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무왕대 고구려·가야의 조상제사 재개 조치와 그 의미

        박초롱(Park. cho rong)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6

        이 글은 문무왕대 신라에서 이전 시기와 달리 복속시킨 왕조의 조상제사를 허용해주는 조치가 나타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의 제사 재개 기사와 『삼국사기』의 고구려 유민 안승에 대한 책봉 기사에서 각각 그들 왕실 조상에 대한 제사를 지속하도록 허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조치는 유교 이념을 표방하여 이루어졌으며 제사의 주관자를 국가가 특정했다는 점에서 이전과 다른 논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동시기 唐에서 국가 제사로서 先代諸王들을 제사하고 있었고, 특히 前代 두 왕조의 후예를 봉작하여 대우하고 조상 제사를 주관하게 한 二王後 제도가 시행되고 있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문무왕의 재당 경험과 당 문물에 대한 무열왕 父子의 관심, 당시 신라의 유교에 대한 이해 등을 생각할 때, 이왕후제도와 문무왕대 나타나는 고구려와 가야국 왕실 조상제사에 대한 새로운 처리 방식을 중국의 이왕후제도를 비교하는 것은 유의미하리라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1장과 2장에서는 문무왕대 가야와 고구려의 왕실 조상 제사에 대한 기록을 상세히 살폈다. 1장에서는 신라가 안승을 고구려왕으로 책봉하고 “선왕의 정식 상속자[先王正嗣]”로 공인하여 고구려 왕실 제사를 지속시킨 사실에 주목하였다. 2장에서는 해당 기사를 이전의 해석과 달리 수로왕을 비롯한 가야국 왕실 조상에 대한 제사를 지속하게 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중국의 이왕후 제도가 성립하고 전개되는 과정을 간략히 정리한 다음, 문무왕대 가야·고구려 왕실의 조상 제사에 대한 처리 방식과 중국 이왕후 제도를 비교하였다. 이왕후 제도는 “망한 나라를 일으켜주고 끊어진 세대를 이어주는” 덕을 베푸는 것이 천명을 받은 王者의 도리라는 관념 아래 성립된 것이었다. 신라는 이왕후 제도를 원용함으로써 신라가 이러한 王者의 덕을 갖추고 있다는 것과 제사를 지속시킬 대상을 선정할 수 있는 현실적 힘이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하였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나당전쟁 속 치열했던 당과의 갈등과 함께 백제와의 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복속된 국가들의 제사를 지속시켜 주는 가운데 백제를 제외시킨 것은 백제와의 오랜 악연 때문이었다. This study focused on actions allowing the ancestral rites of the subjugated dynasty that appeared in Sh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unlike previous time periods. The account from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on the resumption of the rites from The National History of Garak and the account from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on the appointment of Seung Ahn, a refugee from Goguryeo, reported that everyone was allowed to continue rites of their ancestors from royal families. Apparently, this action was implemented using a different logic than before; namely, it advocated Confucian ideals and the state specified the overseer of the rites. In the same period in Tang(唐), the national rites were made to previous emperors; specifically, the two royal descendants(二王後) system, in which the descendants of the two dynasties of the previous generation were considered to be invested with titles of authority and made to oversee ancestral rites, was implemented. Considering the experience of King Munmu as a settler, his father King Muyeol’s and his son’s interest in the culture of Tang, and the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Shilla at the time, we believed that it would be relevant to compare the new method of discussing the royal ancestral rites of the Goguryeo and Gaya royal families that appear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with the two royal descendants system of China. Following this, Chapters 1 and 2 provide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records on the royal ancestral rites of Gaya and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In Chapter 1, we focused on the fact that Shilla resumed the royal rites of Goguryeo by appointing Seung Ahn as the king of Goguryeo and announced him to be “the official heir to the previous king.” In Chapter 2, unlike previous interpretations of the relevant accounts, we revealed that ancestral rites to the royal family of Gaya, including King Suro, were allowed to resume. Finally, in Chapter 3, after briefly summarizing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two royal descendants system in China, we compared the method of addressing the ancestral rites for the royal families of Gaya and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with the two royal descendants system of China. The two royal descendants system was established under the notion that the charitable act of “raising fallen countries and reestablishing broken generational ties” was the duty of the king who received authority from the heavens(王者). By claiming the two royal descendants system, Shilla aimed to boast of the fact that it had a virtuous king who received authority from the heavens and that it had the practical power to select the target to continue the rites. The fierce conflict with Tang in the Shilla-Tang War along with the relationship with Baekja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The reason that Baekjae was excluded, although the rites of other subjugated countries were allowed to continue, was its long-term, ill-fated relationship with Shilla. Therefore, we investigated how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nations was not completed instantly but was an integration through stages by examining how Shilla allowed only a few of their subjugated countries to continue ancestral rites.

      • KCI등재

        고대 수묘제와 백제 수묘(守墓) 연구

        박초롱 ( Park Cho-ro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1 백제문화 Vol.0 No.64

        본고는 문헌과 고고자료를 통해 고대 수묘의 기초적 검토부터 백제의 수묘 흔적까지 그 일면을 그려보았다. 수묘와 관련한 기록은 백제를 제외한 고구려, 신라에서만 보이며, 이에 기존 문헌을 토대로 백제 수묘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수묘인의 역할에 대해서는 단순히 묘를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청소와 관리, 그리고 제사를 지내는 업무까지 있음이 살펴졌다. 또한 『日本書紀』기록을 통해 능을 지키는 우두머리가 있었고, 백제 국명 성씨를 가진 ‘百濟春繼’라는 인물이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백제와 관련한 인물 혹은 집단이 일본의 수묘에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백제 지역 내 수묘와 관련한 고고학적 성과를 살펴보았다. 백제에서는 익산 석왕동 유적과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을 주목해보았다. 석왕동 유적은 쌍릉 옆에 위치하면서 어느 정도 위계를 가진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이를 사비기 무왕이 익산 쌍릉에 안장되고, 수묘하기 위한 집단의 안치와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의 조영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최근 주변에서 발굴된 주거지와 취사용기, 농경과 관련한 흔적이 보여 뒷받침되고 있다. 또한 이전 시기의 영향으로 능산리 서고분군을 주목해보았다. 서고분군에 인접한 2호 건물지와 수혈 주거지는 고분 바로 옆에 위치하면서 난방과 취사시설, 그리고 옆의 의례적 성격이 있는 건물지 등을 보았을 때 빈장 혹은 수묘 등의 의례와 관련한 시설 정도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본 논고는 기록에는 보이지 않지만, 주변 나라의 영향과 최근 발굴성과를 통해서 백제 내 수묘인의 모습을 상정해 보았다.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artifacts of the baekje guardian of tomb I checked out the traces. Guardian of tomb is related to the goguryeo, only visible in the shilla. So, to the literature of the baekje guardian of the possibility of tomb. Guardian of tomb simply about the role of the tomb as well as the cleaning and management, and Funeral rituals. In the “Nihon-Shoki” record, it is noted that there is a character named “bakjechungae” with the surname “bakje”.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a person or group related to baekje may have influenced the Guardian of Tomb in Japan. We looked at the archaeology related to the Guardian of Tomb in Baekje. We noted Iksan Seokwang-dong and west thombs of Neungsan-ri. Iksan Seokwang-dong is located next to Ssangneung, and artifacts with a high hierarchy are excavated. We looked at this as Sabi Muwang being buried in Ssangneung, a group's presence for Guardian of Tomb, and the contrast of facilities for managing them. We also noted the west thombs of Neungsan-ri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revious period. Located right next to the ancient tombs, a building site with heating, cooking facilities, and ceremonial characteristics was discovered in the Westombs of Neungsan-ri. This paper is not seen in the records, but the influ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recent excavation results have assumed the appearance of the Guardian of Tomb in Baekje.

      • KCI등재

        백제 사비시기(泗비時期) 오제(五帝) 제사 시행과 그 의미

        박초롱 ( Cho Rong Park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논문에서는 국가제사가 왕권을 정당화할 뿐만 아니라 국가 지배질서를 상징한다는 관점 아래 제천의례를 중심으로 백제 국가제사체계 변화와 그 의미를 규명하였다. 특히 사회사적·사상사적 의미에 천착하였다. 백제의 국가제사체계는 4세기경 동명묘(東明廟)와 천지합사(天地合祀)를 중심으로 정립하였고, 사비천도를 기점으로 구태묘(仇台廟)와 천급오제지신(天及五帝之神)을 제사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때 오제(五帝)라는 새로운 신격(神格)의 도입을 사비기 백제의 새로운 지방통치체제인 5방제(5方制)와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삼국사기』의 백제 제사 기록들에서는 온조왕·다루왕대에 최초로 동명묘와 천지에 제사 한 이후 약 200년 간 시간적 공백이 나타난다. 따라서 초기의 제사 시행기록은 국가차원에서 행해진 제사라고 보기는 어렵다. 백제에서 국가제사체계가 정립된 것은 4세기경으로, 중국식 예제의 수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비류왕 10년(313) 제장(祭場)을 남교(南郊)로 표현하고, 근초고왕 2년(347) 제사대상인 천지를 천지신기(天地神祇)라고 한 점에서 중국식 예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짐작할 수 있다. 남교제천(南郊祭天)은 전한(前漢) 말 왕망(王莽)의 교사(郊祀) 개혁을 통해 정립된 것이고, 천신지기는 『주례』를 따른 표현이다. 즉, 남교와 천지신기라는 용어는 백제가 중국식 예제를 이해하고 그에 따라 제사를 체계화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3세기 이후, 특히 책계왕 이후로는 즉위 다음해 정월로 정례화되어 가는 것과도 유관하다. 따라서 4세기에는 중국 예제의 영향 아래 동명묘와 천지제사 중심의 국가제사체계를 정립하였다고 생각된다. 한편 『주서』를 시작으로 『수서』, 『북사』, 『한원』 등의 중국 기록에서는 동명묘가 구태묘로, 천지는 천(地)·오제로 제사 대상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때 변화의 기점은 국가체제를 재정비하고 제장이 변화하는 성왕의 사비천도로 추정된다. 백제 국가제사체계 변화, 그 중에서도 제천의례의 변화로 크게 두 가지 점이 주목된다. 첫 번째는 오제가 도입되어 사중월(四仲月)에 제사했다는 것이다. 사중월은 『상서』, 『예기』, 『사기』, 『춘추좌전』 등 중국의 유교 경전과 사서 속에서 국왕의 순수(巡狩)와 관련한 시기로 나타난다. 순수는 영토 통치 방식이자 사방천하(四方天下)를 관할하는 천자의 지배력을 확인·공표하는 상징적인 행위이다. 따라서 사중월의 오제 제사는 백제 국왕이 천하군주로서의 지위를 상징했던 것을 보여준다. 한편 오제의 도입은 사비천도 후 영산강 유역 등을 5방제 아래 편재하는 과정에서 부여계 시조인 동명은 왕권과 지배 정당성을 보장해 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오제는 중국의 관념으로 보편성을 지닌 것으로 인정받았다. 두 번째는 변화한 국가제사체계 내에서 제천의례의 중요성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중국의 유교식 제사체계 정착과 함께 중국의 천 관념이 도입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경우 천이 유덕자(有德者)에게 천명(天命)을 내린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리고 이때 천의(天意)·천심(天心)은 민의(民意)·민심(民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백제의 경우 중국 천 관념의 수용 흔적과 함께 웅진기인 문주왕, 무령왕 즉위 기사에서부터 민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어 주목된다. 이런 바탕 위에 성왕의 제사체계재정비가 이루어졌고, 시조묘보다 제천의례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국왕의 지배정당성을 보장하는 논리가 천명사상(天命思想)이라는 보편원리에 기초한 것으로 변화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meaning of changes in the state ritual system of Baekje(百濟) focusing on ritual for the god of heaven and earth while looking at the state ritual as a way to legitimize political power and a symbol for King``s authority. The state ritual system which focused on ritual for Sijo-Dongmyeng-Myo(始祖東明廟) and the god of heaven and earth was established around the fourth century. The system was closely related to acceptance of chinese ritual institution. The influence from Chinese ritual was evidenced by terms used in Baekje``s ritual. The place for ritual was called Namgyo(南郊) in the 10th year of King Biryu(比流王) and the object for ritual, the god of heaven and earth was named as Cheonjisinshi(天地神祇). Baekje understood the Chinese ritual institution and organized its state ritual accordingly. Since the third century, especially after King Chaek-gye(責稽王), rituals were held regularly in January. Meanwhile, old documents from China including the Chou-shu(周書) show that objects for rituals were changed to Sijo-Gutae-Myo(始祖仇台廟) from Sijo-Dongmyeng-Myo and to the god of heaven and earth and five Emperors( 帝, wudi) from the god of heaven and earth. It is assumed that the change in the state ritual began with a shift of the capital to Sabi(沙비) in King Seong(聖王) age. Along with the capital transfer, King Seong reorganized the state system which changed the place of rituals. The time of the Five Emperors of Baekje was fixed for a middle month of each season, Sajungweol(四仲月) February, May, August, November. There was any case found that the rituals were practiced in those four months in China. Yet, according to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ical documents, those four months had particular meaning in connection with king``s tour of inspection that meant reinforcement of his authority in local regions. In The Seo-gyeong(書經), it is found that King Shun(舜) performed similar rituals. When the King was succeeded to the throne he carried out a ceremony in the capital. After the ceremony, King Shun made a tour in four directions and offered sacrifices to the heaven in each sacred mountain. Then, he met feudal lords of the regions. The ceremonies in sacred mountains have some similarities with the way of Obangje(the ceremony for five directions, 五方帝) in Ogyo(五郊). That is, Sajungweol five the Emperors of Baekje can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practices of the local ritual, Obangje of Sabi era. The five Emperors represented gods of directions. There are two notable changes in a harvest ceremony in the changed state ritual system. First, the ceremony was performed on Sajungweol after Baekje had introduced Oje. The fact that the King practiced a ceremony for Oje in Sajungweol revealed how Baekje perceived local provinces as some kind of feudal states. With such perception, the central government naturally upgraded to a state of the son of heaven. Second, importance of the ceremony in the changed system grew. This change was closely related to establishment of Chinese confucian ritual system along with introduction of a notion of heaven. Chinese ‘tian(天)’ handed down orders to moral men while in ancient Korea, god of the heaven was related to the progenitor by blood. Against this backdrop, as the harvest ceremony became more important than Sijo-Myo, it is deemed that a universal principle, Tian-Ming(天命) through was utilized as a logic to legitimatize political power.

      • KCI등재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재난관리 시스템

        박초롱(Cho Rong Park),이기영(Ki Young Lee) 한국IT마케팅학회 2014 한국IT마케팅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

        Currently, the incidence of such disasters accidents worldwide forest fires, earthquakes are increasing. Particularly nation is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and communication of accident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there is a dual system. In this study, we utilize the SNS as a means for delivering information services and disaster incident management system and effectively . In addition, by applying text mining to analyze the data effectively SNS and quick to implement a system to request from the competent authority structure.

      • KCI등재
      • KCI등재

        진흥왕순수비 건립의 의의

        박초롱(cho-rong, Park)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8

        이 글은 왜 진흥왕은 巡狩碑를 건립하였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진흥왕 이전에도 삼국의 국왕들은 순수를 행했으나 순수비를 건립하였다는 기록도 현전하는 비문도 없다. 또 진흥왕순수비의 형식은 이전의 신라비나 고구려비에서 예를 찾을 수 없는 것이었다. 위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중국에 순수비가 건립된 선례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글에서는 중국의 사례와 진흥왕순수비를 비교 검토해보았다. 1장에서 중국의 巡狩개념과 의례가 성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2장에서는 중국의 순수비 건립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신라에서 순수비를 건립할 당시 진시황의 순수 이후 건립된 刻石과 북위의 순수비를 참고했을 것으로 보았다. 또 순수의 근거로서 자주 제시되는 『尙書(書經)』가 진흥왕순수비 작성에 중요 자료가 되었으리라 보았다. 이를 통해 진흥왕 순수비를 순수 儀禮라는 관점에서 재검토해보았다. 이어서 진흥왕의 순수비 건립이 갖는 사회적 의미도 밝혀보고자 했다. 순수비가 『상서』에 근거한 왕도정치 이념을 표방한 이유를 지방지배체제의 변화와 연관지어 해석하였다. 德化로 민심을 획득하려 한 배경에는 새로 편입된 지역의 피복속민을 6세기에 국왕의 公民으로 인식하게 된 사회적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왜 중국의 순수 개념에 근거하여 순수를 행하고 비문을 작성하였는지에 대한 대답이 될 것이다. 중국의 순수 개념에 따르면 순수는 祭儀를 통해 天子가 권위를 확인받고 民政시찰을 통해 지배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신라는 새로 확보된 지역과 民에 대하여 국왕 지배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보편적인 논리로서 중국의 순수를 차용한 것이었다. 실제 이러한 이념은 순수 의례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공표되었을 것이다. 진흥왕순수비는 그 순수 의례의 최종결과물이자 상징으로서 건립되었다.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 question of why King Jinheung established sunsubi (monuments commemorating the king’s tour). The kings of the Three Kingdoms before King Jinheung had also performed sunsu (tour of the country), but there are no records or epitaphs proving that they had established sunsubi. In addition, the form of Jinheungwang Sunsubi is unprecedented in previous Silla or Goguryeo monuments. Chapter 2 examined the process in which sunsu (巡狩) rites were established in China, as well as cases in which sunsubi was constructed. This provided a reference of square stones (刻石) built after the sunsu by Qin Shi Huang when sunsubi was built in Silla, and sunsubi of the north latitude. Moreover, 『Classic of Documents (尙書Sangseo or 書經Seogyeong)』 that is presented frequently as the evidence of sunsu may have serv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Jinheungwang Sunsubi. Chapter 3 reviewed Jinheungwang Sunsubi in the perspective of sunsu rites (儀禮), assuming that King Jinheung’s sunsu was performed after accepting China’s concept of sunsu.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ed to clarify the social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of King Jinheung’s sunsu. The reason why sunsubi claimed to advocate the ideology of royal politics based on 『Classic of Documents』 was interpreted in line with the change in the local ruling system. The attempt to win popularity from the public with moral influence (德化) was grounded on the social and ideological change in which the subjugated class under the indirect rule during the era of Maripgan was perceived as the citizens (公民) of the king in the 6th century. This perception will be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sunsu was performed and the epitaph was written based on China’s concept of sunsu. According to China’s concept of sunsu, the term refers to how the emperor (天子) confirms his authority through a memorial service (祭儀) and secure legitimacy to rule by inspecting civil affairs (民政). Accordingly, China’s sunsu was adopted by Silla as a universal logic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king’s rule over the newly acquired regions and the people (民). In fact, this ideology might have been proclaim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rocess of sunsu rites. Jinheungwang Sunsubi was established as the final output and symbol of such sunsu rit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