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posal of speaker change detection system considering speaker overlap

        박지수,윤영선,차신,박전규,Park, Jisu,Yun, Young-Sun,Cha, Shin,Park, Jeon Gue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021 韓國音響學會誌 Vol.40 No.5

        Speaker Change Detection (SCD) refers to finding the moment when the main speaker chang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in a speech conversation. In speaker change detection, difficulties arise due to overlapping speakers, inaccuracy in the information labeling, and data imbalance. To solve these problems, TIMIT corpus widely used in speech recognition have been concatenated artificially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of training data, and the detection of changing speaker has performed after identifying overlapping speak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speaker change detection system that considers the speaker overlapping. We evaluated and verified the performance using various approaches. As a result, a detection system similar to the X-Vector structure was proposed to remove the speaker overlapping region, while the Bi-LSTM method was selected to model the speaker change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a relative performance improvement of 4.6 % and 13.8 %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baseline system. Additionally, we determined that a robust speaker change detection system can be built by conducting related studie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ext and speaker information.

      • KCI등재

        개선된 단일상 합성법을 이용한 티올화 나노 금의 합성 및 확인

        박지수,김유혁,Park, Jisu,Kim, Youhyuk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4

        앞선 연구에서 TP(Thiolate-Protected)-나노은의 합성 시 초기에 형성되는 티올화 은 층간화합물의 형성을 막기 위하여 에탄올에 녹아있는 $NaBH_4$와 티올에 $AgNO_3$를 첨가하는 개선된 단일상 합성법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합성법을 보다 일반화하기 위하여 TP-나노금과 나노백금의 합성에 적용하였다. 합성된 생성물의 나노크기, 형상 및 금속에 부착된 티올의 배열은 UV-vis. 스펙트럼,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 X-선 회절 패턴 및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규명 하였다. TP-나노금과 나노백금은 구형 및 타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입자크기는 각각 약 3~7 nm와 약 2 nm 이하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TP-나노금의 표면을 감싸는 옥탄티올 음이온의 메틸렌 사슬 [$-(CH_2)_7-$]의 메틸렌 배향은 trans임을 보여주고 있다. One-phase method to prevent the initial formation of Ag(I) thiolate layered materal from the mixture of $AgNO_3$ and thiols was previously developed to generate TP (Thiolate-Protected)-nanosilver. In this modified method, $AgNO_3$ is added to the mixtures of $NaBH_4$ and thiols in ethanol. This method was so successful that it was applied to synthesize TP-nanogold and nanoplatinum.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se nanoparticles by ultraviolet-visible (UV-vis) absorption spectr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pictures, X-ray powder differaction (XRD) patterns and infrared(IR) spectra are described. The results show that colloidal nanoparticles are spherical or oval shape and the mean sizes for TP-nanogold and nanoplatinum are about 3~7 nm and below 2 nm, respectively. The conformation of polymethylene [$-(CH_2)_7-$] sequence in octanethiolate attached to nanogold was elucidated as trans.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의 드론기반 3차원 맵핑의 활용 방안

        박지수(Park, Jis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구현한 드론기반 3차원 맵핑을 사회과교육에 적용하고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드론기반 3차원 맵핑에 대한 이론적 내용과 절차를 정리하였다. 둘째, 실제 지역을 대상으로 드론기반 3차원 맵핑을 실시하였다. 셋째, 사회과교육에서의 드론기반 3차원 맵핑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고도와 각도에서 드론이 촬영한 사진으로 구현하는 3차원 맵핑은 기존의 지도에서 높낮이를 확인하기 힘들었던 건물과 같은 지형지물을 정확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드론기반 3차원 맵핑 모형은 다양한 높낮이의 건물들로 이루어진 도시경관을 재현하여 기존의 지리교육에서 사용하던 지리사진이나 지도에 비해 높은 해상도와 실제 질감을 구현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드론기반 3차원 맵핑은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경험은 교사에게 해당 지역을 분석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야외활동이 제한된 학생에게 현실적인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지도학습과 지역화학습뿐만 아니라, 시각화 자료의 활용성이 높은 사회과교육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drone-based 3D mapping to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find specific ways to use it. Goals are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contents and procedures for drone-based 3D mapping were summarized. Second, a drone-based 3D mapping was performed on an actual area. Third, we explored specific application plans for drone-based 3D mapp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tudy, 3D mapping implemented with pictures taken by drones at various altitudes and angles made it possible to accurately implement topographical features such as buildings, which were difficult to check heights on existing maps. As a result, the drone-based 3D mapping model was able to reproduce the urban landscape made up of buildings of various heights, realizing higher resolution and real texture compared to geography photos and maps used in existing geography education.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the drone-based 3D mapping proposed in this study can provide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analyze an area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rea. It also provide realistic learning materials to students with limited outdoor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big chang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here the use of visualization materials and the importance of regionalized learning are high.

      • 국소구간 배출량 산정을 위한 속도 및 부하에 따른 배출계수 개발

        박지수(Jisu Park),서지구(Jigu Seo),박준홍(Junhong Park),박성욱(Sungwook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배출계수는 대기환경 분야의 연구 및 정책기반 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높으며 차량의 종류 및 연식 규모, 유종에 따라 세분화된 배출계수가 지역 및 국가 배출량 산정에 활용되고 있다. 국내의 환경부는 자동차의 실도로 배출 특성을 파악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배출원별 활동자료와 배출계수를 기초로 하는 인벤토리(CAPSS, Clean Air Policy System)를 구축하여 매년 다양한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CAPSS는 단위 이동거리당 자동차 배출량(g/km)을 차속(km/h)의 함수로 나타내는데, CAPSS에서 활용된 속도와 배출량의 관계는 다수의 차량 시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개발되었다. 속도 기반 배출계수는 사용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배출량을 산정할 때 차속만을 변수로 고려하기 때문에, 동일한 차속 구간에서는 모두 동일한 배출량이 산출되고 다양한 형태의 가감속 및 주행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CAPSS 배출계수는 주로 국가 수준의 대규모 배출량과 같은 Macro-scale 배출량 산정 시에만 유용하나, 차량의 가감속 및 다양한 운전형태의 고려가 필요한 Micro-scale 배출량 산정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평균속도만의 함수로 배출계수를 산정하는 우리나라의 CAPSS 배출계수 산정방식과 다르게 미국 EPA MOVES(Motor Vehicle Emission Simulator)는 초당 측정된 차량의 속도 및 비출력(VSP, Vehicle Specific Power)을 반영한 배출계수로 차량의 다양한 주행 상태(Operating Mode)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과 국내의 차량 구분법 및 차량 타입, 배출가스규제 등 배출계수 수준이 우리나라와 다르기 때문에 MOVES에서 활용하고 있는 속도-비출력 기반 배출계수 체계가 국내에도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사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배출계수 산정 사례인 EPA의 MOVES 배출계수 산정 방법을 반영하여 소형자동차의 배출가스규제 및 유종, 배기량에 따른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실내 주행시험 및 실도로 주행시험 결과와 비교를 통해 검증한 후 기존의 CAPSS 배출계수 산정방식 대비 배출계수의 정확도를 높이며, 국소구간 배출량 산정에 적용가능한 배출계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후변화교육에서의 오개념 극복을 위한 지리적 사고의 역할

        박지수 ( Jisu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2

        기후변화교육은 새롭게 개발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으로 등장하면서 국내에서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시도는 기후위기가 이미 심각한 단계에 이르렀으며 학생들에게 미래 사회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후변화는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문제이다. 기후변화교육을 위해서는 지리적 사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기후변화 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공간, 장소, 규모의 움직임에 대한 개념적 지식과 이를 뒷받침하는 지리적 사고력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해 학생들이 갖는 개념적 지식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지리적 사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여 올바른 기후변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적 지식을 탐색한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지구 전체의 기후 체계에서 이해가 부족하고, 우리나라의 위치, 관계, 특징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오개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교사는 학생들이 기후변화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위치, 관계, 특징과 같은 지리적 사고를 반영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climate change for the purpose of innov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cultivate students’ thinking ability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Since climate change is a complex problem that occurs on the Earth, for education, students themselves need to acquire conceptual knowledge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e movement of space, place, and scale, which is the cause of climate change, through geographical thinking. Supporting thinking skills need to be premised.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geographical thinking was confirmed in the process of exploring students’ conceptual 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and a design and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suggested for a helpful direction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arching for students’ conceptual 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it was found that misconceptions occurred in students’ conceptual knowledge because they did not understand the location, relationship, and characteristics of Korea in the global climate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e in time and space. Therefore, teachers who reorganize the curriculum need to pay attention to make sure that students learn about climate change that reflects geographic thinking such as the location, relationship, and characteristics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