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역사를 재현한 서양과 한국 작곡가들의 21세기 예술음악 비교 연구: 세월호 사건과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손민경 ( Son Mingyeong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音樂論壇 Vol.48 No.-

        이 글은 21세기 글로벌 시대 한국 음악가들이 세계무대에서 약진하는 가운데 한국 역사를 중심으로 자국과 서구 음악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이다. 서양 작곡가에게는 한국음악 활용의 진정성이라는 과제가 있는 데 비해, 한국 작곡가에게는 서양음악 영향 속에서 한국 문화 추적이라는 과제가 주어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역사를 바라보는 서양 작곡가와 한국 작곡가의 서로 다른 접근 방향을 전제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서양 작곡가가 공통적으로 다루었던 세월호 사건과 일제강점기 역사를 택하여 음악적 재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전자의 경우 정태봉의 ≪진혼 II: 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며≫(2014)와 마이클 팀슨(Michael Timpson)의 색소폰과 국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시나위 교향곡 ≪심박≫(Heartbeat, 2014), 후자의 경우 한일 관계의 실태를 조명한 김택수의 ≪국민학교 판타지≫(2018)와 코어드 마이어링(Cord Meijering)의 타악 솔로 심포니 ≪마르시아스≫(Marsyas for Percussion Solo Symphony, 2018/19)이다. 분석 결과, 각 역사적 사건은 한국 작곡 양식과 서양 작곡 양식으로 구분되어 일반화된다기보다는 창작자 개인의 교육 배경과 현지 문화 경험의 정도에 따라 상대적인 문화적 거리 차가 존재했으며, 여기에는 문화 내부자와 외부자 시선이 내재해 있었다. 서양 작곡가들의 작업에서는 동양을 하나의 동질적인 문화로 표상한 과거 오리엔탈리즘과는 달리 한국적 요소의 진지한 접근과 세밀한 재현으로 현시대 진일보한 면이 발견된다. 이러한 창작 방식은 동양 문화와 서양 문화라는 이분법을 넘어, 한국 내 지역적이고 토착적 소리를 국제무대에 점점 울림으로써 한국이 보다 주체적 위치에서 예술작품에 수용될 가능성을 드러낸다. 즉, 동양을 비롯한 비서구권 타문화에 대해 서구 주체가 구축해온 헤게모니 체계를 전복시키는 ‘탈식민주의’(decolonization)의 미학적 의의를 창출한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Western music with a focus on Korean history. The research assumes that there are different approaches to Korean history in the context of the authenticity of Western composers’ use of Korean music and the task of tracing their own culture amid the influence of Western music by Korean composers. To this end, this paper selects musical pieces by Korean and Western composers that draw on specific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Sewol ferry incident and Japanese colonialism: composer Tae-bong Chung’s Requiem II for Percussions (2014), American composer Michael Timpson’s ‘Heartbeat’ - Sinawi Symphony for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2014), and composer Taxu Kim’s Koomin Fantasy (2018) and German-Dutch composer Cord Meijering’s ‘Marsyas’ for Percussion Solo Symphony (2018/19) respectively. As a result of music analysis, each case presents histor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e composer’s background and aesthetics, rather than being generalized into Korean and Western compositions. Nevertheless, Korean and Western composers contain differences between insider and outsider perspectives concerning genuine local experiences from Korean history. Western composers present advanced discoveries of the present era through their serious approach and detailed reproduction of Korean elements these days, unlike the orientalists who collectively represented the Orient as a homogenous culture. With a thorough attention and elaborate representation of the elements, this compositional method goes beyond the dichotomy of East and West culture and uncovers the possibility that Korea will be accepted into musical works from a more overriding position by gradually resonating with local and indigenous sounds in Korea on the international stage.

      • KCI등재

        서울시향 초대 지휘자 김생려의 한국 교향악 운동 연구: 20세기 중반 한-미교류를 중심으로

        손민경 ( Mingyeong Son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1 No.-

        국내 관현악단 중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은 1957년 김생려([John S. Kim], 1912-1995)를 주축으로 창단되었다. 이 글은 서울시향 초대 지휘자이자 한국교향악의 선구자 김생려를 한미 음악 교류의 측면에서 조명한 연구이다. 그간의 자료에서는 김생려의 한국의 교향악단 창설과 공헌에 초점을 두었지만, 근대사의 흐름에서 한미관계 속 그의 역할은 덜 논의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김생려의 미국 가교를 해방 후와 한국전쟁기, 정치적 격변기 속 그의 미국 유학, 미국음악인 국내 초청, 아리랑 가무단 미국 순회공연 등 글로벌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수행을 선행자료, 구술채록, 뉴스 기사 등으로 연구한 결과, 필자는 김생려가 전쟁과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도 미국 유학을 통한 선진 문물 보급, 미국음악인 한국 초청 등 미국과의 음악 수교와 한국의 클래식 음악계의 근대화를 위해 헌신했음을 주장한다. 이는 한국에서 클래식 음악계의 선진화에 대한 열망과 미국의 문화냉전기 속 국제 문화정치의 질서 가운데 한국으로의 전략적 접근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이며, 한국의 교향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연구는 한국 서양 음악사와 교향악 운동에 중요한 활약을 남긴 김생려 연구를 통해 한국 교향악 역사의 단면을 살펴보고, 한국과 미국 간의 문화 냉전기 속 트랜스퍼시픽(transpacific) 국제교류의 정치의 일면을 조명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pivotal role of Saeng-ryo Kim (John S. Kim, 1912-1995), the inaugural conductor of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SPO),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Korean-American musical interact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Kim’s role as a bridg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panning the post-liberation era, the Korean War, periods of political turbulence, his US education, the invitation of American musicians to Korea, and the Arirang Troupe’s US tour. By investigating his global endeavors through various materials, interviews, and newspaper articles, I argue that Kim diligently worked to establish musical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S and modernize Korea’s classical music landscape, even during turbulent political times. This effort, driven by Korea’s aspiration for musical advancement and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the US during the Cold War’s cultural dynamics, ultimate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ymphonic music in Korea. The research highlights Kim’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in Korea, and sheds light on the transpacific international exchange that occurred during the Cold War era.

      • KCI등재

        미국 현대음악 속 국악 연주자의 협업 음악 연구: 가민-로텐베르크(Ned Rothenberg), 김도연-모린(Chase Morrin)을 중심으로

        손민경 ( Mingyeong So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4

        글로벌 시대, 세계적인 한류 문화와 K-컬쳐의 영향으로 현대음악계에서 한국 전통음악 연주자의 역할과 지위는 점차 강화되고 있다. 이들은 국제 무대에서 외국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현대음악의 실험음악적 측면과 전통적인 한국 소리를 혼합하여 독특한 음악 세계를 선보인다. 본 글은 한국 전통악기 연주자와 미국 작곡가의 협업에서 연주자의 개성적인 창작성이 발휘된 양상과 그 예술 미학적 의미를 조명한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완성된 악보와 작곡가 중심적인 창작 연구에 집중되어왔다면, 본 글에서는 과정으로서의 창작과 연주자가 최종 창작까지 주체성을 발휘하는 면모에 집중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국 작곡가 로텐베르크(Ned Rothenberg)와 피리 연주자 가민의 <중모리 블루스>(Jungmori Blues, 2018), 미국 재즈 작곡가 모린(Chase Morrin)과 가야금 연주자 김도연의 <크록>(Croak, 2017), 두 가지 사례를 탐구한다. 필자는 문헌 자료 및 미국 뉴욕 현장 공연 참석, 인터뷰, 악보 및 음원 분석 등을 통해 두 협업은 이종음악 장르의 혼종적 교섭뿐만 아니라 창작 과정에서 국악 연주자의 관행과 혁신이 더해져 새로운 음향 세계를 창출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전통 산조와 미국 블루스 음악을 결합한 <중모리 블루스>에서 가민은 서구 아방가르드 전통에 동화되기보다는 이질적인 음향적 질감 속에서 고유한 전통 소리를 표현했다. 한편 국악과 재즈의 융합으로 창작된 <크록>에서 김도연은 교차 문화적 즉흥연주로 전통악기의 문화 관행적 틀을 벗겨내어 타 음악 장르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개성을 들려주었다. 이들의 혁신적 작업은 기존의 이중 문화 악기가 빚어낸 상호문화성의 미적 패러다임에서 점차 각 아티스트 간의 상상력, 예술적 자율성과 영감을 자극하는 상호음악성(intermusicality)의 창작 의의를 드러낸다. In the global era,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ers are gaining prominence by collaborating with international artists, showcasing their individual creativit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ynamic creative process in two collaborations: “Jungmori Blues” (2018) by Gamin and Ned Rothenberg and “Croak” (2017) by Chase Morrin and DoYeon Kim. Through comprehensive reviews of literature, live performances, interviews, and score analysis, the study highlights the entanglement of distinct cultural genres and the novel contribution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ists. These collaborations foster intermusicality, encouraging imagination and artistic autonomy within an intercultural aesthetic paradigm.

      • 학령기 입원 아동의 발달을 위한 가상 애완동물 육성 HW/SW 및 연동 앱 개발

        홍은혜(Eunhye Hong),김동수(Dongsu Kim),김수현(Suhyun Kim),손민경(Mingyeong Son),이동엽(Dongyeop Lee),이현우(Hyunwoo Lee),정성아(Seongah Je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본 논문에서는 학령기 입원 아동들의 병상 활동으로 인한 활동량 및 사회적 소속감 저하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가상 애완동물 육성 HW/SW 플랫폼인 다마고치형 디바이스 ‘KiDuck (이하, 키덕)’을 제안한다. 더 자세히는, 키덕 캐릭터의 성장 조건을 아동의 걸음 수, 물 섭취량, 친구 만나기의 3가지 조건을 고려함으로써, 제안 플랫폼의 성장을 위해 아동의 신체적/사회적 발달 행동을 유도하게 개발하였다. 키덕 본체는 Arduino Nano Every로 제작하였고, 연동 앱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아동의 보호자가 연동 앱을 통해 키덕 본체의 설정 및 관리를 가능하게 제작하였다. 추가적으로, 질환에 따른 각 환우들의 다양한 입원 상황을 고려하여, 키덕의 성장 조건을 직접 설정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tamagotchi-type “KiDuck”, a virtual pet fostering HW/SW platform, for hospitalized school-age children in order to address the lack of social belonging and physical activities. Specifically, by considering the three types of conditions to grow up the virtual character of KiDuck, such as the number of steps,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and the number of meeting friends in hospital, the positive changes in social and physical behavior can be attained while using Kiduck. The H/W device of KiDuck is produced by Arduino Nano Every, whose application is developed by Android Studio so as to allow the parents to manage and control the setting according to the various circumstances of hospitalize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