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 상표소송에서 설문조사의 활용 현황 분석

        송재섭(Song, Jaeseop) 세창출판사 2012 창작과 권리 Vol.- No.67

        Given the essential function of a trademark to help consumers identifying the commercial source, consumer recognition may be crucial and important basis in judging many issues in trademark litigation such as likelihood of confusion or secondary meaning. From this point of view, a consumer survey evidence can be used as an actual proof in trademark litigation. In the US, many formats of consumer survey have been used and employed increasingly in trademark litigation in general. Many courts have a standpoint that, while technical deficiencies such as inappropriate universe or methodological flaw in a survey can reduce its weight, they will not prevent it from admission into evidence. And a consumer survey is thought to be able to provide important and persuasive evidence especially on likelihood of confusion or secondary meaning. Unlike the US, it seems that courts are reluctant to admit a consumer survey as probative evidence in trademark litigation in Korea. However, to enhance demonstrativeness, a turnaround approach is needed to admit a consumer survey into evidence, if it sufficiently reflects the actual marketplace conditions or the actual state of mind of members of the appropriate universe. Futhermore, especially in a case where a court cannot gain a confident belief,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ourt takes a leading role in executing a consumer survey.

      • KCI등재

        표준특허에 근거한 권리행사의 한계

        송재섭(Song, Jaeseop) 한국법학원 2014 저스티스 Vol.- No.140

        표준특허권 침해행위에 대한 침해금지청구권과 손해배상청구권의 행사는, 혁신 기술의 사회적 확산과 공유라는 기술표준의 목표에 비추어 볼 때 일정 부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표준특허의 경우 기술의 상용화를 통한 보급과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여타의 통상적인 특허권과 달리 특허권자의 독점적 실시권이 보장될 수 없기 때문이다. 표준특허권자의 침해금지청구권 행사가 허용되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으나, 최근의 국내?외 사례에 비추어 보면 각국의 법원들은 표준특허의 경우 비표준특허에 비해 특허권자의 권리가 제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고 따라서 표준특허권에 근거한 침해금지청구권의 행사를 인정하는 데에 다소 소극적인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FRAND 선언이 있었다는 사정만으로 표준특허권자의 침해금지청구권 행사가 금지된다고 보아야 할 이유는 없으나, 기술의 공유 및 사회적 확산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표준의 본질적 특성에 비추어 표준특허에 근거한 침해금지청구권 행사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표준특허의 경우 독점적 실시권이 인정될 수 없고 제3자의 실시를 당연히 예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표준특허권자에게는 일실이익 상당의 손해액이 인정될 수 없으며 언제나 실시료 상당의 손해액만이 인정될 수 있을 뿐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표준특허권 침해로 인한 실시료 상당의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종래 특허권 침해로 인한 실시료 상당의 손해액을 산정하기 위해 고려하고 있던 Georgia-Pacific 요소를 일부 수정하여 적용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미국의 사례는 우리나라에서도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표준특허권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기술표준제도의 취지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혁신의 유인이라는 측면에서 표준특허권자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중요하다는 점과 함께, 다른 한편으로 특허위협이나 실시료 누적 현상으로 인해 기술표준의 채택이 주저되는 상황을 초래하여서는 안된다는 점을 특히 유념할 필요가 있다.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spread and sharing of innovative technologies, injunction and damage claim due to standard essential patent (“SEP”) infringement should be limited in a certain range.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SEP, for diffusion and utilization through commercial deployment of technologies, patentee’s exclusive right to work a patented invention cannot be guaranteed, unlike non-SEP. There are conflicting theories on whether SEP holder’s injunction claim can be granted or not. However, given recent domestic and foreign cases, it seems many courts form some consensus it is needed to limit SEP holder’s right compared to non-SEP holder’s, and therefore they are reluctant to grant SEP holder’s injunction claim. Generally, there is no reason to interpret SEP holder’s injunction claim should not be granted just because there was FRAND commitment. However, it would be fair to construct SEP-based injunction claim not allowed to be granted in principle because of essential characteristic of standard aimed at social spread and sharing of technologies. Meanwhile, in the case of SEP, patentee’s exclusive right to work a patented invention cannot be credited and others will work it surely, therefore lost-profits damages may not be awarded to SEP holders and only royalty damages may be always awarded. In this regard, to calculate royalty damages for SEP infringement, some U.S. courts began to adapt and modify Georgia-Pacific factors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determine reasonable royalty in traditional patent infringement cases. It seems these U.S. cases can serve as good references. But, in calculating royalty damages for SEP infringement, followings should be especially kept in mind. Sufficient compensation to SEP holders is important in the stand of motivation for innovation to accomplish the aim and purpose of standard system and it should not happen competitors hesitate to adopt a standard due to patent hold-up and royalty stacking.

      • KCI등재

        정치적 비용과 세무계획 : 원자력발전사업자의 사용후 연료 처분 사례

        송재섭 ( Jaseop Song ),최기호 ( Ki Ho Choi )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저널 Vol.27 No.4

        본 사례연구는 원자력발전사업자(이하 “사업자”)의 사용후연료 처분사례를 이용하여 세무계획수립시 정치적 비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사업자의 사용후연료는 원자력발전연료로 사용한 후 발생하는 폐기물로서 실제 그 처분비용은 미래 지출된다. 사업자는 이를 회계상 충당부채로 계상하고 있었는데 충당부채는 2008년말 현재 3조 5,764억원에 달하고 있었다. 그런데 2009년 방사성폐기물관리법(이하 “법”)이 제정되면서 충당부채를 부담금으로 정부기금으로 적립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충당부채가 확정부채로 전환되었고 해당금액 전액을 세무상 손금에 산입할 수 있게 되어 8,655억원의 세금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급격한 법인세와 지방소득세 감소로 인한 과세당국과 지방자치단체의 반발로 인한 세무위험도 예상되었다. 따라서 사업자는 일시손금산입 외에도 여러 대안을 검토하였으나 정책주관부처의 협의가 원활하지 않았고 3조 5,764억원의 충당부채를 2009년 일시에 손금 산입하였다. 사업자의 예상대로 과세당국과 지방자치단체는 즉각 이에 반발하였다. 과세당국은 사업자의 손금을 부인하고 가산세와 함께 세액 전액을 추징하는 과세예고통지를 하였다.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세수 감소에 대응하여 지역자원시설세 세율을 인상하는 방안을 국회에 제출 하였다. 다행스럽게 사업자는 과세예고통지에 대한 적부심에서 승소하였고 지역자원시설세 세율 인상안도 국회로비를 통해서 무산되었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반발이 실현되었다면 사업자는 엄청난 추가적인 세부담을 안게 되었을 것이다. 세무계획에 대한 비조세비용인 정치적 비용은 납세자의 세무의사결정에 대한 정부의 부정적인 대응으로 납세자가 추가적으로 부담하는 비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사례에서의 과세당국과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은 갑작스러운 세수감소로 인한 것이므로 이런 반발이 실현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었던 비용은 정치적 비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사례는 Schoels et al. (2014)의 주장대로 과세당국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을 세무계획의 당사자로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에 심각한 정치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case study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political costs in tax planning using the case of the processing costs of spent nuclear fuel of Nuclear Power Corporation(hereinafter "NPC"). NPC recorded the future processing costs as the provision of financial statements that can not be deducted from taxable income. In 2009, Congress enacted a new law that enforce NPC to pay for the future processing costs to the government fund. By this law, the provision was transformed into defined liability and NPC filed it as deductible expense on tax return. Tax authority and local government were strongly opposed to NPC’s tax plan. The tax authority rejected NPC’s declaration and imposed a penalty and the local government tried to make up for the tax deficit by raising the special property tax. If their attempts were successful, NPC would have incurred tremendous additional taxes that would exceed the tax savings from the tax plan. This potential additional taxes were a political costs against corporate tax planning. Schoels et al. (2014) states that government and tax authority should be considered as partners in tax planning. If so not, the political costs will be incurred as nontax costs. This case illustrates how these political costs occur and why they occur.

      • 상표 희석화 이론의 적용 요건에 관한 검토

        송재섭(Jae-Seop Song) 세창출판사 2007 창작과 권리 Vol.- No.47

        The dilution theory is a doctrine to protect the property value of a mark, that is, it prohibits injury to property value like trademark owner's credit and reputation by use of similar mark to a famous mark. The essence of dilution of a mark is to injure consumers' association with a unique and single mark by use of similar mark to a famous mark. It means that the key hallmarks of dilution was the degree of fame of the plaintiff's mark, the degree of uniqueness of the plaintiff's mark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of the defendant's mark. Likewise, famousness, sameness and uniqueness are key points at the application of the trademark dilution theory o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That means that only the trademarks famous to the whole consumers can be worth protecting, and that only using essentially same mark as such famous trademark that actually injures unique association with consumers and the trademark can be deemed diluting act o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Ultimately, the key is to what extent the dilution theory can be and should be applied. This is a potent legal tool, which must be carefully used as a scalpel, not a sledgehammer. In conclusion, the dilution theory should be constructed and applied to balance the interest of famous mark's owner with that of the public and to harmonize free competition with fair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