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몽 출생의례의 비교민속학적 고찰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40

        한국의 민속문화를 구체적이고도 심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주변 문화권과의 지속적인 비교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의 출생의례를 몽골의 출생의례와 비교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민속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를 비교 분석하여 두 문화 속에서 출생의례가 가지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고찰해봄으로써 한국과 몽골의 민속문화가 가질 수 있는 문화적인 친연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출생의례와 연관된 다양한 영역 중에서 설화, 속신어, 역사문헌자료, 일상적인 생활문화에 초점을 두고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한국과 몽골의 경우 모두 기자속(祈子俗), 산전속(産前俗), 산후속(産後俗), 육아속(育兒俗)이 골고루 잘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육아속은 백일날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식(儀式)과 출생 후 일주년을 기념하는 돌날까지를 육아속으로 보는데 반하여 몽골의 육아속은 출생 후 수년 후에 비로소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례를 행하기 때문에 출생 후 수년까지 좀 더 시간이 연장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출생의례와 관련해서 한국의 경우는 먼저 태어난 아이가 연장자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하여 몽골의 경우 쌍둥이가 태어나면 먼저 태어난 아이가 동생이고 뒤에 태어난 아이가 형이 되는 풍속이 있다. 즉 전통적인 몽골사회에서 연소자는 연장자를 위하여 먼저 나가서 문을 열어주고 밖의 상황을 판단해야하는 것이므로 쌍둥이가 태어날 때도 나중에 태어난 쪽이 연장자가 되는 셈이다. 한편 한국의 출생의례를 보면 태어난 아기를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역신(疫神)을 속이기 위하여 천한 이름(人名)으로 아명(兒名)을 지어주기도 하는데, 몽골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역신을 기만하고 속여서 역신으로부터 어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식물의 이름이나 혐오스럽고 이상한 이름(人名)을 지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어린 아이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거쳐야만 하는 통과의례의 전이(혹은 중립)단계인데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investigate Korean folk culture thoroughly, it is essential to precede comparative and ongoing studies of neighbouring cultural areas. For this reason, I will look into Korean and Mongolian rites of birth in this article. Ar the same rime, I will search for cultural relevancy by analysing commonalities as well as differences within Korean and Mongolian rites of birth. Though there are many folkloric aspects on rites of birth, I will mainly focus on folktales, folk belief terms, historical documents and living culture in every day life. Comparing the tires of birth in Korea and Mongolia show thar both contain customs concerning folk praying for a son, various folk belief dealing with giving birth, folk culture for rearing an infant, ere. However, in Korea the folk custom for childcare continues from the hundred days celebration after birth, when the baby's hair is firstly cur, until the baby's first birthday the so called dol. 'Whereas in Mongolia, it extends for several years further since the first cutting rituals for baby's downy hair are performed a couple of years after birth. Also, in relation to rites of birth, it is interesting to mention following derail. In Korea, when twins are born, generally the earlier born baby is considered to be a senior to the latter one. In comparison, Mongolians believe thar in the case of twins the junior one is born firstly for it is inspecting the outside world on behalf of its senior. In addition, there is an unique folk culture apparently in both Korea and Mongolia. For example, people in both countries used to give strange and disgusting names for babies to deceive unwanted spirits, e.g. the spirit of smallpox. This folk practice indicates thar an young infant has to experience this kind of process to gain a full membership of the society, similar to the liminal or transitional stage in Leach's terminology.

      • KCI등재

        음식 속담 속에 반영된 조선족 어휘와 언어문화에 대한 고찰

        최용림 ( Yonglin Cui ),박환영 ( Hwanyoung Park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음식 속담 속에 반영된 중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사회의 새로운 어휘와 언어문화를 찾아 분석하는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성분분석법을 활용하여 음식 속담 속에 반영된 어휘와 언어문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이 연구는 성분분석법을 활용하여 『조선말 속담 분류 사전』과 『학생들을 위한 조선말 성구 속담편람』에 수록된 속담의 어휘 간의 의미적 관계와 언어문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 속담 사전을 활용하여 어휘와 언어문화를 찾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 음식 속담 속에 내포한 계란, 고기, 곡식, 과일, 국, 국수, 꿀, 떡, 반찬, 밥, 술, 채소, 양념과 해산물 등 어휘를 통해 한국어 속담 사전에 내재된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중국 조선어 속담 속에 내포된 은유적 특징과 언어문화를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analyze the new vocabulary and language culture of the Korean-Chinese community residing in China, as reflected in food proverbs. This study utilized the component analysis method to examine the vocabulary and language culture reflected in food proverb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mponent analysi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emantic relationships and language culture among the vocabulary of proverbs included in the “Dictionary of Korean Proverbs” and the “Proverb Handbook for Students in Korean.” Additionally, the study intends to explore vocabulary and language culture using a Korean proverb dictionary.By examining the vocabulary encompassed in food-related proverbs such as eggs, meat, grains, fruits, soup, noodles, honey, rice cakes, side dishes, rice, alcohol, vegetables, seasonings, and seafood, differences inherent in the Korean proverb dictionary were identified. Furthermore, metaphorical characteristics and language culture embedded in Korean-Chinese proverbs were expl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