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개정 법인세법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박효숙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자본시장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단일 기준으로 작성된 재무정보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고, 이러한 수요를 부응하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이 제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2009년부터 선택 적용을 허용하고 2011년부터 전면 적용하기로 하였다. 국제회계기준 도입은 기업가치 평가에 있어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고, 이에 따른 법인세법 개정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조세당국은 이러한 요구에 발맞춰 2010년 법인세법을 개정하게 되었는데, 첫째, 동일한 경제행위에 대하여 동일한 세 부담을 유지, 둘째, 세 부담 차이가 미미한 경우 회계처리를 최대한 수용하여 세무조정 부담 최소화, 셋째, 세법목적상 합당한 회계처리는 세 부담이 증가하더라도 수용한다는 세 가지 기본 원칙하에, 16가지 항목에 대한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법인세법에는 추가로 개정이 필요한 부분이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주장하고 있는 추가 개정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무형 감가상각비에 대한 신고조정 허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 2005~2010년까지의 유·무형 감가상각비에 대한 실증분석결과 IFRS 도입에 따라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와의 괴리가 점점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FRS 도입으로 인해 기업규모별, 산업별 그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에 유·무형자산의 감가상각비에 대한 신고조정을 허용하지 않을 경우, K-IFRS 적용기업과 일반기업회계기준 적용기업간의 조세형평성에 문제가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감가상각방법 및 내용연수 변경신고 사유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투자자산과 유형자산 등의 공정가치 변경에 따라 기업의 자산 변동은 그 편차가 매우 크며 대체로 그로 인해 자산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감가상각과 공정가치는 보다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하고 그 기준이 산업별로, 혹은 개별기업의 특성에 따라 조정이 필요하다. 현행 법인세법상 감가상각방법 및 내용연수 변경 사유에 K-IFRS 최초 도입에 따른 결산상 반영한 경우를 추가하고 있으나, 기업에서 감가상각방법 및 내용연수에 대한 충분한 타당성이 확보된다면 K-IFRS 도입 이후 5년 내 추가 변경이 가능하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시세 차익을 목적으로 한 투자성 재고자산에 대한 공정가치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년간 지속되어온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라 사업본래의 목적이 아닌 시세차익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에 대해서는 공정가치 평가를 적용하여 기업의 자의적인 세금이연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이다. 넷째, 기업회계 원칙을 존중하고 불필요한 세무조정을 간소화하는 차원에서 단기매매 목적의 유가증권에 대한 공정가치 평가 적용해야 한다는 것 등에 관한 추가 법인세법 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K-IFRS의 전면 도입에 앞서 일부 조기 도입 기업들만의 사례만으로는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법인세법 상의 문제점을 충분히 파악하기는 부족하지만, 향후 가능한 회계기준을 수용하는 방법으로 법인세법을 개정해 나가는 것이 납세협력비용을 낮추는 방법이 될 것이다.

      • 사용자 프로파일과 베이지안 학습을 이용한 웹 도서 추천 시스템

        박효숙 仁荷大學敎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동적 추천 시스템의 대표적인 개인화 방법은 협업필터링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동적 링크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자료나 상품 등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협업필터링 과정은 현재 사용자와 유사한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해서 전체 사용자와 유사도를 계산해야 한다는 과정의 복잡성과 사용자 프로파일의 정보가 현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 시점에서 동적으로 갱신이 되지 않으므로 오류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한 선호도를 가지는 사용자를 군집으로 생성하여 이웃 사용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선호도가 동적으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선호도 갱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사용자 프로파일에 나타난 도서 검색 패턴, 대출 도서 빈도 등의 명시적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하고, 베이지안 학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을 기점으로 사전 데이타와 사후 데이터가 선호도 확률에 동적으로 반영되도록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사용자 프로파일과 베이지안 학습을 이용한 사용자 선호도 갱신 알고리즘은 인하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학생들이 대출한 도서현황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도서를 추천하도록 했다.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for personalization can suggest new items and information which a user hasn't expected. But there are some problems. Not only the steps for calculating similariy value between each user is complex but also it doesn't reflect user's interest dynamically when a user input a query. In this paper, classifying users by their interest makes calculating similariy simple. We propose the algorithm for readjusting user's interest dynamically using the profile and Bayesian learning. When a user input a keyword searching for a book, his new interest is readjusted. And the user's profile that consists of used keywords and the presence frequency of keywords is designed and used to reflect the recent interest of users. Our methods of adjusting user's interset using the profile and Bayesian leraning can improve the real satisfaction of users through the experiment with data set, collected in Inha University's central library, It recommends a user books, which he would be interested in.

      • 현대 기독교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과 자녀교육의 방법

        박효숙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Home is an outcome of divine providence. It is the most basic community of faith that was formed even earlier than church. It is also the earliest emerged place of education. Anyone learns basic behavioral patterns of living and forms his own character at a place of meeting, that is, home. Education became provid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as society was industrialized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home were weakened. Nevertheless, home is still important in forming individual characters. The most serious problem faced home of the modern times is child education. This also true to Christian homes. In Christian homes, parents are responsible for child education. It is a command by God. Parents play a role as the proxy of God in educating their children. They should have insights to their children as part of their pledges to God. Child education in Christian homes should be always provided following words and disciplines by Christ. In regard to home education as informal, parents' behaviors, words and thoughts influence children,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Children learn things from their parents than can never be taught elsewhere. Christian homes established under the pledge of blessing could receive and enjoy God's blessing only when parents at those homes are responsible for educating their children as an outcome of the pledge. Parents of Christian homes are requested to have a Biblical view of their children in nursing and educating them. It is because children are creatures of God. Child education could be provided properly only when it is recognized that children could become new creatures within Christ. Based on this Biblical view, parents should play roles as educators and preventive and corrective nursers. Effective ways of child education may include exemplary behaviors by parents themselves, implementation of effective disciplines, use of plays, conversation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establishment of children's self-esteem and family worships with words and prayers. Home education at Christian homes should be made in a way that the tradition of divine pledge is transmitted by people under the pledge. Everyone is easy to be a parent, but difficult to be a good parent. Finding that today's many homes including Christian ones are in the risk of collapse and breakdown, this researcher hopes that above all, Christian home would be recovered and could help many other homes in trouble. But the recovery is difficult to be made by only parents of the homes. So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church should collaborate in recovering Christian homes.

      • 현대 패션에 나타난 네오 모던적 '낯설게 하기'의 미적 특성

        박효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temporary civilization has turned up with an irregular circular nature in a cultural framework made by a man and is not described in its original form even if the past thing is reappeared. Although artistic trends appearing in such an environment have a nature to deny the existing systematic form and idea, they try to reinterpret things in diverse perspectives by way of getting out of a daily life to reach an ultimate goal to pursue ‘a new thing.’ The challenge to a new value system which broke the existing standard form has come to adopt the technique of ‘Verfremdung' to the general literature and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n understanding on a connection between an artistic technique derived from a philosophical thinking and a fashion by studying the neo-modern aesthetic characteristic in ‘Verfremdung’ show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For the purpose of this, the author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through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materials on theory and research regarding the architecture, fine art, philosophy, aesthetics, and style of a dress. In terms of a case analysis, the author used collections from 2000 till 2007 for an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rior researches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a deconstruction-type trend in neo-modernism and a fashion were focused in 1990s. Detail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neo-modernism as a modernism in a new meaning has made diverse trials like the former trends. In addition, the post-modernism is in a relationship like both sides of a coin. The main characteristic can be explained in a deconstruction trend appeared as a connecting link for the two trends. The theoretical observation on ‘Verfremdung’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Vitor Shklovsky, a devotee for formalism. ‘Verfremdung’ is the technique suggested by Russian devotees of formalism to satisfy a desire to be renewed by getting out of a satiated daily life resulting from a repetition and an imitation as well as an intellectual trend to observe and interpret the existing forms in diverse aspects. Verfremdung has a meaning of providing unfamiliarity, being unfamiliar, and strange description and can be a flexible word since it is interpreted in diverse manners depending on a situation. This technique has made a lot of effects on a creative nature together with a formation of the most fundamental idea of a formative art in the 20th century and has become a basis to draw neo-modernism expressional characteristic as 'Verfremdung.' In the Chapter 3, the author conducted a case analysis by using 'collage' and 'montage' which were the criticizing tool in the latter period adopted by Gregory L. Ulmor on the basis of the thinking of ‘Verfremdung.’ The author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 of ‘Verfremdung’ into a reappearance and a representation. In respect of a case analysis on collage, the author made a material, wearing, and costume formation as a lower category. And the author used a photo, painting, and graphic as a lower category in case of a case analysis on montage. In the Chapter 4, through the above study, the author drew an unexpected nature, reappearance, strangeness, and abstraction as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neo-modern ‘Verfremdung’ appeared i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summary of the result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unexpectedness can occur by adopting the technique which could not be thought with the existing fixed idea. It appeared in a collage mainly through a use of a different material and a distortion in a material. An accidental effect not intended was observed. Second, the reappearance had many phases expressed through a pattern in a material and montage and described what a designer intended by making a collage for a symbolic object or attaching a distinctive detail in a formative aspect. Third, the grotesquerie was revealed by way of disregarding a criterion in a standardized pattern, dismantling a central line, exaggerating its form, changing the method to wear, and an optical illusion by way of a pattern, etc. Fourth, the abstraction showed diverse forms of expression without being limited to any framework and expressed the phase to be reconstructed through a deconstruction over the overall method to wear, material, and clothing composition by breaking from a fixed concept.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to present as a method to expand the scope in artistic technique applicable to a fashion and broaden the range and extent of comparison to development phase among genres by way of studying the neo- modern aesthetic characteristic revealed by ‘Verfremdung’, which occurs in a literature genre and is applied into diverse artistic fields, through its application to a fashion. This will be helpful to show that a material in design conception can exist in various manners by transcending a genre and create a new meaning in a fashion. 현대문명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문화적 틀 속에서 불규칙적 순환성을 지닌 채 나타나고 있으며, 과거의 것이 재현된다고 하더라도 원형 그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등장하는 예술사조들은 기존의 체계화된 형태와 이념을 부정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새로움’을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하고자 일상에서 탈피하여 다각도로 사물의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기존의 정형성을 파괴한 새로운 가치체계에의 도전은 ‘낯설게 하기’(Verfremdung) 기법을 문학, 예술 전반에 도입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낯설게 하기’의 네오 모던적 미적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철학적 사유에서 기인한 예술기법과 패션과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건축, 미술, 철학, 미학, 복식에 관한 국내·외 관련 서적 및 이론연구 자료를 통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사례분석은 네오 모더니즘의 해체주의적 성향과 패션과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상이 1990년대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여, 2000년에서 2007년까지의 컬렉션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2 장에서는 네오 모던적 ‘낯설게 하기’의 이해를 위하여 네오 모더니즘과 ‘낯설게 하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네오 모더니즘은 새로운 의미의 모더니즘으로서, 이전의 사조들이 해왔던 것처럼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과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관계에 있으며, 주된 특성은 두 사조의 연결고리로 등장한 해체주의적 성향으로 설명될 수 있다. ‘낯설게 하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은 형식주의자 빅토르 쉬클로프스키(Vitor Shklovsky)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낯설게 하기’는 반복과 모방에서 오는 식상한 일상을 탈피하여 새로워지려는 욕구와, 기존의 형식을 다각도로 관찰하고 해석하려는 지적 성향을 충족시키기 위해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에 의하여 제안된 기법이다. 페어프렘둥(Verfremdung)은 ‘낯설게 하기, 낯설게 됨, 낯선 묘사’라는 의미가 있으며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는 만큼 유동적인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이 기법은 20세기 조형예술의 가장 근본적인 이념 형성과 함께 창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낯설게 하기’로서의 네오 모더니즘적 표현특성을 도출하는 근거로 하였다. 제 3 장에서는 ‘낯설게 하기’의 사유를 바탕으로 그레고리 울머(Gregory L. Ulmor)가 사용한 후기비평장치인 ‘콜라주’(collage)와 ‘몽타주’(montage)를 사용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낯설게 하기’의 특성을 재현성(reappearance)과 표상성(representation)으로 분류하였고, 콜라주의 사례분석에는 소재, 착장, 의복구성을, 몽타주의 사례분석에는 포토, 페인팅, 그래픽을 하위범주로 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네오 모던적 ‘낯설게 하기’의 미적 특성으로 의외성, 재현성, 기괴성, 추상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외성은 기존의 고정관념으로는 생각할 수 없었던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다. 주로 이질적 소재의 사용과 소재의 왜곡을 통하여 콜라주에서 나타났으며, 의도되지 않은 우연적 효과도 관찰되었다. 둘째, 재현성은 소재의 문양, 몽타주를 통하여 표현되는 양상이 많았으며, 조형적 측면에서는 상징적인 물체를 콜라주하거나 특징적인 디테일을 부착함으로써 디자이너가 의도하고자 하는 바를 나타냈다. 셋째, 기괴성은 정형화된 패턴의 기준을 무시하고 중심선을 해체하거나, 그 형태를 과장, 착용방법의 전환, 패턴에 의한 착시 등을 통하여 나타났다. 넷째, 추상성은 어떠한 틀에도 얽매이지 않을 만큼 다양한 표현형태를 보였는데,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착장법, 소재, 의복구성 전반에 걸친 해체를 통하여 재구성 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학 장르에서 발생하여 다양한 예술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낯설게 하기’가 패션에 응용되어 나타나는 네오 모던적 미적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패션에 적용 가능한 예술 기법 범위의 확대와 장르간의 전개양상에 대한 비교의 폭과 범위를 넓히는 하나의 방식으로 제안함에 의의를 둔다. 이는 디자인 발상의 소재가 장르를 초월하여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패션의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데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치유 의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효숙 평택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잃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치유 의례가 갖는 의미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이들의 신체적, 심리적, 영적 반응은 무엇인지, 기독교 장례예식에서 애도를 촉진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장례예식을 포함한 목회상담적인 관점에서 예배, 성례전, 공동체의 돌봄을 통한 치유 의례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세 가지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 으로는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치유 의례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중시하기 위해 클랜디닌과 코넬리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3살, 6살, 15살 어린 자녀를 잃은 지 7년 미만의 어머니로서 치유 의례 경험을 통해 회복된 기독교인들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이루어졌다. 방법은 주로 면담을 통하여 진행되었고 그 외 메일, 음성파일, 문자 등을 포함하며 이들의 살아있는 경험과 이야기 안에서 의미를 찾고자 분석과 해석 과정을 반복하였다.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치유 의례 경험에 관한 연구 질문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녀를 잃고 신체적 반응으로 조금씩 양상이 달랐지만 각각의 다른 모습으로 평소에 약한 부분이 더 악화되거나 새로운 신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심리적 반응으로는 여러 가지 복잡하고 다양하게 얽혀있었지만 그중에서도 절망과 좌절, 그리고 죄책감이 심하였다. 영적 반응으로 처음에 “어떻게 하나님이 이럴 수가 있어?”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라는 질문들을 했으며 하나님께 화를 내거나 원망을 하기도 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기독교 장례예식이라는 죽음 의례를 통해 개인적인 사건이 공동체로 연결되고 죽음 이후에도 만날 수 있다는 소망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애도를 촉진시킨 긍정적인 요인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애도를 대부분 잘하였지만 짧은 의례, 유가족과 조문객의 관계들, 성급한 위로, 자녀의 죽음과 관련된 복잡한 사연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애도를 방해하고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장례예식을 포함한 치유 의례로서의 목회상 담적인 예배, 성례전, 공동체의 돌봄을 통해 하나님의 이야기와 현재 일어나는 개개인의 삶을 연결시켜 새로운 의미를 만들고 미래에 대한 소망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의례는 하나님의 이야기와 인간의 삶의 이야기가 엮어지면서 정서적으로 안아주는 경험과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하는 거룩한 자리로서 치유 의례가 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치유 의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 하여 질적 분석의 준거로 사용한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의 틀을 갖고 치유 의례를 재해석하였다. 치유 의례는 공동체의 전통을 전수받고 가치와 의미가 새롭게 형성되며, 신체적, 심리적, 영적의 상처들을 치유하는 자리였다. 또한 행동이 강화되고, 감성적 확신이 일어날 수 있는 자리로서, 전 인적 치유가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치유 의례는 예배학뿐 아니라 목회상담적으로 중요한 주제로서 간학문적 대화와 접근이 가능하며 기독교 관점 에서 예배, 성례전, 공동체의 돌봄을 통해 치유 의례를 정의하고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healing ritua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The study focused on three main aspects: mother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reactions concerning to the loss of their children, facilitating or hindering factors on mourning in christian funeral, meaning of healing ritual through services, sacrament, caring of community in terms of pastoral counseling. The study was conducted by narrative inquiry of Clandinin & Connelly in order to understand mothers’ healing ritual experiences and put importance on them. Participants are three Christian mothers who has been less than 7years of losing their children who were three, six and 15 years old, respectively and they overcame their sorrow through healing ritual.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016 to March 2017 mainly through interview. Also, mails, record file, text message were used and the author repeate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ir experience and stories. The result of the study on healing ritual of mothers who lost their child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had health problems in different ways, their weak part became devastated or new diseases occur. Also, they showed many psychological reactions and feelings but most of them showed despair, frustration and felt guilty. In spiritual reaction, they felt angry at God, shouting “How can God do this to me?” or “Why did this happen to me?” Second, Christian funeral acted as a positive factor which facilitated mourning because their individual incidents connected with community and they had a belief that they can meet their child again after the death. Most of participants went through mourning quite well however, short fu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reaved and condolers, hasty consolation or any other complicated stories related to the child’s death were hindering mourning process. Third, participants had a hope of future through worship, sacrament, caring of community in terms of pastoral counseling and connected their individual life with God’s story. This ceremony acted as healing ritual of consoling the bereaved mothers and experience the existence of God by connecting God’s story with humans’ stories. This study reinterprets healing ritual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narrative inquiry on healing rituals of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with temporality, extensity, relation. A healing ritual has a tradition of community and makes a new meaning, heal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hurt. Also, it strengthens behavior and emotion so that whole body can be healed. Healing rituals are valuable not only in worship but also in pastoral counseling as well as in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accessibility, and in defining and studying healing rituals through Christianity, worship, sacrament, and community care. Major terminologies: loss of a child, christian funeral, mourning, worship, sacrament, caring of community, healing ritual, narrative inqui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