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생지 우점수종의 산마늘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잠재적 알렐로파시 효과

        정미진 ( Mi Jin Jeong ),송현진 ( Hyun Jin Song ),김학곤 ( Hak Gon Kim ),서영롱 ( Yeong Rong Seo ),임현정 ( Hyeon Jeong Im ),강욱 ( Gang Uk Suh ),최명석 ( Myung Suk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알렐로파시 효과 구명을 위해 수종은 울릉도 산마늘 자생지의 우점종인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를 내륙지역 산마늘 자생지 우점종인 신갈나무, 그리고 내륙지역 산지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소나무와 잣나무에 대해 산마늘 종자발아와 실생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잎을 산마늘종자의 발아율 및 생장을 측정하기 위해 낙엽처리, 분쇄잎 처리, 그리고 냉·열수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였다. 그 결과, 낙엽처리에서는 53~58%로 상대적으로 발아율이 높았고, 분쇄된 잎을 인공토와 섞어처리하였을 때 산마늘의 발아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종 중에서는 소나무 처리구가 가장 산마늘의 발아율을 억제시켰으며, 지상부 생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냉·열수 추출물을 다른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 소나무 추출물이 산마늘 종자의 발아를 가장 억제하였고, 전체적으로 냉수추출에서는 침엽수인 소나무와 잣나무 처리에서 낮은 발아를 보였다. 자생지 우점종인 너도밤나무 처리는 산마늘종자의 발아와 실생묘 생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열수추출된 활엽수 추출물은 산마늘의 종자발아와 실생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Allelopathic effect of a dominant tree species on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habitat were investigated using fallen, grinded leaves and aqueous extracts. Fallen leaves showed germination percentage in 53~58%. Seed germination on grinded leaves was inhibited significantly compared to fallen leaves feeding. Fallen leaves of Pinus densiflora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on seedling growth compared to other tree species. Root growth of seedling was inhibited in 3g treatment of Acer okamotoanum, P.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fallen leaves.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in inland area inhibited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which indicates that plants may possible allelopathic activity. Cold and hot aqueous extracts of 5 tree species caused a reduction in germination percent, seedling vigour index. Tolerance index was significantly low as 5.0% in 5% extract of P. densiflora and exhibited unique pattern on seed germination according to deciduous or conifer tree. Cold aqueous extracts of the P. densiflora revealed the strong inhibitory effect on germination, with hot aqueous extracts of deciduous trees exhibiting lower germination percentage.

      • 2년생 버드나무종의 바이오매스 생산 및 화학적 조성

        송현진 ( Hyun Jin Song ),김학곤 ( Hak Gon Kim ),서영롱 ( Yeong Rong Seo ),임현정 ( Hyeon Jeong Im ),조호준 ( Ho Jun Cho ),양우형 ( Woo Yheong Yang ),정미진 ( Mi Jin Jeong ),심선정 ( Seon Jeong Sim ),최명석 ( Myung Suk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해외에너지 자원의 의존도 감소를 위하여 유럽에서는 단기임업(SRC)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1종의 버드나무를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생산 및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였다. 버드나무속 식물은 2011년 3월 경상대학교 학술림 시험지에 식재한 후 2011년 11월과 2012년 11월에 수확하였다. 공시수종들은 수고, 직경, 생중량 및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장 수고가 높은 수종은 Salix 1 이였고, 가장 낮은 수종은 Salix12 이었다. 전체적으로 바이오매스량은 Salix1 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종간 화학적 조성분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저분자물질인 Extractive 함량이 가장 높았던 종은 Salix 2였고, 가장 낮은 종은 Salix3 이였다. 리그닌 함량이 가장 높았던 종은 Salix1 12 였고, 가장 낮은 종은 Salix9 였다. Hemicellul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종은 Salix9 였고, 가장 낮은 종은 Salix1 였다. Cellul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종은 Salix5였고, 가장 낮은 종은 Salix7 이였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산 바이오매스종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Short rotation foresty (SRF) for energy purposes is rapidly expanding in Europe because of the reduced dependence on foreign sources of energy. This study was determined eleven Salix species biomasss produc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The Salixspecies were planted in March 2011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Experiment Forest, harvested in November 2011and again in November 2012. All trees were measured(diameter, tree height, stemwood fresh weight and dry weight). As a result, the highest tree length species was S. glandulosa, and lowest species was S. gracilistyla ``golden`` Overall, the amount of biomass was highest S. glandulosa. The composition of constituents can vary different one plant species to another. Low-molecular material extractive content was the highest species of S. gracilistyla ``golden``, lowest species was S. sachalinensis ``Sekka``. The highest of lignin content was S. gracilistyla ``golden`` and lowest was S. alba ``white``, Hemicellulose content was found the highest species of S. alba ``white``, S. glandulosa has the lowest species Cellulose content was highest species was S. gracilistyla, S. viminalis gigantea has the lowest species. These results wer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 biomass species

      • 수분결핍에 따른 식물의 생리적 변화와 내건성 자생식물종 선발에 관한 연구

        임현정 ( Hyeon Jeong Im ),송현진 ( Hyun Jin Song ),김학곤 ( Hak Gon Kim ),서영롱 ( Yeong Rong Seo ),조호준 ( Ho Jun Cho ),양우형 ( Woo Hyeong Yang ),정미진 ( Mi Jin Jeong ),마호섭 ( Ho Seop Ma ),최명석 ( Myung Suk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식물은 건조 등의 스트레스 하에 놓여 있고, 수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내건성 식물의 선발은 biomass 생산과 종보존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식물의 내건성 생리적지표를 이용하여 내건성 식물을 선발하였다. 자생식물 110종 중 발아율이 높은 수종인 26종을 공시수종으로 선발했다. 내건성을 조사하기 위해 균일한 식물체에 무관수 처리하여 고사 소요일을 조사하였다. 식물의 수분스트레스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프롤린 함량을 분석하여 내건성 평가지표로 활용하였다. 수분결핍에 따른 고사소요일을 조사한 결과, 2일째부터 고사하기 시작하여 10일 이후에도 생존하였다. 그 결과 새, 도깨비가지, 긴담배풀, 매듭풀, 비수리, 참느릅나무는 내건성 수종으로 입증되었다. Proline 분석 결과, proline 함량은 선발된 내건성 식물은 건조조건 부여 전과 내건성 민감성 수종보다 높았다. 본 연구는 내건성 식물종의 육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Many plants are stressed by prolonged periods of dry weather. Selecting trees that use water efficiently must be important in a future plant biomass and conservation. This study was selected of drought tolerance plant by using physiological indicators for drought tolerance. 110 plants germinated and highly germinating 26 species were selected. Four weeks old plants were stopped to irrigation to find out withering day by moisture deficiency. The proline content of the water stressed leaf tissues was analyzed and withering day according to moisture deficiency was examined. When stopped to irrigation, whithering day of plant species was variable from 2 to 10 days. Drought resistance plant confirmed 6 species as Ulmus parvifolia, Lespedeza cuneata, Kummerowia striata, Carpesium divaricatum, Solanum carolinense, and Arundinella hirta Proline content in selected drought tolerance pla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before stopped irrigation and drought susceptible plants. These results can be served breeding of drought tolerance plant from Korean native 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