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축 바늘 스프레이법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 비즈의 입자 크기와 분산 특성

        김영래,서풍,조병욱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23 펄프.종이기술 Vol.55 No.5

        Microbeads with a diameter of 500 μm or smaller are used in the production of cosmetic products, such as foam cleansers. To replace the usage of plastic microbeads in cosmetics with ecofriendly alternatives such as cellulos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producing cellulose beads with a diameter of ≤500 μm, particularly reducing their sizes to <100 μm, is crucial. Herein, cellulose beads with a particle size of 30–250 μm were fabricated via spray method using a coaxial needle and tetraethylammonium hydroxide/urea/cellulose solution. Reduced inner diameter of the needle and increased air pressure decreased the cellulose bead siz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dispersibility of cellulose beads can be improved by dispersing them in a solvent with low surface tension and employing a gradual drying method, such as air drying.

      • KCI등재

        상온에서의 기계적-화학적 전처리가 셀룰로오스 및 용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

        오세영,서풍,조병욱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24 펄프.종이기술 Vol.56 No.2

        . The high degree of polymerization (DP) of cellulose makes it difficult to dissolve the cellulose fibers and increases the viscosity of the dissolved cellulose solution, which limits the ability to produce small particles of beads by using small needles or nozzles by dropping or spraying methods.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o control the DP of cellulose of a chemical pulp through a mechanochemical pretreatment at room temperature. The chemical pulp was pretreated by three methods (ethanol-hydrochloric acid pretreatment, ball milling pretreatment, or acid-ball milling pretreatment), and the effects on fiber and cellulose properties, cellulose solution properties, and bead size were explored. Our findings reveal that wet ball milling pretreatment with acid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DP of cellulose than acid treatment or ball milling treatment alone. The DP of cellulose of chemical pulp was reduced from 1400 to 400 after 1 h of acid-ball milling treatment at room temperature. The reduction in the DP of cellulose decreased the 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of the cellulose solution, which affected the size of cellulose beads. In addition, the acid-ball milling pretreatment resulted shortening of fiber length and external fibrillation, and did not affect the crystal structure of cellulose-I, unlike the ball milling treatment, which destroyed the fiber morphology and the cellulose crystal structure.

      • KCI등재

        中國現存的漂海記錄及其特徵

        劉序楓(Liu, Shiuhfe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2 島嶼文化 Vol.0 No.40

        16세기 중반 이후 해양활동의 증대와 더불어 동아시아의 난파선에 대한 기록들도 증가하였다. 해양 여행기와 달리 난파기록들은 보통 좀 더 세부적인데, 기록 중에는 불법항해라든지, 밀수, 외교협상과 같은 복잡한 주제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당시 정부 관리들이 일반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배의 크기 및 승선자 이름과 수, 적재화물, 항해경로, 난파 위치 및 원인, 구조 과정과 재정적 지원 현황 등에 대한 내용들을 기록 보존하였다. 그러나 二十四史에서와 같이, 청 왕조 이전의 위와 관련된 중국의 기록들은 대부분 개괄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明實錄에서의 기록들도 산만하고 불완전하다. 아울러 청왕조 이전에는 난파선에 대한 구조가 제도화되어 있지 않았던 관계로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가 곤란한 상태이다. 청 왕조에 접어들자, 지역적 혹은 광역적 수준의 기록체계 수립 및 관련 기록들[특히 건륭(乾隆) 통치기(1736~1795) 이후]의 보존에 힘입어 이러한 주제들이 좀 더 자세히 연구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 역사적 자료들이 대중에 공개되고 출간된 덕분에 동아시아 난파사고 및 해상표류에 관한 연구는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관련 자료들이 대부분 산만하고 체계적이지 못하며, 현재 연구의 관심이 상당부분 일본과 류큐의 기록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중국과 한국에서 관련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단계에는 아직 접어들지 못했다. 본 저자는 최근 동아시아에서의 난파선에 관한 역사학적 자료들의 수집 및 연구에 몰두하여왔으며 현재까지 청 왕조 기록물 속의 난파 기록 목록 : 외국 선박들에 관한 자료들을 출간하였는데, 이 자료들은 공식적인 중국 기록문서들 중 약 3,000개의 부분 기록들이 포함되어 있다. 위 기록들은 우리로 하여금 청 정부의 난파선 구조 체계의 진화 및 외국 난파선에 대해 취해진 조치에 관해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 자료들이 동아시아에서의 난파선 기록에 대한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난파선과 해상표류를 다룬 현존하는 중국 공식 기록들을 소개하는 한편, 빠른 시일 내에 외국 기록들과의 비교 및 공동연구 추진이라는 희망과 더불어, 해상표류에 관한 일부 비공식적 기록들에 대해 논하고 있다. With the intensification of maritime activities after the mid-16th century, records on shipwrecks in East Asia increased. Different from sea travelogues, shipwreck records are usually more detailed, for they involve a variety of issues, such as illegal voyage, smuggling, and diplomatic negotiation. Government officials typically conducted investigation and kept detailed accounts of the size of ship, the names and the number of the crew, cargo on board, routes, location and the cause of the shipwreck, process of salvage and monetary support rendered. If the wreck involved a foreign ship, there was also the issue of repatriation. However, Chinese accounts in this regard prior to the Qing dynasty, such as in the Twenty Four Dynastic Histories, are mostly sketchy. In addition, the accounts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Ming Dynasty are also scattered and incomplete. Moreover, prior to the Qing, the salvage of shipwrecks had not been institutionalized, henc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ntire picture. Entering the Qing, due to the perfect memorial system at the local and metropolitan levels, plus the preservation of relevant archives(especially after the Qianlong reign 1736~1795), the issue can be explored furth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fact that historical materials are made public and published, research on East Asian shipwreck and drifting on the sea is increasingly flourishing. However, relevant sources are mostly scattered and not systematic, and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mostly on the records in Japan and Ryukyu, hence systematic collection of sources in China and Korea has not been undertaken. This author has devoted to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historical materials on shipwrecks in East Asia in recent years and so far published a Catalogue of Shipwreck Records in the Qing Archives : Materials on Foreign Ships, which contains nearly 3,000 pieces of official Chinese documents. These documents allow us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shipwreck salvage system of the Qing government and the measures taken toward foreign shipwrecks. Also, they will facilitate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shipwrecks in East Asia. Besides introducing the extant Chinese official accounts of shipwrecks and drifting on the sea, this article also discusses several unofficial accounts of drifting on the sea, with the hope of comparing them with foreign accounts and facilitating collaborative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18-19世紀朝鮮人的意外之旅: 以漂流到臺灣的見聞記錄爲中心

        서풍 ( Shiuh Feng Liu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3 石堂論叢 Vol.0 No.55

        본 논문에서는 청대 조선 선박의 대만 표로 사례를 중심으로 근대 이전 한국과 대만 간의 교류사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1885년 대만성이 설립되기 이전에 대만은 복건성 관할이었고, 또 조선에서는 민간인의 해외 무역을 금지하고 있었으므로 조선 사절단은 모두 육로를 통해 중국을 왕래하였다. 때문에 조선 사절단이 직접 접촉하고 보고 들은 것은 대부분 북방에 제한되어 있었으며, 그로 인해 조선과 대만은 직접적인 교류가 전혀 없었다. 조선의 대만에 대한 지식은 주로 사절단이 북경에서 수집한 정보와 관련 서적 및 문서 기록을 통한 것이었기 때문에 대만에 대한 인식은 잡다한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것도 많았다. 근대 이전 조선과 대만의 직접적인 접촉 교류 사례는 해난사고로 대만에 표류한 표류선박 이외에는 찾아 볼 수 없다. 현존하는 표류 기록들을 통해 대만과 조선 두 나라 정부의 해외 난민 처리 방식에 대해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표류 지역의 일부 상황도 이해 할 수 있어서 중국 사료의 부족 부분을 보충해 주는 등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기록 자료를 제공해 준다. 청대(1644 -, 명대 정씨 통치시기를 포함) 이후부터 19세기 말까지 조선 선박이 중국에 표류하거나 류큐 열도, 동남아 등지 기타 국가로 표류 하여 중국을 통해 귀국한 사례는 대략 200여 건인데, 그 중에서 대만으로 표류된 경우는 현재까지 확인 된 사례만 15건으로, 가장 이른 것은 1729년이고 가장 늦은 것은 1877년 표류 사례이다. 대만으로 표류한 조선 선박은 대부분이 민간 어선 또는 연해의 무역 운반선들이었다. 당시 청 왕조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조공 및 무역 체제에서 난민들은 구조된 후 우선 대만부(지금의 대남)로 보내졌고, 다시 정부 관원이 대만해협을 건너 복건성 성도인 복주로 이송되었다. 복주에서는 전문 인력이 북경으로 호송하여 會同館에서 묵다가 조선 사절과 함께 귀국하였다. 표류 난민들은 귀국 후 모두 바다로 나간 것이 사적인 일이었는지, 기타 다른 범죄 사실은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해 조사와 심문을 받았다. 이 같은 정부측의 조사 기록과 난민들의 구술을 정리한 견문록 漂海錄은 조선이 외국의 상황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기도 했다. 19세기 이전 대만과 한국 간의 교류 역사 연구는 청나라 초기 해금시기 대만 정씨 정권 조선 표류 무역선 처리에 관한 논문 이외에 다른 전문적인 논문은 찾아볼 수 없다. 특히 대만에 표류한 조선 난민들의 견문록과 이국적 문화에 대한 체험, 그리고 대만 지방 관리들의 난민에 대한 구조 방법 등에 대한 연구는 서로 연구해 볼만한 가치들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청나라와 조선의 사료 중에서 조선 선박의 대만 표류 기록 정리를 통해 청대 조선과 대만의 교류사와 조선시대 정부와 일반 백성들의 대만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해 보고자 했다. This paper employs the examples of Korean shipwrecks in Taiwan during the Qing dynasty to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Taiwan interaction during the pre-modern period. Due to the fact that Taiwan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Fujian province before it was established as a separate province, the Korean government restricted private trade, and Korean official diplomats to China all took the land route, the Korean direct contact with and observation on China was restricted to the north, and thus there was not direct Korean-Taiwan interaction. Thus, Korean knowledge on Taiwan was gained mainly through collecting information by Korean envoys in Beijing and through relevant books and documents. As a result, this knowledge was inevitably scattered and full of mistakes. The direct Korean-Taiwan contact in pre-modern times was only through Korean shipwrecks in Taiwan. From the extant shipwreck accounts we not only can learn about the ways the government in the two countries dealt with foreign shipwrecks, but also learn some information about Taiwan where Korean shipwrecks occurred. These sources can supplement the existing records and provide precious sources for researchers. From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through the end of the 19th century (1644-, including the Zheng regime during the Southern Ming), there were about 200 cases of Korean shipwrecks in China (including shipwrecks took place in Ryukyu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but were sent back via China). Among them there were 15 occurrences in Taiwan, with the earliest being in 1729, and the latest 1877. Those Korean castaways to Taiwan were mostly on fishing boats or coastal trading ships. Under the China-centered tributary and trading framework during the Qing dynasty, after the castaways were rescued, they would be first sent to the site of Taiwan prefecture (in modern Tainan), and then the government would dispatch officials to transfer them to Fujian provincial capital Fuzhou across the Taiwan Straight. Afterward, Fuzhou would dispatch commissioners to escort these Koreans to Beijing, settle them at the Huitong Guesthouse, and deliver them to Korean envoys for their return to Korea. After these Korean castaways returned, they would always be cross-examined and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if they illegally went to the sea or committed other crimes. These official records and the accounts of what the castaways saw and heard (records of shipwrecks) also became one of the important channels of Korean understanding of foreign countries. Regarding the historical research on pre-19th century Taiwan Korean interaction, except some articles on Korean shipwrecks to Taiwan and the Zheng regime`s handling of the trading ships, there is no other discussion yet. Especially, the accounts of Korean castaways and their experience in a foreign culture, and the ways Taiwan local officials rescued and helped these castaways, merit much more research and discussion. Hence, this paper aims at sorting out Qing and Korean historical sources on Korean shipwrecks in Taiwan in order to reconstruct the history Korean- Taiwan interaction and Korean knowledge on Taiwan during the Qing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