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不動産 去來事故의 豫防에 관한 硏究 : 법원판례를 중심으로

        박재율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國 文 要 約 우리나라의 不動産去來契約의 대금지급 방법은 계약금·중도금·잔금으로 지급 일자를 달리하여 구분하고 있는 것이 보편화되어, 계약 성립일자와 잔금을 지급함으로써 거래가 종료되는 일자와는 상당한 시차가 있다. 權利를 취득할 자는 계약금과 중도금을 지불하여도 권리의 확보는 물론, 지급된 금액에 대한 安全裝置도 확보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의 부동산거래는 이러한 위험이 상존함에도 불구하고 거래의 안전시스템이 完全하지 않아, 현실에 맞는 거래사고의 예방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 논문은 부동산거래사고의 예방방안 연구를 위해 2003년부터 2008년 까지 下級審法院에 접수된, 부동산거래과정에서 발생한 손해배상 등 민사소송의 判例를 무작위로 22건 추출하여 거래사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매매와 임대 거래가 각각 11건으로 그 건수가 동일하였고, 주거용 부동산이 거래사고의 78.2%를 차지하고 있다. 사고유형의 분석결과는 仲介業者가 부동산에 대한 중개물건확인·설명의 부족 및 허위·거짓정보 남발 등으로 비도덕성과 불성실성이 사고의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해당 부동산에 대한 권리분석미흡 등의 중개업자의 부정확하고 불성실한 자세의 문제점과 더불어 정확한 권리분석을 할 수 있는 전문지식 결여도 문제점이었다. 또한 공인중개사 및 중개보조원의 사기·횡령에 의한 착복도 부동산거래사고의 큰 문제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거래사고는 단지 부동산중개업자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去來當事者의 행위로도 발생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판례분석으로 인한 이러한 부동산거래사고의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豫防方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중개물건확인·설명에 필요한 중개업자의 專門敎育을 실시하고, 공인중개사제도를 일부 개정하여야 한다. 부동산거래제도가 발달된 미국의 중개업자 교육을 벤치마킹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부동산관련 법규의 개·제정 또는 정책발표 등으로 교육이 필요할 때에는 수시로 실시해야 한다. 公認仲介士試補制度를 채택하여, 공인중개사자격을 취득한 자가 중개업소를 개설 등록하기 위해서는 기 등록된 중개업소에서 일정기간 실무 경험을 쌓아, 경험미숙과 전문성결여 등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부동산에 대한 정확한 권리분석과 책임감 있는 설명을 위해, 仲介補助員制度는 폐지하고 중개업소 종사원은 전부 공인중개사로 대체하여야 한다. 專屬仲介契約制度를 정착하여 중개업자에게 전속중개권을 부여함으로써 중개대상물에 대한 정확하고 성실한 조사·확인 및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중개업자가 부동산에 대한 중개물건확인·설명의 부족과, 그 물건에 대한 허위·거짓정보 남발 등으로 인한 사고의 문제점은 상당부분 해소될 것이다. 부동산거래계약과 동시에 매매예약 등의 假登記를 실행한다면 사기·횡령에 의한 거래사고의 예방에 큰 기여를 할 것이며, 이와 같은 동시실행의 법제화를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계약서작성 시에는 필히 토지이용계획원을 의무적으로 첨부하여 대상 부동산의 現況을 정확하게 설명하여야한다. 그리고 재개발(재건축)추진 등의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거래사고 방지를 위해 해당지역의 부동산거래 시에는 재개발 推進狀況을 의무적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부동산 權利分析은 부동산중개업자 뿐만 아니라, 시청, 군청, 구청의 홍보물 등을 통해 부동산에 대한 권리분석의 중요성을 일깨워야 한다. 일반인도 부동산등기부등본 등을 통하여 간단한 권리분석은 할 수 있도록 권리관계의 확인능력을 배양해야한다. 또한 사기·횡령의 근절을 위해 등기부등본과 거래당사자에 대한 本人確認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 택견 문화 읽기 : 위대태껸 발생의 의미

        박재율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taekkyeon was designated as acultural heritage, there was constant conflicts between associations aboutoriginality and membership of Korean Olympic Committee. Currently 3associations are trying to unify themselves. Korea Taekkyon Federation and Korea Taekgyeon Associationalready unified. In this situation, Widae TaekkyeonOrganization, which was established recently, got into the middle of the debatefor claiming that they possess the originality. And after getting to know Widaetaekkyeon, several leaders, who were famous in their associations and hadexperience as competitors, transferred their association. To examine this phenomenon, by using purposeful sampling, thisresearch contains deep interview. 1 leaders who had experience as a competitorare selected for each associations as interviewees. From them this researchtried to find out what chances has made them to contact Widae Taekkyeon, andhow is the reproduction process after transferring their association. The research practiced a non-structuralizedinterview with the participators of the research, interview was recorded byusing a recorder,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 was analyzed by us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By thisprocess, 16 notions, 8 subordinate categories, and 4 categories was acquired.It was able to gain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3 taekkyeon associations learnedtaekkyeon from same master but had different training systems and intentions,which made them to follow different pathways. It was the main reason ofconstant controversies. However recent associations’ controversies was wrappedup and unifications were in process. In this background situation, WidaeTaekkyeon Association’s establishment aims to stop further distortion of theoriginal form of Taekkyeon, and succeed Master Song, Duk-gi’s art by followingKo, Yong-woo, who is the direct disciple of Song. Secondly, research participants was highlyengaged with prior associations and their capabilities was acknowledged butthey had conflicts with the president of association and had different opinionsabout Widae Taekkyeon. Thirdly, research participants contactedwith Widae Taekkyeon by other person’s suggestion or their own doubts aboutoriginal form of taekkyeon. They decided transferring the association becauseof the experience of movements, principles, and techniques, which were not ableto find in other association’s curriculums. Fourthly, reproduction process throughWidae Taekkyeon is showing two ways. One is transferring the associationcompletely and teaching Song, Duk-gi’s full taekkyeon or teaching with trainingsystem, which is made by complementally combining the prior associationstraining system with Widae Taekkyeon’s training system. But the unification of two major associations, Korea Taekkyon Federationand Korea Taekgyeon Association,would rather make the reproduction process and transfer to Widae Taekkyeonwither away if there is no further historical materials suggested or additionalexpansions followed, since any taekkyeon association needs the title as anational cultural heritage, UNESCO cultural heritage, and the membership ofKorea Olympic Committee. 본 연구는 택견이 문화재에 등재된 이후 협회간의 원형논쟁과 체육회 가맹에있어 오랜시간 끊임없는 갈등이 이어져 왔으나 현재 3단체간의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미 대한택견회와 한국택견협회는 통합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생단체인 위대태껸회가 또다시 택견의 원형을 주장하면서 논쟁의 중심이 되었고 각 협회에서 상당히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었던 일부 선수 경험이 있는 지도자들이 위대태껸을 접한 후 협회를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위하여 목적표집방법을 통해 협회별 선수로 활동한 적이 있는 지도자 각 1명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단체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었던 관계자들이 여러 계기를 통해 위대태껸을 접하게 되었으며 위대태껸을 접한 후 협회 이동을 통해 재생산 과정을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면담하였고 면담내용은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취한 후 전사작업을 실시하여 전사화된 자료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절차에 따라 분석하여 16개의 개념, 8개의 하위범주,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3단체의 택견협회는 같은 스승에게 택견을 배웠지만 서로다른 수련체계와 방향성으로 다른 행보를 걸었으며 그로인하여 끊임없는 논쟁이 이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협회간의 논쟁을 접어두고 통합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더이상의 택견원형 왜곡을 막고 초대 기능보유자 송덕기의 택견을 전수하고자 직계제자인 고용우를 중심으로 위대태껸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 중 소속되어 있었던 협회에서 여러 방면으로 활동하였으며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소속 협회 회장 및 택견원형에 대한 갈등이 있었고 위대태껸회에 대한 입장에 대해서도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 중 주변의 권유 또는 원형에 관한 의구심에 의해 본인 스스로 위대태껸을 접하였으며 기존 협회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동작의 원리 및 기술의 경험이 협회이동을 시작하게된 계기가 되었다. 넷째, 위대태껸을 통한 재생산 과정은 연구참여자 중 본인이 소속되어 있던 협회를 떠나 송덕기의 온전한 택견을 전수 및 보급하려는 경우와 본인이 소속되어있던 협회의 수련체계와 위대태껸의 수련체계를 상호보완하여 전수 및 보급하고자 하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택견협회의 양대산맥인 대한택견회와 한국택견협회의 통합으로 인하여 위대태껸회로 협회 이동 및 재생산 과정은 택견의 문화재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대한체육회 정가맹단체로서의 활동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전통적인 사료를 제사하는 결정적 자료와 세력확장 없이는 점차 소멸해 나가지 않을까 보여진다.

      •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영신수련의 영적 식별이라는 주제로 바라본 C. S. Lewis의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박재율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리스도교 영성 안에서 영적식별의 문제는 그리스도교 초창기부터 찾아볼 수 있다. 성경과 여러 전통들을 통해 전수된 영적식별에 대한 내용들은 영신수련에서도 적극 받아들였고, 이것들은 영신수련의 규칙서 안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었다. 이냐시오 영신수련의 영적식별, 특히 악한 영에 대한 식별들에 대한 내용들을 크게 나열하면, 실제가 아닌 관념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왜곡이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이런 움직임들의 바탕은 자기애에서 비롯된 것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영에 대한 움직임을 살펴보는 것이 영적 식별이다. 영적 식별에 있어 중요한 것은 자기 내면의 두 영, 선한 영과 악한 영이 내면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 것을 살펴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너무 막연한 느낌이거나 사람에 따라, 환경에 따라, 여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식별은 숙련된 영적 동반자가 필요한 작업이다. 하지만 사람의 입장에서 내면의 영의 움직임을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영의 입장에서 사람의 내면을 움직이려는 것은 어떨까? 루이스의 󰡔스크루테이프의 편지󰡕에서는 고위악마가 조카 악마에게 인간의 영을 유혹하는 전략에 대해 조언하는 편지를 모아놓은 글이다. 루이스는 영국의 작가로 본래 믿음에 대해 회의적인 사람이었으나, 사건을 거치며 회심하여 그리스도인으로 돌아온 인물이다.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수를 역임한 그는 자신의 믿음을 긍정할 뿐만 아니라, 믿지 않는 사람들, 혹은 믿더라도 편협한 시각을 가진 이들을 위해 여러 저서들과 강연, 글들을 남겼다. 그리스도교 변증론자로 불리기도 했던 루이스는 학적인 글만 아니라 󰡔나니아 연대기󰡕같은 이야기도 남기기도 했다. 다양한 분야의 글을 다루며 깊이 있는 내용을 써내려간 그가 특별하게 여기기도 했던 작품 󰡔스크루테이프의 편지󰡕는 어떤 인간에 대해 유혹을 하려는 악마의 이야기를 다룬다. 하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유혹되는 인간이 아닌 구원되어가는 인간의 이야기를 다루는 역설적인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악마는 오랜 세월 노하우가 쌓인, 치밀하고 알아차리기 힘든 계략을 가지고 인간에게 접근한다. 이런 치명적인 유혹과 전쟁이라는 힘든 상황 속에서 어떻게 인간의 영혼이 하느님을 향해 구원되어가는지를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볼 수 있다. 책은 31편의 편지글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로 설계된 줄거리나 친절한 차례가 없다. 그렇기에 본고에서는 그리스도교 영성의 진보의 중요한 표지인 ‘회심’이라는 사건들을 중심으로 초보자, 진보자, 완성자로 나누는 단계를 분석에 적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책에는 인간의 영혼이 뚜렷이 진보하는 것을 확인하기 어렵기에 첫 번째 회심, 두 번째 회심, 세 번째 회심으로 편지들을 분류하여 전체적인 줄거리를 파악할 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앞서 살펴본 전통적인 그리스도교 영적 식별의 주요 내용인 관념, 왜곡, 자기애를 바탕으로 책의 내용을 분석할 것이다. 이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신앙의 증진을 위해, 전통적 영성의 내용과 현대적 작품의 연결을 도모함으로, 보다 풍요롭고 깊이 있는 독서를 돕고자 한다. 그렇게 좋은 독서를 통하여, 보다 하느님의 뜻을 깊이 묵상하고 식별하고 헤아릴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We can find the problem of spiritual discrimination in the spirituality of Christianity from the beginning. The Bible and the contents of spiritual identification, passed on through various traditions, were strongly accepted by the Spiritual Training Institute, and these were specifically specified in the Rules of the Spiritual Training Center. The spiritual discernment, particularly the identification of evil spirits, is made from not real ideas, which are shaped by distortions, and the basis of these movements is based on self-interest. It is a spiritual discernment to look at the movements of these spirits. What is important in spiritual discernment is to look at how the two spirits, the good spirits and the evil spirits inside, are moving. However, it is not easy to identify accurately, either because it feels too vague or because it is influenced by people, by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discernment is a task that requires a skilled spiritual leader. But why don't you try to move the inner part of a person from the spirit's position, instead of looking at the inner movement? Louis's “Screwtape’s Letters” is a collection of letters advising the high-ranking devil of his strategy to attract human spirits to his nephew. Louis was a British writer who was skeptical of beliefs, but he went through an incident and returned to Christ. As Oxford and Cambridge University professors, he not only confirmed his faith, but also left books, lectures, and writings for those who do not believe, or believe in, narrow-minded. Lewis, who was also called a "Christian dialectist," left not only academic writings but also stories of the Chronicles of Narnia. Louis special work, "The Letter," tells the story of a devil trying to seduce someone. But if you look at it, you will find a paradox that deals with the story of a person being saved, not a man being seduced. The devil approaches man with a dense, elusive plot that is full of know-how for many years. We can see in this book how the human soul is saved to God in this difficult situation of lethal temptation and war. The book is composed of 31 letters, and there are no separately designed plots or kindly index. Therefore, the main school aims to apply the steps divided by beginners, liberators, and finalists to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events of 'consideration', an important sign of progress in the spirituality of Christianity. But the book will identify the whole story by classifying the letters into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e the human soul clearly advancing. And then we will analyze the contents of the book based on the main content of traditional Christian spiritual identification that we examined earlier, based on ideas, distortions and self-interest. This study seeks to help enrich and deepen reading by promoting the faith of the Christian people by linking traditional spiritual content with modern works. Through such a good reading, it is to have a deeper sense of God's will, identify and understand.

      • 니체의 삶의 예술 철학과 그 현재적 적용

        박재율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니체는 서구 사회를 지배해 온 전통 윤리와 도덕을 해체한다. 그 자리에 ‘삶의 예술의 철학’을 세운다. 그는 개인의 개별성과 특수성을 존중하는 사상 체계를 모색한다. 1.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 비판 (2.1) : 니체는 고전 그리스 철학에서 출발한다. 그는 비극(悲劇)을 연구하면서, 이를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대비시킨다. 이 둘을 디오니소스와 아폴론으로 도식화한다. 소크라테스는 아폴론적 정신의 상징이다. 소크라테스는 알면 행할 수 있다고 믿었다. 선(善)을 알면, 탁월함(arete 德)을 가지게 되며, 실천을 할 수 있다. 덕은 곧 지식이다. 반대로 악은 무지에서 나온다. 선을 알면 행한다. 알지 못 하기 때문에, 행하지 못 하며, 악하게 된다. 이는 앎이 우위인 지성주의이다. 이것은 서양 철학의 기원이며, 근대 과학의 원천이 된다. 니체가 보기에 소크라테스는 이성주의의 창시자이다. 소크라테스의 주지주의는 플라톤의 이데아로 이어진다. 앎의 내용을 플라톤은 ‘이데아’라고 한다. 현실 세계와 평행하게 이데아들의 세계가 있다. 그리고 이데아가 진짜로 존재하는 것이고, 감각 지각되는 현실 세계는 가상의 세계이다. - 이는 아폴론적 사유의 극단이다. 따라서 이데아의 세계는 이성으로 파악되고, 현상 세계는 감성으로 지각된다. 따라서 감성을 억제하는 금욕주의에 빠진다. 이는 기독교의 윤리와 연관된다. 니체는 소크라테스의 이성주의를 삶에의 의지가 약화된 증후로서 파악한다. 사람은 현실 세계에서 산다. 거기에서의 욕망을 부정하는 것은 삶의 의지를 약화시키는 것이다. 2. 기독교 비판 (2.2) ; 기독교는 서구 사회를 지배해 왔다. 서양의 윤리 체계는 기독교에 근거한다. 기독교는 세계를 2원화시킨다. 신의 세계와 현실 세계가 그것이다. 전자는 완전한 것이고, 후자는 불완전하다. 인간은 불완전하다는 점에서 원죄를 가지고 있다. 원죄는 죄를 범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따라서 사람은 늘 죄의식을 가지고 자기 부정을 한다. 그리고 삶의 의미를 사후에 가는 신의 세계에 둔다. - 이는 플라톤이 말한 2원적 세계와 비슷하다. 이를 전복시키기 위해서 니체는 신의 죽음을 선언했다. 기독교적 윤리의 체계를 해체한다. 니체가 보기에, 기독교는 원죄설로 인간에게 무조건적 믿음을 강요한다. 개인의 정념은 신의 명령에 반하는 것으로 제거해야 할 것이다. 인간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신에 귀의하지만, 오히려 신에 지배되어 내적인 의지가 약화된다. 나아가 마음속으로 신을 의심하는 것조차 죄가 된다는 심리적 죄의식을 심는다. 이는 인간의 힘에의 의지를 약화시키며, 인간을 퇴폐와 쇠락으로 몰아넣는다. 결국 인간이 사는 현실 세계를 부정하고, 신이 지배하는 사후의 세계를 긍정하게 만든다. 3. 칸트의 윤리설 비판 (2.3) ; 니체는 칸트의 의무주의 윤리설을 비판한다. 칸트는 이성을 “순수 이성, 실천 이성, 판단력”으로 나눈다. 도덕은 실천 이성에서 성립한다. 개인은 자신의 행위 규칙으로서 ‘준칙’을 세운다. 이 준칙이 보편적 입법 원리에 맞아야 한다. 즉 개인적인 준칙이 보편적 도덕 법칙이 되게 해야 한다. 이것이 ‘정언 명법’이다. 이 보편 법칙을 나의 자유로운 의지가 선택하고 실천해야 한다. 법칙의 필연성과 의지의 자유가 같게 된다. 이런 선택을 하는 의지를 ‘선의지’라고 한다. 니체의 칸트 비판의 핵심은 2원론적 세계관의 비판이다. 칸트는 현상 세계와 이성적 도덕적 법칙의 세계로 나눈다. 몸은 경험적 현상 세계에서 산다. 그런데 칸트는 실천 이성의 ‘정언 명법’을 통해서, 보편적 도덕 법칙의 세계를 만든다. 이 세계를 위해서 ‘자유, 영혼 불멸, 신 존재’를 요청한다. 이는 가상에 불과하다. 플라톤의 이데아의 세계, 기독교의 신의 세계와 같다. 이원적으로 구성되므로, 현상 세계에 사는 인간들의 욕망 의지는 다 부정된다. 금욕주의와 니힐리즘에 빠진다. 몸은 현상 세계에 살지만, 개인의 존재 근거는 가상 세계, 도덕적 법칙의 세계에 있다. 가상 세계는 실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의 존재 근거가 부정된다. 여기에서 니힐리즘이 성립한다. 니체는 기존의 윤리학을 부정하고 비판하기 위하여 도덕의 계보학과 관점주의를 끌어들인다. 계보학은 족보를 따지는 것이다. 도덕이 발생하게 된 과정과 그 계승을 살핀다. 그 결과 서구의 도덕은 기독교에서 출발한다. 기독교는 유태인이 세웠다. 유태인은 로마 시대에 노예들이다. 따라서 노예 도덕이다. 관점주의는 외적인 관찰을 하는 것이다. 반대는 내적인 논리를 따르는 것이다. 니체는 모든 철학을 비판하기 위해서 외적인 관찰을 한다. 플라톤이나 칸트의 철학 비판이 그렇게 이루어진다. 예컨대 칸트가 실천 이성의 ‘정언 명법’을 세우는 논리적 과정을 깡그리 무시한다. 그리고 외적으로 관점주의로 보면서 비판한다. 이렇게 니체는 기존의 윤리학을 부정하고, ‘미학적 윤리학’을 세운다. 4. 니체는 주인도덕과 노예 도덕이 있다고 말한다. (3.1) 기독교 도덕은 유태인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들은 노예였다. 주인에 대한 원한을 가졌다. 그래서 주인의 특징을 악으로, 반대로 노예의 특징을 선으로 규정한다. 노예들이 주인에 대항할 수 없어서, 원한을 도덕율 속에 은밀히 숨기고, 주인에게 복수를 한 것이다. 강자의 특징은 악, 약자의 특징을 선이다. 강자의 특징인 힘으로 쟁취하고, 거만하고, 무례한 것은 악이다. 약자의 겸손함, 양보, 순종은 선이다. 결국 주인이 하는 것은 악이고, 노예가 하는 것은 선이다. - 이것이 기독교 윤리이다. 니체는 주인 도덕을 주장한다. 이는 강자의 도덕이다. 자신의 권력의 의지를 그대로 발휘하는 것이다. 내가 주체가 되어, 하고자 하는 것을 함, 이것이 선이다. 스스로 ‘좋음’(善)의 개념을 만들고 실천한다. 여기에서 고귀함, 귀족적임, 특권 등이 나타난다. 노예 도덕은 원한에서 나왔기 때문에, 악을 먼저 규정한다. 악의 반대로서 선을 도출한다. 반면 주인 도덕은 강자가 자신들이 하고자 하는 것을 도덕으로 정하기 때문에, 선을 먼저 규정한다. 그리고 선의 결핍이 악이 된다. 5. 허무주의와 위버멘쉬 (3.2) ; 니체에 의해 해체된 기독교의 전통 윤리가 사라진 곳에 허무주의가 도래한다. 허무주의는 두 가지 - 능동적 적극적 허무주의와 수동적 소극적 허무주의가 있다. 공허함·허무에서 극복과 새로운 시작을 시도하는 것이 적극적 허무주의이다. 반대로 몰락의 길을 걷는 것은 수동적 허무주의이다. 수동적 허무주의는 순간적 향락이나 무관심한 이기주의로 허무의 공허함을 대신 채우려 한다. 이런 사람이 ‘마지막 인간’이다. 능동적 허무주의는 허무의 현실을 도피하지 않고 그것을 극복하려 한다.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여 상승하려는 의지를 가진다. 이런 사람이 위버맨쉬이다. 그는 기존의 가치 체계를 해체하고, 인간 중심으로의 새 가치를 재정립한다. 이렇게 스스로 자신을 초극해서 상승하는 위버맨쉬가 인간이 나아가야 할 유일한 희망이다. 그는 신의 죽음으로 기존의 가치가 몰락하고 사라진 이후에, 고통스러운 현실을 긍정하고 새롭게 창조하는 자이다. 6. 실존의 미학 - 삶의 예술 철학 (3.3) ; 니체는 신의 죽음을 선포하면서, 기존의 윤리도 해체시킨다. 니체는 기존 윤리의 기본적 틀인 이원적 세계관을 부정한다. 현실 세계 위에 참된 세계가 있다. 참된 세계는 기독교적 진(眞)과 칸트적인 선(善)으로 규정된다. 이원적 세계에 상응하는 이런 진-위, 선-악의 구분을 니체는 거부하고, 미-추의 미학을 선택한다. 니체는 새로운 윤리를 미학 위에 정립한다. 그것이 미학적 윤리학이며, 삶의 예술 철학이다. 이것이 주인 도덕이다. 이것은 자신의 권력의 의지를 주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모두가 자신의 의지를 실현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규칙은 선-악으로 판단되지 못 한다. 대신에 그것들은 미-추로 판단된다. 내가 내 삶의 주인이 되어서, 나는 나의 삶을 선한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각자가 삶을 이렇게 만든다면, 도덕의 보편적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 이에 니체는 ‘영원 회귀’로 답을 한다. 내가 지금 하는 행위가 ‘영원히 반복될 수 있는가’를 따지라.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보편성이 아니라 실현됨이다. 나의 ‘권력 의지’가 영원히 반복해서 실현될 수 있는가? 이것을 따지라. 이것이 ‘영원 회귀’ 사상이다. 7. 니체 윤리 사상의 현대적 적용 – 동성 결혼과 섹스 로봇 ; 현대 사회는 과학 기술이 발달하고, 민주화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과거에는 없었던 요구들이 나타난다. 동성 결혼과 섹스 로봇이 대표적이다. 전자는 사회적 민주화와, 후자는 과학 기술의 발전과 연관이 된다. 기존의 도덕에 따르면, 이는 허용되기 어렵다. 기존 윤리는 선과 악의 틀로 판단을 하기 때문이다. 그 윤리의 틀에서 보면, 두 사안은 선으로 규정되기 어렵다. 나아가 사람들은 늘 익숙한 것을 긍정하며, 새로 나타난 것을 꺼린다. 이 두 사안을 기존 도덕이 아니라, 니체의 윤리적 관점에서 보자. 니체는 미학적 윤리, 혹은 삶의 예술의 철학을 주장한다. 삶은 윤리가 아닌, 미학으로 판단해야 한다. 삶을 예술로 만들라. - 이렇게 보면, 미학과 윤리학의 둘은 긍정될 수 있다. 자신의 삶을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면, 그렇게 선택하면 된다. 문제는 권력의 의지이다. 그것을 관철할 의지와 힘이 있는가? 이는 결국 ‘영원 회귀’에 달린 것이다. 그 두 사안에서 어떤 선택을 한 사람이 과연 그 선택을 영원히 반복할 수 있는가? 이는 그들의 권력의 의지에 달려 있다. 삶은 주체적 선택으로 예술로 만드는 것이다. Nietzsche dismantles traditional ethics and morality that has dominated Western society. In that place, he establishes ‘the Philosophy of Art of Living’. He seeks a system of thoughts that value individual individuality and specificity. 1. Criticism of Socrates' ethical ideas (2.1) Nietzsche starts with classical Greek philosophy. While studying tragedy, he contrasts it with Socrates' philosophy. He schematicizes these two with Dionysus and Apollo. Socrates is a symbol of the Apollonian spirit. Socrates believed that if you know, you can do. If you know good, you will have excellence (arete, virtue), so you can practice it. Virtue is knowledge. Conversely, evil comes from ignorance. If we know good, we do it. Because we don't know, we can't do it, and we become evil. This is intellectualism in which knowledge is superior. This is the origin of Western philosophy and the source of modern science. In Nietzsche's view, Socrates is the founder of rationalism (intellectualism). Socrates' intellectualism leads to Plato's idea. Plato regards the content of knowing as 'idea'. There is a world of ideas parallel to the real world. And the idea really exists. The real world that is sensed and perceived is a virtual world. - This is the extreme of Apollonian thinking. The world of ideas is recognized by the reason, and the phenomenal world is perceived by the sense. Therefore, Plato falls into asceticism that suppresses emotion and desire. This is related to Christian ethics. Nietzsche identifies Socrates' intellectualism as a symptom of weakened will to life. People live in the real world, while denying desires in reality weakens the will to live. 2. Criticism of Christianity (2.2) Christianity has dominated Western society. The Western ethical system is based on Christianity. Christianity dualizes the world. It is the world of God and the real world. The former is complete, and the latter is incomplete. Humans have original sin in that we all are incomplete. The original sin is the possibility of committing a crime. People always have a sense of guilty, in that they deny themselves. And put the meaning of life in the world of God going after death. - This is similar to Plato's dualized world. To overthrow this, Nietzsche declared the death of God. He dismantles the system of Christian ethics. In Nietzsche's view, Christianity forces humans to have a unconditional belief by the theory of original sin. Individual’s emotion is contrary to God's command, and must be removed. Humans devote themselves to God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rather, they are dominated by God and their internal will of life weakens. Furthermore, a psychological sense of guilt is instilled in the mind that even doubting God is a sin. This weakens the 'will to power' of humans and drives humans to decadence and decline. In the end, they deny the real world in which they live and makes positive the afterlife dominated by God. 3. Criticizing Kant's theory of ethics (2.3) Nietzsche criticizes Kant's theory of deontological ethics. Kant divides reason into "pure reason, practical reason, and judgment." Morals are established in practical reason. Individual sets up 'standing rules' as their rules of conduct. This standing rules must conform to universal legislative principles. In other words, the standing rule should become universal moral imperative. This is the 'Categorical Imperative'. This universal law [imperative] must be chosen and practiced by my free will. The inevitability of the law and the freedom of will become the same. The will to make this choice is called a 'good will'. The core of Nietzsche's criticism of Kant is the criticism of the dualistic worldview. Kant divides into "an experiential phenomenon world" and “a world where rational and moral laws are established." The human body lives in an empirical phenomenal world. However, Kant creates a world where universal moral laws are established through the 'categorical imperative' of practical reason. In order to maintain this world, he postulates 'freedom, immortality of the soul, and existence of God'. This is mere a virtual world. It is similar to Plato's world of ideas and Christian God's world. Because it is constructed in such a dual way, it denies all the wills of humans living in the empirical phenomenon world. and Kant’s ethics is falling into asceticism and nihilism. The body lives in the world of phenomena, but the basis for individual existence lies in the virtual world and the world of moral laws. In reality, the virtual world does not exist. Therefore the basis of an individual's existence is denied. Nihilism is established here. Nietzsche introduces genealogy of morality and perspectivism to deny and criticize conventional ethics. It is a genealogy which traces family tree. He examines the occurrence and succession of western morality. Western morality begins with Christianity. It was founded by Jews who were slaves in the Roman era. Therefore it is a slave morality. Perspectivism is making external observations. The opposite is to follow internal logic. Nietzsche makes external observations to criticize all philosophy. That's how Nietzsche's criticism on Plato or Kant's philosophical takes place. For example, Nietzsche completely ignores the logical process of Kant's establishment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of practical reason. And Nietzsche criticizes Kant by perspectivism externally. In this way, Nietzsche denies the conventional ethics and establishes 'aesthetic ethics'. 4. Nietzsche says there is master morality and slave morality. (3.1) Christian morality was created by Jews who were slaves. They had a grudge against their owners [masters]. So they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ers as evil, and on the contrary, the characteristics of slaves as good. Slaves were unable to fight against their owners, so they secretly hid their resentment in moral rules and avenged their owners.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ong is evil, the characteristic of the weak is good. Evil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ong, "to win with strength, to be arrogant, and to be rude." The weak's 'humility, concession, and obedience' are good. After all, what the master does is evil, and what the slave does is good. - This is Christian ethics. Nietzsche insists on master morality which is made by the strong. The master exerts his will of power as it is. He becomes the subject and does what he wants to do. That is what is good. The owner creates and practices the concept of 'good' himself. Here, nobility, aristocraticity, and privilege appear. Slave morality first defines evil, because it comes from resentment. And derive good from the opposite of evil. On the other hand, master morality first defines good because the strong decide what they want to do as morality. And the lack of good becomes evil. 5. Nihilism and Übermensch (overman) (3.2) Nihilism arrives where the traditional ethics of Christianity dismantled by Nietzsche disappears. There are two kinds of nihilism: active nihilism and passive nihilism. Active nihilism is to overcome emptiness and vainness and try a new beginning. On the contrary, walking on the path of collapse is passive nihilism. Passive nihilism tries to fill the emptiness of nihility with momentary pleasure or indifferent selfishness. This kind of person is the 'last man'(der letzte Mensch). Active nihilism does not escape the reality of nihility and tries to overcome it. He has the will to create new values and rise up. This kind of person is Übermensch. He dismantles the existing value system, and redefines a new values where the human is in the center. In this way, Übermensch who overcomes himself and rises up, is the only hope for humans to move forward. After the existing values collapsed and disappeared due to the death of God, he is a person who affirms and creates a painful reality. 6. The aesthetics of existence - the philosophy of art of life (3.3) Declaring the death of God, Nietzsche dismantles the existing ethics. He denies the dualistic view of the world which is the basic framework of existing ethics. There was a true world above the real world. The true world is defined as Christian truth and Kantian good. Nietzsche rejects this distinction between ‘truth and false’, ‘good and evil’ which is corresponding to the dualistic world, and he choose the aesthetics of ‘beauty and ugliness’. Nietzsche establishes a new ethics upon the aesthetics. That is aesthetic ethics and the philosophy of art of life. This is the moral of the master. The owner [master] independently realizes his will of power. Everyone realizes their will. Therefore their rules cannot be judged as good and evil, but are judged as beauty and ugliness. As I become the owner of my life, I must make my life beautiful, not good and righteous. If each person makes life like this, where is the universal standard of morality? Accordingly, Nietzsche answers with 'reternal recurrence'. Consider whether my actions can be repeated 'eternally.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universality, but realization. Can my 'will for power' be realized over and over again forever? Consider this. This is the idea of 'eternal recurrence'. 7. Modern application of Nietzsche's ethical ideology - homosexual marriage [pairage] and sex robot (4) In modern society, science and technology have developed and society has democratized. As a result, demands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appear. Pairage and sex robots are typical. The former is related to social democratization, and the latter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 to existing morality, these are difficult to allow. This is because existing ethics are judged by the framework of good and evil.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ethics, the two issues are difficult to define as good. Furthermore, people always affirm what they are familiar with and are reluctant to appear anew. We look at these two issues from Nietzsche's ethical point of view, not from the existing morality. Nietzsche argues for aesthetic ethics and the philosophy of art of life. Life should be judged by aesthetics, not by ethics. Make life an art. - In this way, both aesthetics and ethics can be positive. If you can make your life beautiful, you can choose that way. The problem is the will of power. Do you have the will and power to carry it out? In the end, this depends on the 'eternal recurrence'. You make some choices in those two issues. Can you really repeat the choice forever? It depends on the will of your power. You make your life an art with subjective cho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