이런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여 더 포괄적인 설명력을 가진 신경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리뷰의 주요 내용은, 먼저, 편도체의 항유해 작용과 관련하여, 중심핵(CeA) 내의 투사뉴런의 활성화가 항유해 효과의 발생에 결정적인데, 이 뉴런의 활동성은 기저외측핵군(BLA)으로부터 주어지는 억제성 입력과 흥분성 입력 간의 신경통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또한, 억제성 입력에 대한 조절은 BLA에서 분비되는 아편물질이, 그리고 흥분성 입력에 대한 조절은 BLA에서 분비되는 카나비노이드가 담당한다고 보고 있다. 새로 제안된 신경모델은 편도체의 항유해 작용과 관련하여 아편물질과 카나비노이드가 보이는 기능적 유사성과, 양자 간의 상승작용 및 상호작용 등을 포괄하여 설명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행동주의적 분석과 행동신경과학적인 힐빙-힐텍적 분석을 통한 전인적 교양교육의 필요성 제고

        신맹식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4

        Rapid propagation of smartphone to the public has so far provided us with convenience in collecting information and facilitating global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as its side-effect, a considerable number of users of this gadget suffer from compulsive use or addiction (i.e., smartphone addiction, SPA). This maladaptive behavior has already devastated quite large number of college students' life given that this will block their important goal of establishing wholeperson-oriented personality. The present review and discussion were designed to help these students to understand underlying mechanisms of this behavioral addiction and to suggest some reasonable remedies for this disorder. First, based on principles of reinforcement schedule (RS), possible behavioral mechanisms of SPA were figured out. A new shifted pattern in using this gadget was suggested to be from variable schedules to fixed ones to reduce frequencies of their access to it. Next, a holistic methodology combining behavioral neuroscientific with integral approaches, called healbeing-healtechnical approach, was applied for elucidating the mechanisms and suggesting related remedies. For this perspective, given that some brain circuits are easily subjected to impairs to especially prefrontal cortex (PFC) that is responsible for not only execution of normal cognitive actions but also inhibition of maladaptive behavior or emotions including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learning disabilities, etc., this methodology is characterized to use nature-friendly or enriched environments (e.g., forest bathing, life therapies, etc.) in a holistic way to stimulate or strengthen neurons in the PFC. Several possible benefits from these methodologies could be gained for recovering right directions to the wholeperson-centered college education. S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approaches were also discussed. 빠른 정보의 수집력과 전달력의 확보와 폭넓은 인맥의 형성을 강조하는 현대를 사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스마트폰은 삶의 중요한 수단이 되어 있다. 스마트폰이 IT 중심의 글로벌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이런 욕구를 쉽게 충족시켜주는 이점도 있지만 그 이면에는 상당수의 사람들에게 이에 대한 강박적 사용이나 중독을 안겨주었다. 특히 인생의 중요한 전환기에 있는 청소년들과, 청소년 후기 또는 성인초기에 있는 대학생 초년생들에서 스마트폰 중독(SPA)이 높다는 사실은 전인적 인성교육을 표방하는 대학 교양교육에 적잖은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리뷰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이 있는 부적응적인 행동 발생을, 강화계획의 원리 적용을 강조하는 행동주의적 관점과 유기체 내적 과정 및 통합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의 관점에서 강조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이런 부적응적 행동에 대한 예방 및 치유 방안을 이론적으로 모색하였다. 행동주의 관점에서는 부적응적인 스마트폰의 사용을 극복하기 위해서 일정한 사용 시간간격과 사용수를 제한하는 고정 강화계획으로 스마트폰의 사용을 허용하자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심한 뇌 신경회로 상의 변경이 진행되어 전전두피질(PFC)의 기능이 원활히 되지 않는 것으로 믿어지는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행동과학적인 힐빙-힐텍적 관점에서, PFC의 정상적인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친자연적 환경이나 다양한 통합적 환경자극이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연구의 몇 가지의 공헌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입학 특성이 다른 대학생들의 교양심리 강좌에서의 학업 성취도 및 강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직장인 대학생 중심으로

        신맹식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1

        Nowadays, many admission officers in Korean universities or colleges are willing to recruit full-time college students who are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ir full-time occupational duties, and educate them to keep up with current rapidly-changing global socio- and educational-environments. These students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regular full-time students in that they have already had plenty of professional pre-collegiate experience. These students are presumed to hav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regular students in attitude, motivation, interest, ability of memory consolidation, etc. regarding academic learning, readiness and/or participation. However, most instructors teaching academic courses at college tend to utilize same or similar pedagogic strategies over both regular and occupational studen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AA), class satisfaction(CS) and relation between these two over college students who differ in their admission conditions. The present ANOVA on total scor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tiations in the scores among three student groups: Regular student group (RS), mixed student group consisting of regular students and students frequently engaged in their occupational training(MS) and full-time worker student group(FS). That i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RS> MS> FS. In subsequent frequency analyses on students' course evaluation data, most students of the three groups evaluated the instructor's teaching performances positive in critical subunits of the CS: Lecture contribution, lecture communicability, lecture satisfaction, lecture material appropriacy.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the AA, more students favored the instructor in the order of RS > MS > FS in each of these subunits. On the contrary, even though a few students generally evaluated the instructor negative, fewer students were observed in negative scale marks on the Likert’s Scale in the oder of RS < MS < FS on each subunit. Taken together, the CS co-varying with AA differed among the three student groups, depending on their admission conditions; in the order of FS < MS < RS. Notably, the observation that the FS is lowest in both the AA and the CS is thought to have presumably arisen from its least comprehension of the class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lower motivation to learning or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instructor or the course, and insufficiency in memory consolidation presumably combined to relative lack of pre-collegiate academic readiness or time investment to the learning. The author therefore suggests that current undifferentiated pedagogic strategies over the three distinctive admission groups should be changed to differentiated ones that can reflect their different attitude, motivation, interest, etc. It is also suggested that faculty evaluators should provide incentives to instructors responsible for courses for the FS. 현사회의 주요 추세의 하나는 대학 교육 과정을 통하여 직무 경험이 있는 직업인을 전문 지식인으로 재교육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직장인 학생들은 학업과 동시에 자신의 직업적 사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학업에 여러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강의 진행방식을 이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에는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가 일반학생들만큼 보장될 것인가의 질문이 대두한다. 본연구에서는 심리학의 이해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를 반영하는 하나의 지표인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입학 특성에 따라서 존재하는가를 살펴본 후에 강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에서, 정규 입학한 학생반(정규반), 캠퍼스 통합에 의해 이전하였으며 전공 실습이 비교적 많은 학생들로 구성된 학생반(통합반), 그리고 직장인 특별 전형을 통하여 입학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직업적 수행을 해야 하는 학생반(직장인반)의 순서로 학생 집단 간의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후속적으로 학업 성취도에 따른 강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강의 기여도, 강의 전달력, 강의 만족도 그리고 강의 교재 및 자료의 적절성 등의 각 하위 척도에서 세 학생집단들의 대부분은 교수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그 정도는 정규반, 통합반, 직장인반의 서열을 보였다. 반면에, 부정적인 평가에서는 그 정도가 낮기는 하지만 직장인반, 통합반, 정규반의 서열로서 이는 긍정적 평가 순서와는 정반대였다. 요컨대, 입학 특성이 다른 학생 집단에 따라, 즉 정규반, 통합반, 직장인반의 순서로 학업 성취도와 강의 만족도가 낮아졌다. 학습 동기 및 태도, 의미적 이해도, 학업에의 투자 시간 요인들과 관련하여, 직장인반이 본교양 강좌에서 학업 성취도 및 강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이유가 추정되었다. 본논의에서는 효과적인 교수법의 일환으로서 수업 내외의 심도있는 피드백을 통한 수업 이해력을 도모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좌규모의 예와 같은 전제 조건을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