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국소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서 선행 항암화학요법의 치료결과

        배선현(Sun Hyun Bae) · (Won Park) · 허승재(Seung Jae Huh) · 최두호(Doo-Ho Choi) · 남희림(Heerim Nam) · 양정현(Jung-Hyun Yang) · 남석진(Seok-Jin Nam) · 이정언(Jeong Eon Lee) · 임영혁(Young-Hyuck Im) · 안진석(Jin-Seok Ahn)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2

        목 적: 국소 진행성 유방암으로 선행 항암화학요법 후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1995년 4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는총 159명이었다. 이중에서 진단 당시 종양의 크기가 5.0 cm를 초과하거나 액와림프절 전이가 의심된 유방암 환자로 항암화학요법 후 근치적 수술을 시행하고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은2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anthracycline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항암요법을 사용하였다. 치료 전 임상적 병기는 T13명(3%), T2 26명(25%), T3 39명(37%), T4 37명(35%)이었고 액와림프절 전이가 의심되는 사람이 98명(93%)이었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한 날을 기준으로 추적 조사하였고 중앙추적조사기간은 41개월(7∼142개월)이었다.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국소제어율은 82.1%, 원격전이제어율은 69.9%, 무병생존율은 66.1%, 전체생존율은 77.1%이었다. 무병생존율과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단변량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임상적 원발병소 병기, 병리학적 원발병소 병기, 병리학적 림프절 병기 그리고 병리학적 TNM 병기가 공통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들이었다.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호르몬치료 유무만 생존율과 연관된 의미 있는 인자였다.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삼성서울병원에서 국소 진행성 유방암으로 선행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된 환자의 치료 성적이 지금까지 보고된 다른 선행 항암화학요법 치료 결과와 비교할 때 비슷하거나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호르몬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만 생존율이 의미 있게 좋았고 임상적 병기나 병리학적 병기가 낮은 경우 생존율이 좋은경향을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breast cancer as well as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ifty-nin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ere treated by neoadjuvant chemotherapy between April 1995 and November 2006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Among these patien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5 patients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r a cure with an initial tumor size >5 cm or clinically positive lymph nodes. All patients received anthracycline based chemotherapy except for 2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tumor stage, 3 patients (3%) were cT1, 26 (25%) were cT2, 39 (37%) were T3 and 37 (35%) were T4. Initially, 98 patients (93%) showed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The follow-up periods ranged from 7∼142 months (median, 41 months) after the beginning of neoadjuvant chemotherapy. Results: Locoregional failure free survival rate and distant metastasis free survival rate at 5 years were 82.1% and 69.9%, respectively.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overall survival rate at 5 years were 66.1% and 77.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 univariate analysis indicate that clinical tumor stage, pathologic tumor stage, pathologic nodal stage and pathologic TNM 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overall survival rate. Whereas, a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only hormone therap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survival.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results were comparable to other published studies for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Hormone therap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The patients with early clinical or pathologic stage had a tendency to improve their survival rate.

      • 개별화된 투석액 나트륨 농도 조절이 투석환자의 혈압, 투석간 체중증가 및 갈증정도에 미치는 영향

        삼순;.윤현정;조성이;이세영;이경은;미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과학연구소 2010 중앙간호논문집 Vol.14 No.-

        Purpose: Current hemodialysis prescribing standards use dialysate sodium concenntration that are high relative to the patient's plasma sodium concentration. Generally each patient has a fixed osmolar set point. So, use of hypertonic sodium dialysate predispose to positive sodium balance, lead to higher blood pressure,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thirst. Therefore, we designed a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dialysate sodium concentration centration prescription based on pre-HD plasma sodium concentration on patient's blood pressure,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thirst Methods: Thirty-eight HD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cross-over study. All the patients underwent nine consecutive HD sessions with the dialysate contained 138 mEq/L sodium (standard sodium HD), then concentrations of sodium were switched to match the patients average pre-HD plasrna sodium measured during the sodium standard phase (135mEq/L for patients with sodium levels less than 130mEq/L, 137mEq/L for patients with sodium levels over 138mEq/L). Results: Standard sodium dialysis and individualized sodium alignrnent of the physiological indices Hgb, Hct, Calcium. Kt / V, BUN, Cr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interdialytic weight gain (2.3 ± 0.8kg vs. 2.0±t 0.8kg, p <0.001). Alburnin 3.7±0.4 vs 3.8±0.3, plasma Na concentration of 137.8± 3.1 vs 136.1± 4.4.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ight gain between dialysis and hemodialysis blood pressure 140.9± 13.4 vs 131.8 ± 11.4, weight gain between dialysis 2.0± 0.8 vs 2.3± 0.8, systolic blood pressure after dialysis,. after dialysis, diastolic Blood pressure, pulse rate before and after hemodi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irst. Conclusion: An individualized sodium dialysate based on predialysis plasma sodium levels decreases thirst, interdialytic weight gain, pre-HD SBP

      • KCI등재

        단일 의료기관에서 진단된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임상적 특성

        향미,노진철,종현,연경,황세희,김재윤,김유영,노의정,정은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2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2 No.3

        Purpose:The studies concerning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anaphylaxis, who meet the newly established diagnostic criteria, are reported in Korea, but comparative studies regarding the clinical features of children and adult patients with anaphylaxis are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children and adults with anaphylaxis, who meet the new diagnostic criteria at a single hospital. Methods: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naphylaxis, anaphylactic shock, urticaria, and angioedema, including inpatients, outpatients and emergency room visited patients,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uly, 2005 to August, 2011.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ults, who met the new diagnostic criteria for anaphylaxis, were analyzed. Results:We identified 91 patients with anaphylaxis. Sixteen were children and 75 were adults. The sex ratio (male:female) and the mean age were 1:1.7 and 9.6 years among children, respectively, and 1:2.3 and 42.3 years, respectively, among adults. The most common cause of anaphylaxis based on clinical history was foods in 15 children (93.7%) and 35 adults (46.7%). Twelve children (75%) and 36 adults (48%) were rediagnosed with anaphylaxis.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symptoms and severe severity were 1 (6.3%) and 1 (6.3%), respectively, among children, and 28 (37.3 %) and 23 (30.3%), respectively, among adults. Conclusion:We rediagnosed some cases of anaphylaxis, using the new diagnostic criteria and most of the cases were diagnosed initially as urticaria or angioedema. The adults had more severe and more cardiovascular symptoms than children. In the future, a nationwide, multiinstitutional research will be necessary for the prevalence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anaphylaxis by the new diagnostic criteria in Korea. 목 적:새롭게 정립된 진단 기준에 맞는 아나필락시스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 보고되고 있지만, 소아와 성인에 대한 아나필락시스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단일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새롭게 정립된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아나필락시스로 진단된 소아와 성인에 대한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2005년 7월부터 2011년 8월까지 국립중앙의료원에 입원하거나 응급실 및 외래를 통해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 쇼크, 두드러기, 혈관부종, 유해 반응 등으로 등록된 환자들 중에서 새롭게 정립된 아나필락시스 진단 기준에 합당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소아와 성인에 대한 아나필락시스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연구 기간 동안 아나필락시스 진단 기준에 합당한 경우는 총 91명이었다. 소아는 16명, 성인은 75명이었고, 성비(남:여)와 평균 연령은 소아에서 1:1.7, 9.6세, 성인에서 1:2.3, 42.3세였다. 임상 병력상 의심되는 원인 물질로 소아는 15명(93.7%), 성인은 35명(46.7%)으로 식품이 가장 많았다. 새롭게 정립된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아나필락시스로 새로 진단된 경우는 소아에서 12명(75%)과 성인에서 36명(48%)이었다. 심혈관계 증상은 소아는 1명(6.3%), 성인은 28명(37.3%)이었고, 중증은 소아에서 1명(6.3%), 성인에서 23명(30.3%)이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정립된 아나필락시스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두드러기와 혈관부종으로 진단되었던 환자들 중 상당수를 아나필락시스로 진단할 수 있었다. 소아보다 성인에서 심혈관계 증상이 많이 동반되었고, 중증의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단일 의료기관의 연구이고 연구 대상이 적은 한계가 있으며, 향후 아나필락시스의 유병률과 임상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새로이 정립된 진단 기준을 적용한 전국적 다기관 조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