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상호작용의 의미탐색

        방유선(Bang, Yoo-Se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4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교실 내 상호작용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9월부터 2013년 6월까지 9개월에 걸쳐 총 5명의 유치원 혹은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2-3차례에 걸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교사들은 상호작용의 목적이: 1)유아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을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2)유아들에 대해 잘 알기 위한 것이라고 여기고 있었으며; 상호작용의 형식으로는 1)교사와 유아가 서로 얘기를 주고받는 식으로 하고, 2)유아들의 경험을 고루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며, 3)교사가 계획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잘된 상호작용이라고 믿고 있었다. 또한 1)유아가 자신이 궁금해 하는 것을 직접 체험해 보고, 2)확산적 질문을 잘 활용하는 것이 상호작용의 핵심 기술 및 전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논의한 후, 교사교육과 교육현장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interactions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From September 2012 to June 2013,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wice or three times each.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consider the purpose of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1) to effectively present the educational content knowledge to their children; 2) to know better their children. The teachers also believe that interaction should take the forms of: 1)taking turns in dialogue; 2) listening to every child"s experiences; 3)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as planned. In addition, they perceive that for successful interaction, it is important to use such strategies as providing children with experiential opportunities and asking open ques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lassroom interaction should be viewed as an opportunity to co-construct new knowledge and transform one"s own understanding.

      • KCI등재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사 협력적 관계형성 과정 탐색:

        방유선(Bang, Yoo-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Through observation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is study examined how parents and teachers establish their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parents and teachers: 1)constantly made an effort to establish trust in their own way, but due to the different ideas and expectations on how to build trus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such as the rising tensions between the two parties; 2)experienced limited opportunities for mutual and meaningfu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nd were confused due to 3)the gap between theory and reality and 4)the complexity and uniqueness of the parent-teacher relationship. Particularly,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the insufficiency in field experience and preparation, and the persistent cautiousness often resulted in intensified conflicts and distrust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Therefore, we should not simply ask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to fulfill all responsibilities and ask them for cooperative relationships. More fundamental and structural changes and efforts should be made for improvements in this area. 본 연구는 총 4개월간의 현장관찰과 참여자 심층면담을 통해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와 교사가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왜 경험하게 되는지 부모와 교사 모두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모와 교사들은: 1)협력을 위한 신뢰를 쌓기 위해 노력하고는 있으나,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이견과 서로 다른 기대로 인해 오히려 신뢰를 잃게 되거나 갈등이 고조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있었고; 2)서로 터놓고 의논하는 양방향의 진정성 있는 소통과 참여에 한계가 있었 으며; 3)이론과 현실의 간극 그리고; 4)부모-교사관계의 독특하고 복잡한 특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과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로 간의 이해부족, 경험과 준비부족, 해소되기 어려운 끊임없는 걱정과 피해의식, 그리고 표현 능력부족 등이 이러한 어려움을 야기하고 증폭시키는 원인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와 교사의 관계가 단순한 정보제공과 참석의 차원을 넘어 실질적인 협력의 관계로 나아가기 위해 이루어져야 할 변화와 노력을 크게 네 가지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교사 간 협력적 관계형성을 위한 새로운 시도: 예비유아교육에서의 부모와의 실제경험

        방유선(Bang Yoo-Seon),권귀염(Kwon Kyee Y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가정방문으로 유아들을 가르치며 부모들과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예비교사교육에서 부모와의 사전경험이 교사가 된 후 부모와의 실제 협력에 어떤 가능성과 한계를 제공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기간, 그리고 졸업 후 교사를 하는 기간 중에 총 5차례의 개별면담과 1차례의 포커스그룹 면담, 그리고 참여자의 반성적 저널과 관련 문서수집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부모와의 사전경험은 예비유아교사들이: 1)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부모와의 관계에서 회피보다는 시도를 할 수 있게 도와주었고; 2)부모의 행동과 요구에 대한 비판보다는 다름을 인정하고 공감하려는 성향을 길러주었으며; 3)부모-교사관계의 어려움을 깨닫고 시행착오를 통해 현장에서 필요한 실천방법들을 찾아갈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주었다. 반면, 예비교사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부모와의 협력에 대한 제한된 관점을 전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실습경험이 단절되어 이루어지거나, 실습과정에서 사전교육이 병행되지 않거나, 대학의 교육과정과 연계되지 않는 운영 등으로 인해 부모와 관련하여 단편적인 경험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부모-교사 협력이 실천되기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a practical program with families. A case study of six student teachers was discussed to illustrate the potential of such an approach to this aspect of teacher prepa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eld experience: 1)helped the student teachers overcome their fear of child’s parents and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as teachers; 2)allowed them to develop their attitudes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rather than criticize children’s parents’ behaviors; and 3)helped them realize th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hips and establish effective partnerships with parents in their future professional role. On the other hand, the practical experience had its own limitation in changing the pre-established, limited perspectives of student teachers regarding parent-teacher collaborations. Moreover, the student teachers could only have limited and fragmentary experiences with families in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and improvements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preparing teachers to work collaboratively with families in children’s edu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유아용 편견 검사 도구 분석

        권귀염 ( Kwon Kyee-yum ),방유선 ( Bang Yoo-s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2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 분야에서 반견견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유아용 편견 검사 도구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아용 편견 검사 도구를 사용한 연구 총 114편을 정리하여 분석 대상 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도구들은 장애 관련 도구 ASK(1996)와 PSSHP(1983), 성역할 관련 도구인 SERLI(1978), 외모/체형 관련 도구 VCL(1972)과 여러 편견 영역 검사에서 주로 사용된 양미현(1999)의 질문지이다. 편견 관련 이론에 근거하여 해당 도구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도구들이 20-50년 전 개발되어 과거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어 오늘날 사용하기에는 시대·문화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둘째, 편견의 범주 구분 및 다루고 있는 편견의 내용적 폭과 깊이가 너무 일반적이어서 다면적 차원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셋째, 다양한 편견의 차원과 표출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부 차원 및 표출 수준에 대한 질문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여 편견 검사 도구 개발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bias examination scales for young children, which have been popularly appli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n. In order to select target scales for this study, total 114 studies were reviewed. The selected scales for this study were ASK and PSSHP, which examine disability related prejudice, SERLI, which inspects children’s perceptions on gender roles and stereotypes, VCL, the checklist style scale of appearance related issues, and the most popular one for testing multiple bias topics, Yang(1999)’s questionnaire. Based on diverse theories of human bias, these five scal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ed scales were developed 20 to 50 years ago. Due to old-fashioned perspectives on the biased groups, the scales were problematic and inappropriate for using comtemporary era. Second, the scales categorized biased group of people too broadly, and rarely examined diverse details of prejudice. Third, the scales covered some limited aspects of bias and expression level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bias examination scal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