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념체계의 삶 지배력: 음·양의 역동적 해석

        서영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6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governing power of a “conceptual system” in Our Lives and demonstrate that human consciousness and life could be embodied in completely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hoices of conceptual systems. Specifically, The study would show that a conceptual system would play decisive roles in the formation of values and life patterns among members by reviewing the various types of Yin-Yang interpretations. It would also report on the potential risk of social and cultural categorization and ultimately raise a need to reconsider a valid conceptual system for “us now.” In Northeast Asia, Yin-Yang have been regarded as concepts to explain all things that are physical, abstract, and spiritual. Yin-Yang have continuously been redefined according to values sought after by the society rather than holding an objective meaning themselves. A conceptual system chosen based on a social and cultural value system determines the consciousness and life structure of members in the society. ① The conceptual system of “raising Yang and lowering Yin (陽尊陰卑)” becomes a basis to justify the idea of discrimination between Yin-Yang status. It offers a decisive structure for the patriarchal categorization based on the clan rules. ② Lao-Tzu’s conceptual system of “raising Yin and valuing softness(尊陰貴柔)” offers a chance to focus on the validity of Yin that used to be covered up in the idea of “raising Yang and lowering Yin.” ③ The conceptual system of “balanced relations between Yin-Yang (陰陽均衡)” implies that the “Yin-Yang” structure should be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balance and harmony rather than exclusive relations. This conceptual system of “balanced relations between Yin-Yang” offers an opportunity to achieve horizontal balance and harmony in life. If these attempts are successful, human beings will be able to have realistic reflections on the conceptual system that governs “here and now” and take into consideration a conceptual system that does not go against their organic conditions and is stable experientially. 이 논문은 ‘개념체계(conceptual system)’의 삶 지배력을 검토하고, 어떤 개념체계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우리의 의식과 삶이 전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해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음·양 해석의 여러 유형을 검토함으로써, 개념체계가 구성원들의 가치관과 삶의 패턴 형성에 결정적임을 보이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다른 한편으로 사회적·문화적 범주화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을 고발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지금우리에게’ 유효한 개념체계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제기하려는 것이다. 동북아시아에서 음·양은 모든 물리적·추상적·정신적인 것들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다. 음· 양은 그 자체로 객관적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끝없이 재규정되어 왔다. 사회적·문화적 가치체계에 따라 선택된 개념체계는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과 삶의 구조를 결정한다. ① 「양존음비(陽尊陰卑)」 개념체계는 음·양의 지위를 차별화하는 사유를 정당화하는 토대가 된다. 그것은 종법제에 기초를 둔 가부장적 범주화에 결정적 구조를 제공했다. ② 노자의 「존음귀유(尊陰貴柔)」 개념체계는 「양존음비」의사유에서 은폐되었던 음의 유효성에 주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 ③ 「음양균형(陰陽均衡)」 개념체계는‘음’과 ‘양’의 구도가 배타적 관계가 아니라, 균형과 조화의 관점에서 읽혀야 한다는 점을 함축한다. 우리는 이러한 「음양균형」 개념체계를 통해 삶의 수평적 조화와 화합을 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지금 여기’를 지배하는 개념체계에 대한 현실적 반성과 함께 우리의 유기체적 조건에 반하지 않는, 경험적으로 안정된 개념체계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의 이상과 현실 ― 고당(顧堂) 김규태(金奎泰)의 경우 ―

        서영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3 동방문화와 사상 Vol.14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deal and reality of Small-Sinocentrism during the Japanese rule of Joseon with a focus on Godang Kim Gyu-tae(1902~1966). Small-Sinocentrism ① dreams of a "world where Dao is realized" beyond the boundary of "one's own country and a foreign country" by taking "Dao/Non-Dao" and "moral rule/rule by force" as the criteria of civilization judgments. ② In reality, however, it falls in an "egocentric bias" based on beliefs in moral absolutism based on "China=civilization/non-China= barbarism" and "Dao is valuable"/"Qi is lowly." Such an explanation can be defined as an attempt to show the realistic limitations faced by the ideal of Small-Sinocentrism during the Japanese rule. Kim Gyu-tae was a Taoist-line Confucianist that inherited the Scholarly Network of Nosa from "Ki Jung-jin through Jeong Jae-gyu to Jeong Gi" and focused on the protection of the Confucian order in the country society at the center of the 35-year Japanese rule and the Korean War. Insisting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 study in the viewpoint of Wijeong as the duty of dealing with the confusion and trouble of the times, he worked on expanding the base of Confucianism through pursuit of study and social intercourses. During the period, the Taoist-line Confucianists, who believed that the survival and fall of the country depended on the protection of "Dao," dreamed of making Small-Sinocentrism a reality mainly by focusing on ① reestablishing the Theory of Mind-Body Relations as Li-Ki, ② reproducing disputes over Li Philosophy, ③ expanding the base of Li Philosophy through pursuit of study and social intercourses, and ④ publishing collections of works and restoring and building Wonwoos. The ultimate orientation of moralists was a "world where Dao was realized" beyond the boundary of "one's own country and a foreign country." There is no doubt that the morality of benevolence that moralists tried to protect was the orientation of Early Confucianism and "something good" that the entire mankind wished. The moralists including Kim Gyu-tae, however, had decisive limitations as they denied the unique reality of a state and society and accepted "China=civilization/non-China=barbarism" and "Dao is valuable"/"Qi is lowly" as absolute principles. The problem was that they ignored most of changed worlds, perceptions, thoughts, ideas, and values and defined cultural elements and study outside the absolute principles they "believed" as "something bad." These explanations demonstrated that turning Li Philosophy into a theory of moral absolutism rather confined the worldly proposals of Early Confucianism, thus holding their significance.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고당(顧堂) 김규태(金奎泰, 1902~1966)의 경우를 사례로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의 이상과 현실을 드러내는 것이다. 소중화주의는 ①「도(道)/비도(非道)」 「왕도(王道)/패도(覇道)」를 문명 판단의 준거로 삼음으로써, 「자국/타국」의 경계를 넘어 ‘도(道)가 실현되는 세계’를 꿈꾼다. ②그러나 현실에서는 「중화=문명/비(非)중화=야만」 「‘도(道)’는 귀한 것/‘기(器)’는 천한 것」이라는 도덕절대주의(moral absolutism)의 믿음을 근거로 한 ‘자기중심적 편향(Egocentric Bias)’에 빠진다. 이러한 해명은 일제강점기 소중화주의적 이상이 어떤 현실적 한계에 직면하는지를 드러내는 시도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김규태는 일제강점기 35년과 한국전쟁의 중심에 서서 ‘기정진(奇正鎭)―정재규(鄭載圭)―정기(鄭琦)’로 이어지는 노사학맥을 계승하며, 향촌 사회의 유교 질서 수호에 주력한 도학 계열 유학자이다. 그는 위정(衛正)의 시각에서 정학(正學)을 지켜내는 일이야말로 시대적 혼란과 곤경에 대응하는 처사의 임무임을 주장하고, 강학과 교유를 통한 유교의 저변화에 힘을 기울였다. 이 시기 나라의 존망이 ‘도’ 수호에 달려 있다는 도학 계열 유림은 주로 ①이기심성론의 재수립 ②성리 논쟁 재연 ③강학과 교유를 통한 성리학의 저변화 ④문집 발간과 원우(院宇) 복설 및 신설에 주력함으로써 소중화주의의 현실화를 꿈꾸었다. 도학자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했던 것은 「자국/타국」의 경계를 넘어 ‘도가 실현되는 세계’이다. 도학자들이 수호하고자 했던 인의(仁義) 도덕은 원시유학의 지향이자 온 인류가 바라는 ‘좋은 것’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김규태를 포함한 도학자들의 결정적 한계는 국가와 사회의 특수한 현실을 부정하고 「중화=문명/비중화=야만」 「‘도’는 귀한 것/‘기’는 천한 것」을 절대 원리로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그것의 문제는 변화된 세계, 인식, 사고, 관념, 가치관의 대부분을 간과하고, 그들이 ‘믿는’ 절대 원리를 벗어난 문화적 요소 및 학문 등을 ‘나쁜 것’으로 규정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규명은 성리학의 도덕절대주의적 이론화가 원시유학의 현세적 제안을 오히려 유폐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음을 드러내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공자 도덕이론의 실용주의적 읽기

        서영이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4 No.3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공자 도덕이론을 듀이의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읽는 것이다. 실용주의는 객관적 도덕원리를 제안하는 절대주의적 전통 철학을 비판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도덕적 탐구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실용주의적 견해는 공자의 도덕이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먼저 실용주의적 읽기가 가능한 지점에서는 공자와 실용주의 사이의 친화성을, 실용주의적 읽기가 곤란한 지점에서는 그 난점의 본질이 해결할 수 없는 철학적 난제가 아니라 시각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임을 드러낼 것이다. 공자의 도덕은 시・공간적 조건에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시중성, 가변성을 견지한다는 점에서 가치의 열린 체계를 강조하는 듀이의 관점과 유사하다. 하지만 공자는 인의예지라는 특정 덕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어떤 가치에도 우위성을 설정하지 않는 듀이의 사유와 표면적으로 어긋난다. 그러나 이 점은 공자와 실용주의 사유와의 소통 불가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인의예지라는 덕목은 실용주의에서도 여전히 유용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실용주의는 공자 도덕이론에 대해 절대주의적 시각보다는 다원주의적 시각으로, 금지의 도덕보다는 권고의 도덕으로 해석할 때 다양한 가치가 혼재하는 지금 우리에게 더 나은 지평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d Confucian moral theory in terms of pragmatism. Pragmatism refuses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at claims objective moral principl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new moral investigation to go beyond them. This pragmatic view allows us to reinterpret Confucian moral theory in the contemporary view. First of all, this paper shows the compatibility between Confucianism and pragmatism in some parts that reveal Confucian thought to be construed as pragmatism. This paper will also consider the need to change the point of view in order to deal with the difficulty of reading Confucius in terms of pragmatism rather than considering it as a philosophical challenge. Confucian moral theory is similar to Dewey's philosophy, which stresses on an open system of value in that it maintains harmony with circumstances and variability in order to produce the best consequences. However, Confucian philosophy has apparently deviated from Dewey's, which does not preferentially put emphasis on any values in that it emphasizes the certain values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This does not mean that it is impossible to associate Confucianism with pragmatism. That is because the values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are also applicable for pragmatism as well as Confucianism. The point is that when Confucianism is interpreted in the perspective of pluralism instead of objectivism and as a recommendatory moral instead of a compulsory one, it gives the better suggestion to those living in a pluralistic society along with various values.

      • KCI등재

        19세기 거문도의 유교적 보수화를 주도한 사상가, 김류(金瀏)

        서영이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Gyureun Kim Lyu(1814~1884) was a thinker that led the Confucian conservative swing of Geomun Island in the 19th century. Inheriting the Philosophy of Nosa, he was the one that revived the Confucian culture on Island Geomun, which attracted attention as a geopolitical strategic point from global powers in the 19th century. His Confucian orientation was further intensified by his realistic frustration with 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 and his witness of the invasion of Joseon's waters by imperialist powers. He diagnosed that his era was an "era of declined dao" and believed that the practice of Zhu Xi's rites and the cultivation of mind in withdrawal in the viewpoint of expelling the West and wickedness would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Jeonghak and Jeongdo and eventually the defeat of Sahak and heresy. This orientation of Kim Lyu was a decisive chance for him to inherit the study of Nosa Ki Jung-jin(1798~1879), who was a renowned Confucian scholar of Honam that insisted on Gangsangron and Wijeongcheoksa of Naesuoiyang. Kim Lyu's ideological achievements can be summarized into ① the spread of Philosophy of Nosa and ② the revival of Confucian culture in the island area. He spread the Philosophy of Nosa by bringing up 131 pupils and over 142 Jaejeon pupils through his pursuit of study for approximately 40 years. He also achieved a "cultural expansion from inland[center] to island[margin]" by taking the lead in the Confucian literary spirit across the island area including Geomun Island. In this aspect, he can be called a "leader of Confucian culture in an island area." He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the Philosophy of Nosa by inheriting Ki Jung-jin's Wijeongcheoksa and practicing "Dohak of Naesu" on Geomun Island where British, Russian, and American warships made frequent appearances in the 19th century, thus being regarded as the thinker that led the Confucian conservative swing. His Confucian conservative swing implies the refusal of the inevitable adjustment of the old authenticity and the fundamental block of meaningful contacts with foreign power out of his wish for a return to the "divine authenticity of the past." 이 논문의 목적은 귤은(橘隱) 김류(金瀏, 1814~1884)가 19세기 거문도의 유교적 보수화를 주도한 사상가였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노사학(蘆沙學)의 계승자인 김류는 세계 열강의 지정학적 요충지로 주목받았던 거문도에서 유교 문화를 부흥시켰던 장본인이다. 김류의 유교적 지향은 입신양명에 대한 현실적 좌절과 제국주의 열강의 조선 해역 침략을 목도하면서 한층 더 심화되었다. 그는 자신의 시대를 ‘도(道)가 쇠퇴한 시대’로 진단하고, 척양(斥洋)ㆍ척사(斥邪)의 견지에서 주자(朱子) 의례의 실천과 침잠의 심성수양이 정학(正學)과 정도(正道)를 지키는 일이며, 그것이 끝내 사학(邪學)과 이단(異端)을 물리치는 방법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김류의 지향은 강상론(綱常論)과 내수외양(內修外攘)의 위정척사(衛正斥邪)를 주장하는 호남의 거유(巨儒)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학문을 계승하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김류의 사상사적 성과는 ①노사학 확산과 ②도서 지역의 유교 문화 부흥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는 40여 년간의 강학 활동을 통해 131명의 제자들과 142명을 상회하는 재전 제자를 배출함으로써 노사학을 확산시켰다. 또한 그는 거문도를 비롯한 도서 지역의 유교적 문풍을 주도함으로써 ‘내륙[중심]에서 도서[주변]로의 문화적 확장’을 이룩했다. 이 점에서 우리는 그를 ‘도서 지역의 유교 문화 선도자’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영국ㆍ러시아ㆍ미국 군함들이 빈번하게 출현하는 19세기 거문도에서 김류는 기정진의 ‘위정척사’를 계승하고, ‘내수(內修)의 도학’을 실천함으로써 노사학의 확산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유교적 보수화를 주도한 사상가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과거의 거룩한 정통’으로의 회귀를 염원하는 김류의 유교적 보수화는 다른 측면에서 외세와의 의미 있는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기존 정통의 필연적 조정을 거부하고 있음을 함축한다.

      • KCI등재

        리학의 재현은 지속가능한가? - 송산(松山) 권재규(權載奎)의 사회적 인식을 중심으로

        서영이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7 No.-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sustainability of Li-Hak’s reappearance even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paradigm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Specifically, the study raised a question as to whether Li-Hak would still have the same momentum during the years of Songsan Kwon Jae-Gyu(1870~1952) that lived the most turbulent period in Korean history. Kwon shows a type of intellectuals that experienced the opening port period, Japanese rule, and Korean War. Inheriting the Philosophy of Nosa faithfully, he lived as a Confucian scholar that consistently dreamed of Neo-Confucianism’s reappearance in Joseon of transformation in which the overall framework of political and social perceptions, customs, thoughts, and values was changing. Unlike the enlightenment advocates that raised issues with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of Joseon, he defined the Western power and Japan that shook up the structure and also the new culture and new learning that accompanied them into Joseon as “something that was not right” and “something bad”. His social perceptions were based on Li-Hak of “Lijonmudae”. According to him, there is universal “Li” commonly applicable to all times and places, and the reality that we face is a phenomenon exposed by the presidency and order of “Li”. In Li-Hak in this structure, it is natural that “seeking after truth[求道]” should be more urgent and come before “saving the world[救世]” to react to the times of changes[應事接物]. The norms that people use can be revis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in which they are used”. Just like different games impose different rules, different periods have different contexts. If such differences are ignored to apply the uniform norms to all situations, the situations will rather be distorted. Given that human beings are organisms that should engage in ongoing interactions with others, the “human duties[理]” are still valid to people. However, as long as “Li” refuses to embrace changes in reality, it will remain only as the product of closed thinking. There should b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s to embrace the changes of the times beyond the exclusive “Li”-centered understanding for the successful reappearance of Li-Hak. This inquiry can be called an “investigation into the periodic context of Li-Hak reappearance”. 이 논문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패러다임의 전환기에도 리학(理學)의 재현이 지속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 역사상 가장 큰 변혁기를 살았던 송산(松山) 권재규(權載奎, 1870~1952)의 시대에도 리학이 여전히 같은 동력을 가질 수 있는지를 묻는다. 권재규는 개항기-일제강점기-한국전쟁을 경험한 지식인의 한 유형을 보여준다. 노사학(蘆沙學)을 충실히 계승한 그는 정치적·사회적 인식, 관습, 사고, 가치관 등의 총체적인 틀이 바뀌는 변혁의 조선에서 일관되게 성리학의 재현을 꿈꾼 유학자다. 그는 조선의 정치·사회·경제 구조에 문제를 제기했던 개화론자들과 달리, 그 구조를 뒤흔드는 서구 세력과 일본, 그리고 그들을 통해 들어오는 신문물과 신학문을 ‘옳지 않은 것’ ‘나쁜 것’으로 규정했다. 이러한 그의 사회적 인식은 ‘리존무대(理尊無對)’의 리학에 토대를 두고 있다. 권재규에 따르면, 동서고금에 통용되는 보편의 ‘리’가 있으며, 우리가 직면하는 현실은 그 ‘리’의 주재와 명령을 받아 드러난 현상이다. 이러한 구조의 리학이라면, 변화의 시대에 대응[應事接物]하기 위해서는 ‘구세(救世)’보다 ‘구도(求道)’가 더 시급한 일이며 선행되어야 마땅하다. 우리가 사용하는 규범들은 그것들이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가’에 따라 수정되고 변화될 수 있다. 마치 게임마다 규칙이 다르듯 시대적 맥락의 차이를 무시하고 모든 상황에 단일한 규범을 적용하려 하면 오히려 상황을 왜곡하게 된다. 타자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 유기체임을 감안하면 ‘사람의 도리[理]’는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하다. 다만, 그 ‘리’가 현실의 변화를 포용하지 않는 한, 그것은 갇힌 사고의 산물일 수밖에 없다. 성공적인 리학의 재현이 되기 위해서는 ‘리’ 중심의 배타적 이해를 넘어 시세의 변화를 포용하는 포괄적 해석이 필요하다. 우리는 이 탐구를 ‘리학 재현의 시대 맥락적 고찰’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중서의 천인관계론 ‒ 개념체계의 진리 인식 결정력

        서영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0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conceptual system implied in the Tian-Ren Relations theory of Dongzhongshu(179?~104? B.C.)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perceptions of truth in the Confucian society of East Asia. The study would demonstrate that the categorization of the conceptual system proposed by Dongzhongshu was a case of strong influences on the Confucian society for 2,000 years or so and check its authority as a standard of an official conceptual system. Dongzhongshu’s Tian-Ren Relations theory was a “ruler-centric” ideological system fit for the political goals of Emperor Wu of Han and can be defined as a product of idealization with a certain intention inserted. Dongzhongshu’s conceptual system was a decisive criterion of social justification to deify the ruler’s power and reduce the status of the ruled relatively. A conceptual system contributes to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existence, discussions about the structuralization and gender discriminations of a power structure, and the justification of patriarchal relations. The society controls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individuals through the purposeful distribution of a conceptual system. Our consciousness and lives are systematically trained, disciplined, and socialized by an official conceptual system. Now there is a need to ask questions about conceptual systems in which “our consciousness and lives” are organized and assessed.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동중서(董仲舒, 기원전 179?~기원전 104?)의 천인관계론(天人關係論)이 함축한 개념체계(conceptual system)가 동아시아 유교 사회의 진리 인식에 결정적이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는 동중서가 제안했던 개념체계의 범주화가 2,000여 년간 유교 사회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한 사례임을 보이고, 공식화된 개념체계가 갖는 준거로서의 권위를 확인하는 것이다. 동중서의 천인관계론은 한 무제의 정치적목적에 부합하는 ‘지배자 중심’의 이념체계로서 특정 의도가 개입된 이상화(idealization)의 산물이라 규정될수 있다. 동중서의 개념체계는 지배자의 권능을 신격화하고, 상대적으로 피지배자의 위상을 축소시키는 사회적 정당화의 결정적 준거였다. 개념체계는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실재를 구성하고, 권력조직의 구조화와 성차의 논의들, 가부장적 관계 등을 정당화하는데 기여한다. 사회는 개념체계의 의도적 유포를 통해 개별자의 의식과 행동을 제어한다. 공식화된 개념체계에 의해 우리의 의식과 삶이 체계적으로 훈련되고 훈육되며 사회화된다. 이제 우리는 ‘우리의 의식과 삶’이 어떤 개념체계들 속에서 구성되고 평가되는지를 되물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실학의 변증법적 전환

        서영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2 No.-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at rethinking Confucianism of Korea “here and now” by analyzing Silhak in late Joseon as it shows a dynamic self-transformation within the bigger framework of Confucianism. The dialectical transition of Silhak in late Joseon contains a process of its renewal from “Confucianism of transcendence” to “Confucianism of real worl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ilhak in late Joseon moved in a direction of emphasizing ①reality of Confucianism, ②open, experiential, and scientific inquiries, ③context-dependent values, and ④priority of “actions” over moral values. This means that the theoretical flow of Silhak made a transition from “transcendent and conceptual inquiries of Neo-Confucianism to realistic and experiential inquiries.” This is why Silhak is an important discourse that cannot be left out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Korea and in the rethinking of Confucianism of “here and now.” Bangye Yu Hyong-won(1622~1673), who is considered as the “progenitor of Silhak,” proposed paths applicable at the level of reality by reinterpreting the Li of Jeongju in the social principles of laws and institutions. Seongho Yi Yik(1681~1763), who is called the “middle ancestor of Silhak,” was active to open Silhak to other areas of study including the studies of Laozu and Zhuangzi, Buddhism, and Western learning, introduced scientific methods of study, and maintained empirical rationality. His viewpoint of a state implies “context- dependent” values grounded in situations.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who is the “compiler of Silhak,” provided a beginning for scientific inquiries by putting an emphasis on the priority of moral “actions” and proposing a method of experiential perception. Hyegang Choi Han-ki (1803~ 1879), who served as a “bridge between Silhak and Enlightenment Ideology,” actively included natural science inquiries such as heliocentricism, Newton's physics, and the mechanistic viewpoint of the human body in his Gi-hak. These findings show that Silhak made a dialectical transition by reorganizing the spirit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of advanced Confucianism anew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Even though Silhak failed to cast off its skin rooted in the dimension of transcendence, its theorization of experiential and scientific knowledge that the Silhak scholars sought after embraced a variety of perspectives critically, which clears shows the philosophical evolution of Silhak. This inquiry shows why one cannot skip to arrive at Confucianism of “here and now” and why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Silhak 이 연구는 유학의 큰 프레임에서 역동적인 자기 변환의 모습을 담고 있는 조선후기 실학을 분석함으로써 ‘지금, 여기’의 한국유학을 재고하려는 시도다. 조선후기 실학의 변증법적 전환은 ‘초월(超越)의 유학’에서 ‘지상(地上)의 유학’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조선후기의 실학이 ①유학의 실제성 ②개방적ㆍ경험적ㆍ과학적 탐구 ③맥락 의존적 가치관 ④도덕적 가치에 대한 ‘행위’의 우선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학의 이론적 흐름이 성리학의 ‘초월적ㆍ관념적 탐구에서 현실적ㆍ경험적 탐구로’ 전환되어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바로 실학이 한국유학사에서, 그리고 ‘지금, 여기’의 유학을 재고하는 데 빠뜨릴 수 없는 중요 담론인 까닭이다. ‘실학의 비조’로 평가되는 반계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은 정주(程朱)의 리(理)를 법ㆍ제도의 사회 원리로 재해석함으로써 현실의 차원에서 적용될 수 길을 제시했다. ‘실학의 중조’로 불리는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은 노ㆍ장, 불교, 서학 등 여타 학문에 대한 적극적 개방과 함께 과학적 학문 방법을 도입, 실증적 합리성을 견지했다. 또한 그의 국가관에는 형세[勢]에 근거를 둔 ‘맥락 의존적’ 가치관이 함축되어 있다. ‘실학의 집대성자’인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도덕 ‘행위’의 우선성을 강조하고, 경험적 인식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과학적 탐구의 단초를 제공했다. ‘실학과 개화사상의 가교자’ 혜강 최한기(崔漢綺, 1803~1879)는 태양중심설을 비롯하여 뉴턴의 물리학, 기계론적 신체관 등의 자연과학적 탐구를 자신의 기학(氣學)에 적극적으로 포함시켰다. 이렇듯 조선후기 실학은 선진유학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정신을 시대의 변화에 맞게 새롭게 재조직함으로써 변증법적 전환을 이루었다. 비록 실학이 초월의 영역에서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했지만, 그들이 추구했던 경험과학적 지식의 이론화는 다양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철학적 진화임에 분명하다. 이러한 탐구는 실학을 건너뛰고 ‘지금, 여기’의 유학으로 올 수 없음을, 그리고 왜 실학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 KCI등재

        도덕화된 음・양의 역사 - 삼경(三經)시대부터 한(漢)대까지 음・양 개념의 은유적 분석 -

        서영이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7 No.2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체험주의의 은유 이론에 의존해 삼경시대로부터 한대까지 사용했던 ‘음’ ‘양’ 개념의 의미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이론적 지반의 변화 경로를 추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유학의 뿌리 개념인 음・양이 생성 초기에는 ‘자연 현상과 물리적 경험을 표상하는 개념’에서, 도덕적 이원 구조를 표상하는 ‘가치론적 개념’으로, 그리고 다시 새롭게 등장시킨 초월적 존재 아래 모든 물리적인 것들을 존재하게 하는 ‘형이상학적 실체’로 정립되어 가는 것을 조망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변모는 은유적 확장의 한 양상임을 보이려는 것이다. 이러한 해명을 통해 우리는 음・양이 객관적이고 확정적 의미를 갖고 있는 순수 개념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요구, 그리고 철학적 의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거듭할 수밖에 없는 유동적 개념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개념은 그 자체로 독립적인 것일 수 없다. 그것은 우리의 다양한 경험의 산물이며, 인간의 물리적 조건들과 상황에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는 비고정적 결과물인 동시에, 우리의 삶을 제약하는 중대한 근거로 작용한다. 음・양 개념에 대한 은유적 해명은 추상적・초월적 개념의 뿌리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이론화되어 거꾸로 우리의 삶을 제약하는지를 드러내는 데 중요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hanges to the meanings of "yin and yang" used between the period of Three Classics and Han Dynasty in terms of the experientialist theory of metaphor, thus tracing the changes of their theoretical frames. This study specificall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yin and yang, the root concept of Confucianism, which has evolved from a "concept to represent natural phenomena and physical experiences" in its early days, through an "axiological concept" to represent a dichotomous moral structure, to "metaphysical substance" to subsume all the physical things under the transcendent being. By this analysis, I tried to show that those transformations gave rise to various patterns of metaphorical expansions. It is through this explanation that one recognizes the fact that yin and yang are not pure concepts carrying objective and definitive meanings but flexible ones that are inevitably subject to various changes due to social and cultural needs and philosophical intentions. Not a single concept can stand on its own feet. A concept is a product of diverse human experiences, non-fixed result of constant exchanges of influences among their physical conditions and situations, and major ground that works to put limits to their life. A metaphorical analysis of yin and yang may offer a crucial ground to figure out the roots of abstract and transcendental concepts, and show the ways how they are theorized, and often suppress and distort human life against their own theoretical pretensions.

      • KCI등재

        율계(栗溪) 정기(鄭琦)의 체용불이(體用不二)의 사유

        서영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9 No.-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to demonstrate that Yulgye(栗溪) Jeong Gi(鄭琦, 1879 ∼1950) with his Li(理) Philosophy thinking systemized the Theory of Li based on Li as the existence of unrivaled no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ty of Substance and Function. His arguments show the line of disputes that naturally moved from "Ki Jung-jin through Jeon Woo, Jeong Jae-kyu, and Jeon Woo to Jeong Gi." Considering that Jeon Woo held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criticism of Eopil(猥筆), Jeong Gi's arguments represented the position of Nosa School at the tip of the biggest branch of the Eopil debate. An examination into his arguments will open an inquiry into an axis of the discourse about the actual flow of the overall point in the Eopil debate. The study contrasted metaphors used by Ki Jung-jin, Jeon Woo, Jeong Jae-kyu, and Jeong Gi and checked theoretical differences and the flow of theoretical flows among them clearly. The points that Jeong Gi made as a representative member of Nosa School around 1936 are arranged into the two following aspects: 1) Jeong Gi inherited the Philosophy of Nosa based on Li as the existence of unrivaled nobility by assuming Li as Doing without Doing, in which process he maintained that Jeon Woo's "Gijai(機自爾)," which means that the material world is what it is itself, offered limited explanations only about "superficial phenomena" of the world. He understood a "superficial phenomenon, Gijai" as a phenomenon of Li's manifestation. This argument is significant as it tries to digest Jeon Woo's criticism within the theories of Nosa School by adding persuasive interpretations about his "Gijai." 2) Jeong Gi sought active interventions into the reality by emphasizing that "Daoxue (道學) and economy were one" from the perspective of substance and function as one. This idea was his attempt to incorporate Ki Jung-jin's Li studies into real issues. This indicates that he realized the fundamental philosophical faith of Nosa School by seeking active interventions and changes for the real society of his time that reached an extreme degree of trouble based on this powerful concept of Li. 이 논문은 율계(栗溪) 정기(鄭琦, 1879∼1950)의 성리학적 사유가 리존무대(理尊 無對)의 주리론을 체용불이(體用不二)의 관점에서 체계화하고 있음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그의 논변은 자연스럽게 ‘기정진전우정재규전우정기’ 로 진행되는논쟁의 계열을 보여준다. 전우가 「외필(猥筆)」 비판의 가장 중요한 비판가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기의 논변은 「외필」을 둘러싼 논쟁의 가장 큰 줄기에서도 가장 끝자락에서 노사학파의 입장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그의 논변을 살펴보는 것은 실제로 외필논쟁 전체의 논점이 어떻게 흘러갔는지에 대한 담론의 축을 확인하는 탐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기정진, 전우, 정재규, 정기가 사용하는 은유들을 대비시켜 봄으로써 그들 간의 이론적 차이와 이론적 흐름의 방향을 선명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1936년경 노사학파를 대변하는 정기의 논점은 다음 두 가지로 정리된다. 1) 정기는 「무위지위(無爲之爲)의 리(理)」를 가정함으로써 리존무대의 노사학을계승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정기는 전우의 ‘기자이(機自爾)’가 세계 현상의 ‘표면적현상’만을 제한적으로 설명하는 것임을 주장한다. 리 발현의 일면적 현상으로 「표면적 현상, 기자이」를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이 갖는 의의는 전우의 ‘기자이’에 대해 설득력 있는 해석을 가함으로써, 노사학파 이론의 내부에서 전우의 비판을 소화하려 한다는 점에 있다. 2) 정기는 체용불이의 관점에서 「도학과 경제는 하나」임을 강조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을 모색한다. 이러한 정기의 사유는 기정진의 리학과 현실 문제를 접합시키려는 시도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강력한 리 개념에 근거해서, 변고의 극단에 이른 당시 현실 사회의 적극적인 개입과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야말로 노사학파의 근본적인 철학적 신념을 실현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