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우 교육에서의 과정 중심의 신체 훈련 지도방법 연구

        손봉희 ( Son Bong-hee ) 한국연극교육학회 2020 연극교육연구 Vol.37 No.-

        This thesis interrogates the term, a performer’s ‘bodily-based training’ in reconsidering and articulating its purpose and practical meaning which directly link to the significance of a performer’s bodily-based discipline and the principle of acting. This research begins by retracing the place and role of those student-actors’ body within which s/he has forget the fact that s/he has a body as s/he has mainly engaged in finding, pursuing, and/or copying a specific answer or result rather than understanding and inhabiting the value and origin of a specific training source(s) through his/her studio work. Arming this point of view and reflecting the fundamental research question, ‘why we do bodily training’, this thesis discusses some problematic issues from a perspective of the gap between a performer’s body and a role/character. Exploring the purpose and the significance of bodily-based discipline gives us not only better insight into how the performer work on his/her body as oneness, but also what the essential relationship is between a trainer and trainee and/or a teacher and a student-actor. The consequences of this research finding is that the process of training/teaching and the principle of acting must be demystified through a performer’s bodily experiences by interrogating what his/her body would work in learning and adapting a specific training source(s). This thesis then moves on the necessity of a process-based approach in order to find and develop an alternative way. Particularly, a Japanese drama teacher, Michiko Ishii’s concept for performer training addresses the importance of a way for restrained teaching in which Ishii acknowledges each student-actor’s journey by means of what each student-actor has experienced through his/her body. The process provides a certain means of teaching/training as a process of non-teaching/training in which each body could meet and therefore encounter in the here and now. This facilitates to enhancing the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a trainer and trainee by avoiding the tendency towards the answer and/or result. Interrogating and reconsidering the aforementioned approach and process leads us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bodily training and acting. In other words, examining an account of how the performer’s body constitute the concept of openness and spontaneity as unity takes place the notion of a performer’s receptive body towards how to attain an optimal state of bodily awareness and deployment energy. Teaching and working on one’s body which lies beneath the surface that any bodily training must be to meet the demand of the principle of acting in responding the purpose and meaning of bodily-based discipline(s).

      • KCI등재

        역할 창조를 위한 접근 방법에 있어 가면의 의의

        손봉희(Bong-Hee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논문의 목적은 배우가 역할에 접근하여 창조하기 위한 실제적 요소로써 가면 / 인물의 본질적 기능을 살펴보고 그 효용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극중 인물로서 각 가면은 그들이 추구려하는 기본 욕구를 성취함으로써 생존하려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본능적 충동은 개체, 즉 가면 / 역할 자신의 보존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가면 / 인물의 욕구를 기반으로 발현되는 특정 행동들은 즉각적이고 집요하며 주로 노골적 속내를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그런 까닭에 가면 / 인물의 행동은 이성적 잣대나 사실적 표현 정도에 비례하기 보다는 개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한 인간의 보편적인 욕구로써 그 의미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가면 / 인물이 각기 함축하는 특유의 본성과 행동은 그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배우로 하여금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강력하고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에너지를 요구한다. 다시 말해서 배우는 가면 / 인물이 추구하려는 목표를 달성시켜나가기 위해서 그 가면 / 인물의 욕구에 부합되는 형태로 몸의 질적 전환 과정을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본고는 가면 / 인물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시작으로 특정 가면이 추구하고 지향하고자 하는 특정 욕구와 행동의 실질적 의미에 관한 논의를 이어나갈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가면 / 인물의 본질적 속성들이 배우의 역할 창조 과정에 있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 효용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This thesis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a mask / character as a practical tool to approaching and creating a performer’s role. As a character each mask maintains his / her impulse in order to live on stage. The mask/character’s instinct impulse is to achieve his / her self-preservation. Therefore a mask / character’s specific action derived from his / her impulse would be immediate, tenacious and often explicit. Accordingly a mask / character’s action should be understood as human being’s universal demands, the will to live and development rather than in a sense of intellectual perspective and / or a level of reality. Activating a mask / character’s unique impulse and action requires a performer’s great and endurance energy which facilitates the performer’s performativity in the intense circumstance. In other words the performer necessarily needs to qualitatively transform his / her body according to what the mask / character eventually wants to achieve. Above all this thesis interrogates the central characteristics of a mask / character. This thesis then argues the specific meaning of impulse and action which a specific mask / character would investigate to pursue and accomplish on stage. Finally this thesis suggests the worth of a mask / character in a sense of its adaptability for contemporary performers.

      • KCI등재

        배우의‘자발성’(Spontaneity) 강화를 위한 ‘행동’(Action)의 역할

        손봉희(Bong-Hee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논문의 목적은 배우가 텍스트 접근을 통해 인물을 창조하는 과정에 있어 핵심 요소로 작용하는 인물의‘행동’에 관한 구체적인 의미를 살펴보고 이러한 원리가 배우의 몸을 통한 체험을 중심으로 발현되는‘자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학생-배우들을 포함하여 많은 동시대 배우들이 습관적으로 범하는 개인의 일상적 편의나 습성에서 비롯되는 정서적 접근과 관련된 담론을 지양하고자 한다. 극을 이루는 본질적 요소로서 배우의 역할은 극작가와 연출가가 제시한‘주어진 환경’(given circumstance) 속에서 자신이 맡은 인물이 지향하는 특정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무대 위 동료 배우들과 매 순간을 끊임없이 새롭게 만나는 것이다. 텍스트에 내재된 주어진 환경의 범주는 극의 핵심을 이루는 인물들 간의 주요 갈등과 이를 점진적으로 발전, 강화시키기 위한 연속적 행동,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모든 시, 청각적, 공간적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정 작품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존재하는 주요 인물들의 행동과 이를 촉진 또는 저해하려는 주변 인물들의 행동은 텍스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갈등의 양상에 비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그 텍스트가 지향하는 특정 미학을 추구하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배우가 허구적 시공간에서 존재하기 이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극중 인물의 행동에 대한 개념을 밝히고 이러한 원리가 어떻게 인물의 명료함을 강화시키고 연기예술의 본질적 측면인 자발성과 상보적 관계를 이루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a character"s "action" which is central to building/creating a character/role in a text-based approach. This thesis articulates how can the principles founded on the process of analyzing a specific text be appli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performer"s spontaneity and presence on stage. This thesis rejects a paradigm of acting and training which has been maintained a performer"s emotional aspects by focused on his/her psychological approach towards impersonation in a sense of the performer’s ordinariness. The role of a performer by means of the essential ingredient is to being in a state of encountering with other performers in order to achieve a specific task within the given circumstance provided by an author and a director. The term given circumstance in a specific text implies those key principles including action, visual, auditory, and theatrical space that develops not only the context and storytelling but also a level of conflict between what each performer does through his/her action on stage. In this sense, each character"s action and counter-action emerges spontaneously according to the narrative of a text and contributes to create a specific aesthetic that the text eventually pursues through performance. Arming the perspective of action and the process of acting, this thesis investigates to articulate the term a character"s action then discusses how can the principle facilitate the precision of a character on stage reconsidering its complementarities with the art of acting.

      • KCI등재

        연기(Acting) : ‘하지 않음’의 미학

        손봉희(Bong-Hee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논문의 목적은 배우훈련의 핵심적 목표인 자발성, 유연성, 즉흥성, 순발력 등의 원리를 함축하는 배우의‘하지 않는 상태"(a state of doing nothing)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본고는‘하지 않음’으로써 특정 장면 또는 순간에서 요구되는 필수적인 행동을‘하게 되는’이 역설적인 개념이 연기예술의 본질적 원리 및 특성과 어떠한 상호관계를 형성하며 배우의 이상적인 상태를 지속하기 위한 기본 토대로써, 그리고 허구적 시공간 속에서 존재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써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규명하고자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써 배우의 손이나 표정 등 상반신에 의존한 채 외적 표현력만을 강화시키기 위한 테크닉 중심의 훈련이나 이와 관련된 담론을 지양하고자 한다. 오히려 본 논문은 (배우의)‘하지 않는 상태’를 고찰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중립성’(neutrality/non-acting)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이러한 원리들이 내포하는 배우의 몸 전체 감각을 일깨우는 과정과 그 필요성을 밝히는데 역점을 두고자한다. 이를 통해 배우가 어떻게 명료하고 정확하며 허구적으로 요구되는 행동을 통해 몸의 자발적인 흐름을 체화할 수 있는지에 주목하고자한다. 결론에서는 배우가 이러한 접근 및 방법을 어떻게 훈련에 적용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지 제언하고자 한다. This thesis explores the implicit term, a performer"s ‘doing nothing’ in articulating and reconsidering the principles of acting by means of a performer"s spontaneity, flexibility and immediacy. Particularly this thesis interrogates a paradoxical principle of acting that implies a state of ‘doing nothing’ as non-acting leads a performer to being in a state of ‘doing a necessary action(s)’ as an essential principle in order to being on the virtual space and time. As research method, this thesis rejects the previous paradigms and/or assumptions of acting and performer training which normally maintains in facilitating a performer"s visual and/or outer expression focused on his/her upper half body including hands and facial expressions and so on. Rather this thesis above all attempts to articulate those theatre artists’ key concept, ‘doing nothing’ by means of a state of a performer"s ‘neutrality’ and/or ‘non-acting.’ Secondly this thesis addresses the necessity of an actor’s awakening energy in a sense of bodymind oneness or unity. This thesis then explores how can a performer cultivate his/her body in order to being on stage as the flow of his/her spontaneity. In conclusion, this thesis reconsiders the argues discussed through this thesis and gives a possible way within which a performer can apply and develop these processes through his/her training and the purpose of acting.

      • KCI등재

        동시대 연기자 교육에 있어 ‘배우훈련’이 지향해야 할 의미

        손봉희(Bong-Hee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동시대 연기교육에 있어‘배우훈련’에 관한 실질적인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은 지금 우리에게 배우란 어떠한 존재이며 연기란 무엇인지에 관한 근본적 성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배우는 지금, 여기, 즉 허구적 시공간 속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관객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기예술의 본질은 특정 텍스트가 지향하는 미학적 가치를 추구하여 동시대를 살아가는 관객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데 있다. 특히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동서양의 연출가 및 연기지도자들의 주요 콘셉트는 연기예술을 위한 특정한 이론만을 제시하거나 강조하는 실제적이지 못한 논의와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이들의 연구와 접근과정은 배우가 무대 위에서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성취할 수 있는 가에 대한 물음을 집요하고 끊임없이 제기하며 결국 훈련을 통해 준비된 상태를 실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주체는‘배우 자신과의 솔직한 만남’에 있음을 역설적으로 강조한다. 어느 때보다 물질 숭배와 상호 경쟁이 팽배한 동시대 삶 속에서 이러한 성찰과정은 배우와 연기예술에 대해 재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틀을 마련해 줄 것이며 본질적이고 실천적인 훈련을 위한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라 믿는다. Exploring the practical meaning of ‘performer training’ in this contemporary era is an integral part of the reflection as a way to answer what is a performer and the art of acting. The role of a performer is being present in the here and now, virtual space and time, where the spectators see a specific play. The foundational place of a performer’s acting necessarily needs to meet what the spectator wants to experience as they are also being there. Those western and non-western theatre directors’ and practitioners’ concepts through this thesis neither highlight learning a specific training method nor their approaches come from an impractical knowledge. Rather these theatre artists ask us to severely interrogate what a performer’s identity is on stage for which they argue that the possible answer is how the performer rigorously encounter his/her body through a specific training. Although we live in this contemporary era where everyone has inevitably become materialistic more than ever, this study would provide a new perspective of performer training in order to explore and develop effective way(s) for contemporary performers.

      • KCI등재

        오늘날 학교 연기예술 교육 방법에 대한 개선 모색

        손봉희(Bong-Hee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학교 연기예술 교육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지도자/연출가에게 요구되는 요건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는 훈련 및 리허설 과정속에서 학생-배우들이 겪고 있는 보편적인 문제점, 즉 몸과 마음 간의, 이론과 실제 간의, 나아가 제도권 교육과 현장 간의 ‘괴리감’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도자 형(型)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본고는 이에 대한 원인과 대안적 접근 방법으로써 오늘날 요구되는 지도자/연출가의 역할과 자질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산만함의 제거’, ‘고도의 기술’, ‘행동의 순수성’등 리처드 니콜스가 제시하는 이상적 배우의 자질과 태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러한 요건들이 배우의 정체성과 어떠한 연계성을 지니는지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와 같은 핵심 원리 이면에 자리하고 있는 배우의 ‘자발성’에 대한 개념과 그 중요성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연기예술 교육 과정에서 지도자/연출가들이 쉽게 간과하고 있는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동시에 ‘훌륭한 선생’과 ‘나쁜 선생’의 자질과 형태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살펴보고 각기 다른 두 교수법이 궁극적으로 학생-배우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 방법으로써 오늘날 지도자/연출가에게 요구되는 임무와 역할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This thesis explores an ideal state(s) of a trainer/director as the prerequisite qualification for enhancing the foundation of contemporary performer training/acting in education. This research interrogates those universal problems including the ‘distance’ between body and mind, theory and practice, furthermore institutional education and a field of performing art that many student-actors have been experienced in his/her training and rehearsal. In particular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role and disposition of a trainer/director by means of articulating the causes of the aforementioned problematic issues. To do this, this research would define an ideal state of a performer taking into account of the practical meaning of a performer’s ‘vagueness’, ‘inhabited technique’, and ‘spontaneous action’ which Richard Nichols proposes to be as an ideal performer, then examine the relationship in-between these terms and a performer’s identity. In addition, this thesis reconsiders the significance of a performer’s spontaneity that a trainer or director tends to easily pretermit. Simultaneously this research makes a comparative study inquiring a perspective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trainer’ pay carefully attention to the influence on the student-actors` work. Finally, as an alternative way(s) this thesis suggests a model of contemporary trainer/directors’ place/role in order to accomplish the appropriateness in education.

      • KCI등재

        분석과 인물 창조 과정에 있어 ‘자발성’의 발현 원리와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보알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손봉희(Bong-Hee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논문의 목적은 공연자로서 배우의 몸을 통해 발현되는‘자발성’의 원리를 살펴보고 그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시대 배우들이 인물을 창조하기 위한 접근 및 훈련과정에서 흔히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고 그 대안으로 배우의 행동과 텍스트가 추구하는 본질적 기능과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기예술의 토대를 이루는 핵심 원리를 재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자포라를 비롯한 마셜, 브루엘, 존스톤, 보알 등의 연기지도자들은 자발적 반응으로써 행동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들의 공통된 관점을 종합할 때 변화를 추구하고 이를 달성하고자하는 텍스트의 본질적 기능은 역설적으로 배우가 무대 위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할 임무와 면밀하게 닿아 있는 것이며, 이는 곧 예술가로서 배우 스스로가 선택하고 결정한 표현에 대한 책임과도 직결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분석과 행동의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배우의 몸이 자발적 상태에 이르기 위한 접근 방법을 보알의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실효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nterrogates the term a performer’s ‘spontaneity’ as the key principle to approach and enhance contemporary performer’s training and acting. Drawing on a number of problematic issues, this thesis particularly examines the paradigm of the subtle bodily movement inform the experience of a performer’s spontaneity as embodied and understood in approaching and adapting through text analysis and action. The in-depth proc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former’s action and the transformative effects, is central to understanding and adapting the key principle of acting/training that a specific text would pursue through a specific performance by means of what a performer must do on stage. Following the discussion of acting in training and rehearsal, this thesis argues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way(s) and model of the performer’s work via how the performer’s action is sincerely emerged from the moment-by-moment rather than the performer anticipates what comes in the next and therefore pretend to do/be something/someone. Expanding upon the assumptions mentioned above, this thesis provides some pragmatic and descriptive work(s) from the practitioners’ concepts and approaches that invites us to reconsider the nature of acting and its adaptability for contemporary performers.

      • 연기예술(acting)과 마스크(mask)의 원리적 상관관계

        손봉희(Bong-Hee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5

        본 논문의 목적은 동시대 연기자 훈련에 있어 연기예술과 마스크와의 원리적 상호보완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마스크의 사용과 목적에 따른 의미가 함축하는 바는 공연자로서 배우의 질적 몸의 변화 과정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배우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행위는 배우로서 요구되는 특정한 몸 상태를 일컫는 것인데 이는 배우가 자신의 개인성/일상성을 벗어 던지고 극적 시공간이 요구하는 특성에 부합해야함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마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배우의 몸은 그 마스크가 성취하려는 행동에 부합되도록 훈련이 되어야 하는 것이지 그 표현이 배우의 일상성이나 개인적, 습관적 편의에서 비롯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기예술과 마스크의 원리 속에는 과거도 미래도 있을 수 없다. 오직 지금, 여기로써 현재만 존재할 뿐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omplementarity of the principles of acting and the use of a mask for training contemporary performers. This thesis begins by articulating the term mask in interrogating its use and purpose which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 performer’s qualitative bodily transformation. Wearing a mask implies a particular state of a performer that the mask forces a performer to transform his/her body from daily to the demands of theatrical time and space. Using a mask therefore means a performer’s body has to be cultivated according to what the mask wants to do rather than the performer wants to express in a sense of his/her ordinariness or in a level of personal and/or daily mask. In this sense there is no past or future in-between the art of acting and the principle of wearing a mask. Rather only the present exists by means of here and now.

      • 스즈키(Tadashi Suzuki)의 배우훈련에 있어 호흡의 원리

        손봉희(Bong-Hee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본 논문의 목적은 스즈키의 배우 훈련 과정에 있어 핵심이 되는 접근 방법과 연기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호흡의 원리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지난 1990년 대 초반부터 배우로서 현장 활동과 연기지도자로서 배우들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시작된 연구자의 연구와 관찰에서 비롯되었다. 본 논문은 (학생) 배우들이 연기와 훈련의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 있어 그들이 생소하게 인식하고 있는 ‘몸 경험’에 대한 예시를 제시한다. 이러한 생소함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스즈키의 훈련에 대한 고찰에 앞서 일본의 전통연극이 ‘신극’의 창시자로 불리는 오사나이에 의해 그 의미가 퇴색되는 과정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짧게 살펴본 후 서구 사실주의 연극과 ‘전통’사이에서 발전된 연기/훈련에 관한 스즈키의 관점을 호흡의 원리와 그가 고안한 훈련, ‘발의 문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여기서 본 논문은 훈련 과정 속에서 경험되어지는 배우의 내적 긴장과 몸의 관계를 규명한다. 스즈키의 훈련 원리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배우의 감각/기민함은 특정 텍스트를 분석하여 자신의 정서적 감정을 드러내려는 시도를 통해 성취 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눈을 통해 자신의 몸을 진솔하게 들을 때 강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즈키의 훈련에 있어서‘호흡’은 배우의 몸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상보적인 관계임을 함축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개념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해 과정은 지금 여기 무대에서‘현존’하기 위한 동시대 배우들에게 전문적인 정체성을 탐구하는데도 유용한 시금석이 되리라 믿는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an account of the principle of a performer’s breathing in Suzuki’s training within which his central approaches and practices of acting/training is discussed. This account is based on the author’s extensive research and observation working as a performer and trainer since early 1990s. This thesis begins by describing a specific example of unfamiliarity with the term ‘bodily experience’ in a way of understanding acting/training process among (student) actors. This thesis briefly discusses an historical examination of how Japanese traditional theatre began to be rejected by a pioneer of importing ‘new theatre’ from West, Kaoru Osanai. Following the discussion of acting in realism theatre and ‘tradition’ this thesis addresses a series of key concepts raised by this example providing insight into the place of a performer’s breathing in Suzuki’s training, called ‘the grammar of the feet’ and of arti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former’s inner tense and his/her body as it is done in training. What can be see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rinciple of Suzuki’s training is that a performer’s bodily awareness begin to be raised then facilitated when the performer truthfully listen his/her body by means of inward looking rather than s/he attempt to express an emotional aspects analyzed into a specific text. Therefore the word ‘breathing’ founded on Suzuki’s training is a significant term to be understood as implying a unity of a performer’s body by means of its complementarity.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process can be an useful touchstone to contemporary performers in which how they develop his/her professional identity as a performer(s) as they are ‘being’ on stage in here and now..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