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교과 수업 실습 실태

        안은주 ( Ahn Eunju ),송명섭 ( Song Myung Seub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교과 실습 실태를 조사하여 과학과 교육실습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구 시내 10개 초등학교에서 2주간 실습한 D교대 3학년 178명을 대상으로 과학교과에 대한 실습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 학교, 실습 학년에 따라 실습 기회의 차이가 있었다. 특히 1~2학년 실습생들은 과학 수업의 실습 기회가 거의 없었다. 둘째, 심화과정, 실습학교, 실습 학년에 상관없이 수업참관 활동 후 주로 협의회를 통하여 학습한 내용은 탐구활동과 과학개념이었다. 셋째, 심화과정, 실습학교, 실습 학년에 상관없이 지도안 작성을 통한 수업 준비와 수업 운영을 통해서 주로 학습한 내용은 탐구활동과 과학개념이었다. 넷째, 과학교과 실습에서 배운 내용으로 가장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탐구활동, 과학개념, 수업자료 및 수업계획 순으로 많았다. 다섯 째, 과학교과 실습에서 배우고 싶어 하는 내용은 대부분 탐구활동과 수업 운영이었다. 여섯 째, 과학교과 실습에서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내용은 탐구활동, 과학개념, 수업운영 등이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교과 실습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실습 기회가 공평하게 보장되는 제도적 장치와 과학교과 실습을 위한 실습의 목적과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및 지원 체제 등을 포함한 실습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3~4학년 기초탐구기능 비교 분석

        이동승 ( Lee Dong Seung ),송명섭 ( Song Myung Seub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3, 4학년 기초탐구기능의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구성의 문제점을 밝히는데 있다. 기초탐구기능의 수행 방법과 수준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 ‘관찰’기능이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육과정에서 ‘예상’ 기능은 전혀 제시되지 않았으나 제시된 나머지 기초탐구기능들은 비슷한 빈도로 다루어졌다. 교과서의 각 주제에서 다루어지는 ‘측정’과 ‘분류’기능은 다른 기능들에 비해 다루어지는 빈도가 약간 낮았다. 둘째, 3~4학년 모두 ‘기초탐구’단원에서 제시된 기초탐구기능들의 수행방법과 수준은 대체로 그 학년의 주제별 활동에서 다루어지는 수행 방법 및 수준과 일치되지 않았다. 셋째, ‘기초탐구’단원에서의 기초탐구기능들은 3, 4학년 간 수준과 수행 방법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주제별 활동에서는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측정’의 경우 그 수행 수준이 주제별 활동에서는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과서 내의 기초탐구기능의 수준과 방법이 일치되어야하고 그것이 각 주제에 반영된 프로그램으로 개발될 때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과학 통지표 내용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해석

        장원준 ( Jang Won Jun ),송명섭 ( Song Myung Seub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통지표는 학생의 성취에 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이를 학생과 학부모와 같은 교육 당사자에게 분명하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동일한 초등학교 과학 통지표 내용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해석의 일치정도를 분석하여 의사소통 여부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N초등학교 3-6학년 40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는 학생과 학부모가 과학 통지표의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고, 과학 통지표가 학생의 과학 학습 성취를 잘 나타낸다고 응답하였다. 학생과 학부모 또한 대부분 그 내용이 잘 이해되고, 과학 통지표가 학생의 과학 학습 성취를 잘 설명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과학 통지표 내용에 대한 ‘교사-학생’ 또는 ‘교사-학부모’의 해석이 부분적으로 일치하기도 했지만, ‘교사-학생-학부모’의 해석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는 없었다. 이를 통해 현재 과학 교과에 대한 서술형 보고 내용에 대한 해석은 교육 당사자 간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술형 보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서술형 보고 내용의 선정의 절차와 준거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교 과학 통지표 내용에 대한 학생의 해석 유형

        곽민정 ( Kwak Min Jeong ),송명섭 ( Song Myung Seub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서술형 보고는 학생의 학습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학생들이 서술형 보고 내용보다 시험 점수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서술형 보고 형태로 제공되는 현재의 과학 통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통지표 내용을 학생이 어떻게 해석하는지 그 유형을 분석하여 통지표 내용 및 양식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N초등학교 3-6학년 211명이 자신의 과학 통지표를 해석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과학 통지표 내용에 대한 학생의 해석 유형은 총 29가지로 매우 다양하다. 둘째, 학생들이 해석한 과학 통지표의 내용 영역은 ‘종합(수업)(41.4%)’, ‘지식(현상)(16.7%)’, ‘탐구(실험)(10.8%)’ 순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개인별로 해석 유형이 다양하다는 점은 과학 통지표의 내용이 학생에게 잘 전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학 통지표의 내용과 양식의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5~6학년 교과서 실험본의 통합탐구기능 비교 분석

        소정미 ( So Jeong Mi ),송명섭 ( Song Myung Seub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5~6학년군 성취기준으로 ‘기초탐구과정’과 ‘통합탐구과정’이 포함된 활동을 통한 과학탐구능력배양을 제시하였으며, 5~6학년 개정 교과서 실험본은 <통합탐구활동 익히기> 단원을 도입하여 각 단원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과 5~6학년 1학기 교과서 실험본의 통합탐구기능을 비교분석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구성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용성취기준과 탐구활동 진술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에서 통합탐구기능은 ‘실험 하기’와 ‘요인’ 등으로만 진술되어 그 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으며 진술 빈도 또한 매우 낮았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주제 차시에 반영된 통합탐구기능의 일치 정도는 매우 낮았다. 특히 교육과정 내용에서 통합탐구과정을 수행하도록 진술된 각 단원에 대하여 교과서에서는 실험 내용과 방법을 모두 직접 제시해 놓음으로써 대부분 ‘관찰’, ‘예상’, ‘측정’, ‘추리’ 등 기초탐구기능 위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하기 활동으로 통합탐구기능은 ‘변인통제’와 ‘자료변환’만 제시하였다. 셋째, 5~6학년 <통합요소 익히기> 단원에서 제시한 통합탐구기능 수행 내용·절차를 각 단원의 내용과 비교 분석한 결과, 주제를 통해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되어있는 통합탐구기능들이 각 단원에서는 거의 반영되지 않았고 ‘변인통제’와 ‘자료변환’만 분절적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통합요소 익히기> 단원에서 학년별로 다르게 설정한 통합탐구기능의 수준을 각 단원 내용과 비교 분석한 결과, 5학년은 수준이 대체적으로 일치하였으나 성취기준 도달에 필수적인 탐구기능의 수준이 설정된 수준보다 높아 탐구기능 내용을 생략한 경우가 많았다. 6학년은 5학년과 다르게 설정된 통합 탐구기능의 수준차가 드러난 곳이 없었다. 특히 6학년에서 새로 도입한 ‘가설설정’ 기능에 대한 내용과 절차는 대부분 ‘예상’으로 진술되어 있었으며, 꺾은선 그래프를 도입한 ‘자료변환’ 기능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과학탐구능력배양이라는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학생들이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합탐구과정’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보다 구체적인 진술, 그리고 탐구기능 수준과 방법에 있어 교육과정과 교과서간의 일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초등교사의 과학내용지식과 과학실행지식의 평가를 위한 틀 개발

        김봉모 ( Kim Bongmo ),우필희 ( Woo Philhee ),송명섭 ( Song Myung Seub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초등교사는 전문 과학자만큼이나 과학지식을 알아야하지는 않지만, 수업하는 주제에 대해 가르치는데 필요한 과학지식은 갖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하여 초등교사가 어느 정도의 과학지식을 알아야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과학내용지식(SCK;Science Content Knowledge)과 과학실행지식(SPK;Science Practice Knowledge)의 종류와 그 수준에 대한 틀을 개발하여 초등교사의 SCK와 SPK의 평가도구 뿐만 아니라, 예비교사와 교사의 SCK와 SPK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와 이론적 논의를 통해 SCK의 내용 요소와 내용 요소별 문항, 각 문항에 대해 Bloom의 6수준으로 구성되는 틀로서 하나의 모델을 제시한다. 둘째, SPK의 탐구과정(문제진술, 실험설계, 실험, 자료해석, 결론도출)과 각 과정별 필요한 탐구기능, 각 탐구기능에 대해 3가지 수준으로 구성되는 틀을 개발하였다. 셋째, 각 주제별 적절한 교수 활동과 학습 활동을 결정할 수 있는 초등교사의 SCK와 SPK의 내용과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3가지 문제 상황을 개발하였다. 넷째, ‘용해와 용액’ 단원에 개발한 문제 상황을 적용하여 해당 단원의 SCK와 SPK의 내용과 수준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등 과학교사의 수업 실행 전문성의 발달과 학습 틀

        최영 ( Young Choi ),이무상 ( Mu Sang Lee ),송명섭 ( Myung Seub S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1

        본 연구는 중등 과학교사의 수업 실행 전문성의 발달과 학습 틀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필희의 틀(2010)을 수정, 보완하여 중등 과학교사의 수업실행 전문성의 발달과 학습 틀을 개발하였다. 과학수업 전문성 6개 요소, 36개 관점에 대한 발달과 학습 수준은 다섯 수준의 준거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달 틀의 내용타당도는 96.4%, 신뢰도는 .96이다. 학습 틀의 내용타당도는 96.0%, 신뢰도는 .95이었다. 중등 과학교사 203명의 수업 실행 전문성의 발달수준과 학습 수준은 2.21과 2.95이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는 전문성의 발달수준과 학습 수준 모두 4 수준 미만의 낮은 상태에 있었다. 발달 수준은 교사의 성별, 경력, 학교, 전공과목, 학력에 따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학습 수준은 경력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 수준과 학습 수준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틀은 중등 과학교사 개인이나 학교 단위에서 교사의 수업 실행 전문성의 발달 수준과 학습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결정이나 계획의 수립 및 그 개선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framework for progress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The progress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modified Pilhee Woo`s framework(2010), and in the learning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former included 6 elements and 36 aspects. The progression of each aspect was composed of five level criteria. The content validity is 96.4% and the reliability is .96. The latter was composed of another five level criteria. The content validity is 96.0% and the reliability is .95. Internet-online test and th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203 secondary science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mean level of the progress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 were 2.21 and 2.95. ANOVA,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ces by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e level of the progress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lmost all of teachers`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the progress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the progression in the learning.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요구

        최영 ( Young Choi ),이무상 ( Mu Sang Lee ),송명섭 ( Myung Seub S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교사의 수업 실행 전문성의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영 등의 틀(2010)을 보완하여 중학교 과학교사의 수업실행 전문성의 개발에 대한 교사교육의 요구를 조사하는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과학수업 전문성 6요소, 36관점에 대한 발달과 학습 수준, 교사교육의 필요도와 우선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대구지역 중학교 과학교사 203명의 수업 실행 전문성의 발달 수준과 학습 수준은 2.45와 3.12이었다. 발달 수준과 학습 수준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의 필요도는 3.45, 3.16이었고, 교사교육의 우선 요구도가 가장 높은 요소는 `수업 계획`이었고 관점은 각각 `개인차를 고려한 계획`과 `학습 활동 계획`이었다. 교사교육의 필요도와 우선 요구도는 교사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경력이 적은 교사들과 지구과학 전공 교사들의 필요도와 우선 요구도가 높았다. 이상과 같은 교사교육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요구는 수업 실행 전문성의 요소와 관점별로 발달 수준과 학습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need of in-service educat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by Young Choi`s framework(2010) to survey the level of the progress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 the degree of in-service education necessity, and the degree of priority of need.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03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 Daegu. The mean level of the progress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 were 2.45 and 3.15. The degrees of in-service education necessity to improve level of the progress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 was 3.45, and 3.16. The element and aspect highest degree of priority of need were `element 1. planning coherent sequences of lessons` and `aspect 1-4. planning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aspect 1-2. planning learning activity`. The degree of in-service education necessity and the degree of priority of need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lmost all of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