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촌지 수수의 법적 문제

        손희권(Sohn Heekw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진수희 의원이 대표발의한 학교촌지 수수의 예방 등에 관한 특별법안을 중심으로 학교촌지 수수의 법적 문제를 헌법적합성의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촌지예방법안에 제시된 실현 수단은 예방보다는 근절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학교촌지의 원인 규명 및 이에 걸맞는 대안 제시가 미흡하며 학교행정가와 교원의 배우자의 의무에 대하여 애매한 입장을 취하고 있고 학교촌지의 범위를 학교 내에서 주고받는 촌지로 한정함으로서 학교 밖에서 주고받는 촌지에 대한 제재가 이 법안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과태료가 지나치게 많고 자진신고 시에 이를 면제시켜주고 있으며 학교촌지대책특별위원회와 교직복무심의위원회의 구성과 기능이 중복되기 때문에 방법의 적절성 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둘째, 학교촌지예방법안에서는 학교촌지의 성격, 수수 형태 및 과정, 용도, 결과 등을 고려하지 아니한 채 일률적으로 학교촌지 가액의 50배에 달하는 과태료를 부과함으로서 본질적으로 다른 것을 자의적으로 같게 취급하였기 때문에 평등의 원칙에 위반된다. 셋째, 학교촌지예방법안에서 제시한 학교촌지 근절방안들은 행정제재에 해당되므로 이중 처벌금지의 원칙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끝으로, 학교촌지예방법안에 규정된 학교촌지의 개념이 너무 광범위하고 교원의 개념도 애매하므로 명확성의 원칙에 위반된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legal issues in giving and receiving the trifle school present by discuss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related legisl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is legislation can be justified because of its harmony with public interest. However, this legislation cannot meet the method prolong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focuses on the eradication of the trifle school present rather than its prevention unlike the name of this legislation. Second, it does not consider the root causes of this present nor offer the appropriate measurements for preventing this trifle school present on the basis of these causes. Third, it is very unclear whether this legislation imposes the duty for preventing and eradicating the trifle school present on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 educator's spouses. Fourth, it is impossible to punish the trifle school present outside the school because this legislation restricts the scope of this presento within the school. Fifth, the negligence fine is too excessive and this fine can be exempted in the case of the voluntary reporting. Last, the organization and roles of policy board against the trifle school present are overlapped with those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on the teacher's work. Second, the legislation on the prevention of the trifle school present violates the principle of equal protection because it imposes the same negligence fine without considering the nature, process, usage, and outcomes of the trifle school present. Third, this legislation does not violate the double jeopardy principle since its punishment is not criminal but administrative. Finally, the legislation on the prevention of the trifle school present violates the principle of the definiteness for two reasons. First, the scope of the trifle school present is overbroad by including the present for thanks and on the basis of the social custom. Also, it is vague whether the educators in the legislation are the same as the teachers and whether they include their spous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개정 사학법상의 개방형 이사제의 헌법적 검토

        손희권(Sohn Hee-kw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사학법상의 개방형 이사제의 헌법적합성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이사제는 이사회의 구성방식에 관한 것이고 출연 재산의 변동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학교법인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둘째, 개방형 이사제는 종립 학교의 건학이념 구현에 장애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학교법인의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고 교육제도법률주의에 따라 이사회 구성방식 등 교육제도와 그 운영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규정할 수 있으며 개방형 이사제가 모든 사립학교에 적용되므로 종교적 중립성을 근간으로 하는 정교분리의 원칙에 위반되지 않는다. 셋째, 개방형 이사제는 학교구성원의 참여와 자치를 고취시키기 때문에 교육의 자주성 및 대학의 자율성에 위반되지 않는다. 끝으로, 대학평의원회의 성격에서 국ㆍ공립대학과 사립대학 간에 차별이 발생하고 이는 자의적 차별로서 기본권 제한요건의 형식 요건, 방법 요건, 그리고 내용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개방형 이사제는 학교법인의 평등권을 침해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recommended director system in the reauthorized Private School Act. This system means that the school board or the college council shall recommend more than a quarter of the number of the directors double and then the board of trustee shall select the director among them. If this recommendation shall not be finished within thirty days or in the case of the new school legal person, the government shall recommend the director. If the school legal person establishes or operates more than two schools each other, each school board or the college council shall discuss the recommendation of the director. Finally, the recommendation of and the method for the selection of the recommended director shall be regulated i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reauthorized Private School Decree.<br/>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mmended director system does not violate the school legal person s property righ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school legal person is the purposive property legal person. Further, the recommended director system is related to how to constitute the board of trustee. Finally, this system does not cause the change of the property that the school establisher donates.<br/> Second, the recommended director system does not violate the school legal<br/> person' s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and propaganda because it does not this person from achieving the school ethos by permitting the regulation of the recommendation of and the method for the selection of the recommended director i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reauthorized Private School Decree and if one considers the requirements for the voting rights in the board of trustee. Also, this system does not violate the Establishment Claus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according to the legalism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it is possible to regulate the fundamental parts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ts operation, the Congress has wide latitude in deciding what are these parts, and how to constitute the board of trustee is related to these parts. Further, the recommended director system does not violate the religious neutrality because it is applied to both the religious school and the non-religious one and it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religious school.<br/> Third, the recommended director system does not violate educational autonomy and college autonomy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encourages the participation of the school members i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Also, it does not prohibit the school legal person from achieving the school ethos.<br/> Finally, the recommended director system violates the Equal Protection Clause. First, there is an arbitrary discrimination in the nature of the college council between the public university and the private one. Also, this discrimination does not satisfy the form, measurement, and content prolongs.

      • KCI등재

        교원의 교육권의 법리

        손희권(Sohn Heekw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의 교육권의 법리를 헌법재판소, 교육법학자, 헌법학자 등의 견해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첫째, 교원의 교육권의 근거로 자연법, 실정법, 헌법, 법률, 조리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헌법 제31조 제4항에 규정된 교육의 자주성 및 초ㆍ중등교육법 제20조에 명시된 교직원의 임무에서 그 근거를 구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교원의 교육권의 개념으로 수업권, 교육의 자유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수업의 개념에 비추어볼 때 수업권의 개념에 교원의 학교운영에의 참여까지 포함시키는 것은 무리이다. 셋째, 교육의 개념에 비추어 볼 때, 교원의 교육권의 내용으로 교육내용, 교육방법 그리고 학생 평가ㆍ징계ㆍ지도권이 포함될 수 있으나, 교육정책까지 포함시키는 것은 그 범위를 과도하게 확장하는 것이고, 교육조건 정비 요구의 주체를 고려할 때, 교육조건정비요구권은 교원의 교육권의 내용으로서는 부적절하다. 넷째, 교원의 교육권의 성격에 관하여 권한, 권리, 기본권 등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으나, 권리주체의 법리 및 임무의 개념에 비추어볼 때 권한으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섯째, 교원의 교육권의 한계 및 제한으로 헌법적, 법률적, 기타 한계 및 제한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교원의 교육권의 근거 및 성격과 교육의 자주성ㆍ전문성의 개념을 고려할 때, 헌법적 한계 및 제한 중 기본권 제한요건, 표현의 자유의 제한 요건, 학문의 자유의 한계, 교육의 자주성ㆍ전문성은 교원의 교육권의 헌법적 한계 및 제한으로서 부적절하며, 기타 한계 및 제한 중 국가와 사회공동체의 이념과 윤리, 조직상의 요청이 큰 경우, 교육내용의 객관성과 보편성은 그 다의성 및 광범성 때문에 명확성의 원칙에 위반될 가능성이 있다. 끝으로, 교원의 교육권은 학생의 교육권 보장의 극대화 및 교육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학생, 보호자 그리고 국가의 교육권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학교의 설립ㆍ경영자의 교육권과의 관계는 학교의 설립ㆍ경영주체에 따라 달리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legal theory of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critical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s of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is the educational autonomy stipulated in Article 31 Section 4 of the Constitution and the educator's jobs stipulated in Article 20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Second, the power over instruction and the educational freedom have been considered as the concept of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However, the power over instruction and the educational freedom are similar. Also,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operation is the inappropriate concept of the power over instruction, considering the concept of instruction. Third, the contents of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can include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s and student evaluation, sanction and guidance, considering the concept of education. However, education policy is beyond the contents of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Also, the right to demand the prepar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cannot be included in one of these contents, considering the subject of this right. Fourth, the nature of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is not right nor fundamental rights but power, considering the legal theory of the subject of the right and the concept of the job. Fifth, the constitutional, legal and other requirements are considered as the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of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restricting the fundamental rights, the special requirements for restricting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limitations of academic freedom are not appropriate restri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considering the nature of this power. Also, th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are inappropriate as these restrictions and limitations, considering these concepts. Finally, the social ideology and ethics, the big organizational requirements and the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of curriculum can violate the principle of the definiteness, because of their broadness and ambiguity.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and the guardian's right to education and the state power ov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erms of the maximum assurance of the student's right to education and the embodiment of the educational value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power over education and the school foundation's right to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differently by the establisher and manager of the school.

      • KCI등재

        직업선택의 자유의 관점에서의 청소년 유해업소 규제에 관찬 헌재 판례의 비판고찰

        손희권 ( Hee Kwon Sohn ) 한국청소년학회 2002 청소년학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선택의 자유의 관점에서 청소년 유해업소 규제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우선 청소년 유해업소의 규제 중 시행규칙에 의한 규제는 직업선택의 자유의 형식 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청소년 유해업소의 규제의 목적은 청소년 권리의 침해 가능성과 그 이유의 자의적 해석 가능성으로 인해 직업선택의 자유제한의 목적 요건도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끝으로, 청소년 유해업소의 규제는 직업선택의 자유의 본질적 내용 침해금지 요건은 충족시킬 수 있었으나 이러한 규제가입법목적을 달성하는데 적합하고 효과적이라고 보기 어렵고 이러한 규제 이외의 방법으로도 청소년 보호, 청소년의 건전 육성, 미풍양속의 보전, 청소년 비행의 예방 등과 같은 입법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입법목적의 공익성이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청소년 유해업소의 규제가 청소년 유해업소 경영자들의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보다 우월한 공익을 지니고 있다고 보기도 어려우므로 청소년 유해업소의 규제는 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반된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regulation of the places harmful to youth in terms of the freedom of vocational choice. To date the court ruled only 2 cases out of 7 as unconstitutional. However, this ruling has three weak points. First, some cases on the regulation of the places harmful to youth cannot meet the form prolong for restricting the freedom of vocational choice, because this regulation in these cases were based on the rules, not on the acts. Further, this regulation cannot satisfy the purpose prolong for restricting the freedom of vocational choice, since its purpose has a possibility of infringing on youth right unreasonably and of interpreting the meaning arbitrarily. finally, the regulation of the places harmful to youth cannot pass the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because this regulation does not seem to be effective and appropriate means for achieving the legislative purpose, there is less restrictive means than the regulation of the places harmful to youth, and this regulation does not have compelling public interest.

      • KCI등재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헌법적 쟁점 분석

        손희권 ( Hee Kwon Sohn ) 대한교육법학회 2013 敎育 法學 硏究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헌법적 쟁점들을 분석하는 것이 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고찰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자유학기제는 모든 학교에서 희망하는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그들이 선택하는 시기에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의무교육의 무상 범위에 비추어볼 때 자유학기제를 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할 경우 그 비용은 무상으로 하여야 하나, 자유학기제의 실시 여부를 단위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고, 자유학기제를 정규 교과 외 교육과정으로 운영할 경우 유상으로 할 수 있으나 저소득층 자녀들의 자유학기제에의 참여 기회를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용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의 기회 균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농어촌 및 도서 벽지 지역에 자유학기제의 실시를 위한 교육조건을 정비하여야 한다. 끝으로, 일반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문성 신장 노력이 필요하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constitutional issues arising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assure the student`s right to education, the free semester system should be implementedfor only the students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is system in all schools during the semester that they want. Second, if the free semester system will be implemented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its cost should be free. In this case if the school, not the student, will choose whether this system will be implemented, the equity issue should be considered. If the free semester system will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extra-curriculum, its cost should not necessarily be free. To assure the students from the families with the low socio-economic statu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is syste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upport the cost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is semester. Third, to assure th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rural and urban areas for implemen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Last, there should be some governmental actions for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of both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career guidance teachers.

      • KCI등재

        교육에서의 장애 차별에 관한 국가인권위원회 결정의 의의와 한계

        손희권(Sohn, Hee-Kw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敎育問題硏究 Vol.0 No.3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에서의 장애 차별에 관한 국가인권위원회 결정의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인권위원회는 장애의 개념을 제시하지 아니하였다. 둘째,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에는 장애인에 관한 3가지 관점이 공존하였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장애를 약점으로 간주함으로서 장애인에 대한 낙인 효과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고, 정당한 편의 제공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장애인이 어느 정도로 사회에 참여해야만 하는지를 명료화하는 데에 실패하였다. 셋째, 국가인권위원회는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 제4항에 규정된 차별의 개념을 차용하거나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는 장애 차별의 법률적 정의를 반영하고, 최소한 장애 차별을 감소시키며, 장애인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의가 있다. 반면에 국가인권위원회는 용어상의 혼란을 초래하였고, 적절한 교육과 동등한 교육 사이의 상충가능성을 간과하였으며, 적절한 교육의 개념과 판단기준을 명료화하지 못하였고, 통합교육의 범위를 축소한 한계도 있다. 끝으로, 국가인권위원회는 장애 차별의 판단기준으로 주로 합리적인 이유나 과도한 부담이나 현저히 곤란한 사정 등이 있는 경우를 사용하였다. 합리적인 이유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는 진정직업자격요건, 과도한 부담이나 현저히 곤란한 사정 등이 있는 경우, 수평적⋅수직적 평등 개념, 그리고 평가 기준의 공정성이라는 기준을 사용하였다. 과도한 부담이나 현저히 곤란한 사정 등이 있는 경우를 결정하기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상황에서 개별적인 평가에 근거하여 판단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는 장애인의 관점을 고려하고,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을 강조하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반면에 국가인권위원회는 자신의 결정이 비장애인에게 미칠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장애인에 대한 어떤 편견이 금지되는지 모호하게 하였으며, 장애의 유형 및 정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s decisions on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disability in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ission did not suggest the definitions of disability. Second, three perspectives regarding the disabled were coexisted in the Commission's decisions. They could cause the labelling effect on the disabled and failed to clarify how much participation in society is necessary to meet reasonable accommodation. Third, The Commission applied the definition of discrimination stipulated Article 2 Sect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ct to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on the basis of disability i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specific cases on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disability in education. They could reflect the legal definitions of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disability, could contribute to at least reduce such discrimination,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However, the Commission could cause confusion which terminology should be used, showed the conflicting view regarding equal and appropriate education, failed to clarify the definitions of and the standards for appropriate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narrowed the scope of inclusive education. Last, the Commission judged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disability in education on the basis of rational reasons and undue hardship. To interpret rational reasons, the Commission considered the bona fide occupational qualifications, undue hardship,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ncept of equity, and the fairness of the criterion for evaluation. To decide undue hardship, the Commission argued for the necessity for the individualized evaluation in the specific and individualized situation. They considered the viewpoint of the disabled and implied the parental choice of the school. However, the Commission failed to consider the effects of its decisions on the non-disabled sufficiently, made which prejudice against the disabled was prohibited ambiguous and were lacking in the consideration of the type and severity of disability.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 두발 규제의 헌법적 검토

        손희권(Sohn Heekw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ㆍ고등학생 두발 규제의 위헌성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국가인권위원회 결정 분석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인권위원회는 두발 자유를 개성의 자유로운 발현권이나 자기결정권 및 사생활의 자유 등 기본권으로 인정하고 교육현장의 질서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두발 규제를 하되 그 내용과 절차는 학생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 과정을 거쳐 결정하고 학생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강제 이발을 금지하도록 권고하였다. 둘째, 두발 규제는 머리 길이, 모양, 색깔 등에 대한 학생의 선택에 대하여 제약을 가하고 두발은 상징적 표현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기본권 제한요건 중형식 요건과 방법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두발 규제를 정당화할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를 발견하기 힘들며 이중기준의 원칙 및 명백ㆍ현존위험의 원칙에도 위반되므로 학생의 자기결정권, 사생활의 자유, 그리고 의사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 끝으로, 강제 이발은 학생의 인격 및 신체를 훼손하고 기본권 제한요건 중 형식 요건, 목적 요건, 그리고 내용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학생의 인격권 및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를 침해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regul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ir style is constitutional. The Research method is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Korea's decision on this regulation.<br/>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ission recognizes the student's free hair style as his or her fundamental rights. Further, the commission recommends to make a minimum regulation of the student's hair style only for the purpose of maintenance of school order. Moreover, it recommends to make decisions on the content of and the procedure for this regulation under the condition of the protection of his or her right to self-determination. Finally, it prohibits the teacher from cutting his or her hair in coercive and depersonalized ways.<br/> I think that the regul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ir style violates his or her right to self-determination, privacy and freedom of express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restricts the student's choice of his or her hair style. Second, the method of the symbolic expression, this restriction cannot meet the form and method prolongs for restricting the fundamental rights. Thir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public morals and social ethics to justify the regulation of the student's hair style. Last, this regulation violates the dual criterion principle and the clear danger principle.<br/> Also, I think that the coercive and depersonalized hair cutting violates the student's right to personality and his or her right not to freedom of the body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is cutting causes the loss of his or personality and body against his or her will. Also, this depersonalized hair cutting cannot satisfy the form, purpose and content prolongs for restricting the fundamental rights.

      • KCI등재

        제18대 국회에서 발의된 폴리페서 규제법안들의 헌법적합성 검토

        손희권(Sohn, Hee-Kw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본 연구의 목적은 제18대 국회에서 발의된 폴리페서 규제법안들의 헌법적합성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 법안들은 대학교원들의 정치 참여에 대한 규제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을 뿐, 복직에 관한 규제는 간과하였다. 둘째, 사직 대상을 국ㆍ공립대학교원으로 제한하는 것, 사직 사유를 공직 선거의 후보자, 국회의원, 정무직공무원 등으로 제한하는 것, 공무원 및 언론인과 달리 국⋅공립대학교원에게만 휴직을 허용하는 것, 그리고 휴직 회수를 제한하는 것은 평등원칙에 위반되지만, 사직 시기를 임기개시일 후 1년 이내로 하는 것은 평등원칙에 위반되지 아니 한다. 끝으로, 휴직 회수의 제한 및 사직 시기를 당선 확정 후로 할 경우 사직의 의무화는 직업선 택의 자유 및 공무담임권을 침해하지 아니 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whether the bills for regulating the polifessor are constitutiona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ills focused only on the regulation of professor's political participation instead of that of resuming the professor after finishing the office. It seemed to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se bills emphasized the resignment of the polifessor instead of the temporary rest of the professor. Second, considering the infringement of the student's right to learn, the restriction of the subject of the resignment for beginning the office to the professor at the public university, the restriction of the reasons for the resignment of the professor to the candidate for the public officer, the Congressman, and the political civil service, the permission of the temporary rest to only the professor at public university, and the restriction of the frequency of the temporary rest of the professor violate the equal protection clause. However, the restriction of the time of the resignment of the professor to within one year after beginning the office does not violate this clause. Last, considering the extent of the infringement of the student's right to learn, the mandatory resignment of the professor after beginning the office does not violate the polifessor's freedom of vocational choice and public service.

      • KCI등재

        외국의 학교 내,외 활동 중 사고에 관한 법률이 한국교육법에 주는 시사점 분석

        손희권 ( Heekwon Sohn ),이성기 ( Sunggi Lee ),김숙이 ( Sookyi Kim ) 대한교육법학회 2016 敎育 法學 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외국의 학교 내ㆍ외 활동 중 사고에관한 법률이 한국 교육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독일을 제외한 세 개 국가에서 중앙 정부 수준에서 학교사고에 관한 법률이 있었다. 둘째, 학교사고법을 통합하여 규정한 국가와 분리하여 규정한국가로 구분되었으며, 통합의 대상도 학교폭력법과 학교안전법 뿐만 아니라 학교보건법도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셋째, 학교사고를 교육법에만 규정하는 국가와 교육법과 재난안전법에 모두 규정하는 국가로 구분되었다. 끝으로, 4개국 모두 학교폭력중 괴롭힘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고, 학교폭력에 관한 관점은 학교안전과 인권으로 구분되었으며, 학교폭력 및 학교사고의 예방에 초점을 맞추었고, 독일과 일본에서만 학교사고에 대한 보상을 법률에 규정하였는데 공제회제도와 사회보험제도로 구분되었다. 앞으로 학교안전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토대 위에 학교안전 관련 법률들을 총체적으로 검토하여 통합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 법률들과 재난안전법들과의관계를 명료화하고, 학교사고에 대한 보상을 공제회와 사회보험 중 어떤 형태로 힐것인 지에 대한 향후 논의와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acts on school accident in U. S. A., U. K., German and Japan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revising theses acts in South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e acts on school accident in the level of the central government except for German. Second, whether the act on school violence and the act on school safety are separate or not is divided. There is the case on the act linking between school health and school safety. Third, whether school accident is regulated in only the education law is divided. There is the case regarding school safety as one of workplace safety. Fourth, the focus of school violence is school bullying and its prevention and procedures. Whether school violence is on school safety or human rights is divided. Last, the focus of school safety is the prevention of school accident. Whether the compensation system for school accident is regulated in the acts is divid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 and scope of school violence, school safety and school health and their relationship for debating the unification of the acts on school accident, to make up the provisions on the prevention of school accident and to discuss which compensation system for school accident should be purs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