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가키(宇垣) 군축으로의 길 -1920년대 초 일본 육군 내의 군비 축소 논의-

        박완 한일군사문화학회 2020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야마나시(山梨)・우가키(宇垣) 군축이 단행되기 전인 1920년대 초에 일본 육군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군비 축소 논의를 검토한 것이다. 메이지유신 이래 일본은 부국강병 노선과 대외 전쟁을 통해 끊임없이 육군 군비를 확장해나갔고, 제1차 세계대전 종결 직전에는 그 정점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1차대전 종결 후 찾아온 경기 침체와 재정 압박으로 인해 더 이상의 군확은 불가능해졌고, 또 워싱턴 회의를 계기로 군축을 요구하는 의회와 국민의 목소리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다니바야시 도쿠타로(谷林德太郞), 유히 미쓰에(由比光衛), 다치바나 고이치로(立花小一郎) 등 일부 고급 군인들은 육군 수뇌부에 군축 의견을 제출하였다. 이들의 보직이나 파벌 관계 등은 제각각이지만, 이와 무관하게 이들의 의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존재하였다. 우선 1차대전 이후 군비 근대화의 필요성을 통감하여 인원 삭감 혹은 사단 폐지 등을 단행해서라도 육군이 스스로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국민의 반 육군 여론을 무시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군비 축소, 재영 기간 단축, 잡역 감면 등을 통해 국민의 지지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육군 소속 부서의 통폐합 및 이관 문제에서는 경제적 합리성을 중시함과 동시에, 국방의 책임을 군이 독점하려던 기존의 자세를 수정하고 국민 및 국가의 각 기관과 이를 분담하고자 하였다. 물론 당시 육군 내에서 군축 용인에 대한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특히 참모본부는 워싱턴 회의를 전후하여 육군 내외에 군축 반대론을 선전하였다. 참모본부는 장래에 아시아 대륙에서 러시아・중국・미국 연합군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군축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무기・장비가 복잡해지고 병사의 독단이 중시되는 상황에서는 현재의 재영 기간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홋카이도(北海島) 주둔 제7사단 예하 부대의 약 35%는 참모본부의 군축 반대론에 비판적이었으며, 이들의 의견에서는 위의 육군 고급 군인들의 군축 의견과의 공통점이 발견된다. 이와 같이 군비 근대화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군축은 용인해야 한다는 인식이 육군 중앙 및 일선 부대에서 공유되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이후의 군축을 가능하게 한 밑바탕이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iscussion on disarmament in the Japanese Army in the early 1920s, before Yamanashi reductions(1922-23) and Ugaki reductions(1925). Since Meiji Restoration, the Imperial Japan incessantly expanded the size of the Army under the doctrine of so-called ‘a wealthy country and a powerful army’ and by waging several wars, and it reached the zenith before the end of The First World War. However, the postwar depression and the financial difficulty made further military expansions impossible. Also, with the Washington Conference in 1921-22, the voice demanding army reductions was growing from the Diet and the Japanese people. Under the above circumstances, some high-ranking officers like Tanibayashi Tokutaro, Yuhi Mitsue and Tachibana Koichiro submitted their opinions about disarmament to the Army leadership. They varied in posts or factions in the Army, but their opinions had something in common. At first, they felt the necessity of modernization of arms after the First World War so seriously, that they insisted the Army should secure budget for it by its own efforts, even by cutting its personnel or eliminating some divisions. Secondly, they did not turn their eyes away from the public antagonism against the Army, but wanted to restore the national support toward the Army by reducing the arms, shortening the period of active service, and lessening the soldiers’ burden of miscellaneous services. Thirdly, from the view of economic effectiveness, they proposed to unify some army organizations, or transfer those to the Cabinet or the other Ministries. In doing so, they intended to abandon the Army’s monopoly of the responsibility for national defence, and share it with the Japanese people and other national agencies. Of course, the Army did not reach the entire agreement to accept disarmament. Particularly, before and after the Washington Conference, Army General Staff made anti-disarmament propaganda inside and outside the Army. They urged that it is impossible to reduce the arms, in order to win a future war against Russian, Chinese and U.S. allied forces in Asian Continent. Also,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modern weapons and the importance of each soldier’s decision-making skills in combat, they stressed the necessity to maintain the current period of active service. However, the 35% of the units belonging to the 7th Division in Hokkaido disagreed this anti-disarmament propaganda. And their opinions about disarmament had some features in common with the above high-ranking officers’ opinions. In another words, the thinking that it is necessary to accept disarmament to some degree for modernization of arms was being infiltrating into the Army, from high-ranking officers to the first-line units, and this laid the groundwork for arms reductions carried out soon after.

      • KCI등재후보

        다이오드레이저 주파수의 140Hz 이내의 안정화

        박완,최용석,안경원 한국물리학회 2003 새물리 Vol.46 No.1

        We stabilized the frequency of a diode laser, which had an initial linewidth of about a 1 MHz in the free-run state, down to a linewidth of 10 kHz rms by using an ultralow-expansion reference cavity which had no detectable thermal expansion at room temperature and by using an acousto-optic modulator. We analyzed the frequency stability in terms of Allan deviation, the power spectrum, the spectral density and the rms deviation. With careful interpretation of the physical meaning of the Allan deviation, we found the Allan deviation to be as low as $\sigma = 4 \times 10^{-13}$ or $\sigma \cdot \nu = 140$ Hz for an integration time of 40 ms. 공주상태에서의 발진선폭이 대략 1 MHz인 다이오드레이저의 주파수를 상온에서 열팽창이 거의 없는 초저팽창 재질의 기준공진기와 음향광변조기를 이용하여 10 kHz 의 rms 선폭을 갖도록 안정화하였다. 안정화된 레이저의 주파수 $\nu$의 안정도를 알란(Allan) 편차, 파워스펙트럼, rms 편차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특히 알란 편차의 물리적 의미에 주의하여 분석한 결과 40 ms의 적분시간에 대해 알란 편차는 $\sigma = 4 \times 10^{-13}$ 또는 $\sigma \cdot \nu$=140 Hz 였다.

      • 암흑물질에 대한 간략한 소개

        박완일 ( Wan-il Park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5 No.2

        우리우주에서 물질의 대략 8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암흑물질’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We introduce briefly dark matter which is known to be occupying about 85% of matter in the universe.

      • KCI등재

        Double-Running In aton Mass for a Flat Potential and Assisted Hilltop In ation

        박완 한국물리학회 2019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5 No.9

        We propose a scenario to atten the in aton potential for a small-eld slow-roll in ation from the origin. In the scenario, the in aton mass-square goes through a renormalization group running that depends on not only in aton eld but also an assisting eld. Thanks to the assisting eld participating in the running, the initial condition for a slow-roll in ation can be set naturally, and the in aton potential can be attened by the vacuum expectation value of the eld. Applying this idea, we propose a scenario of in ation, dubbed here as assisted hilltop in ation, which is free from the initial condition and the atness problems of in ation.

      • KCI등재

        제1차 세계대전 시기 일본 육군 무관의 연합군 종군과 정보 수집

        박완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1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whole aspect of intelligence activity of Japanese army by dispatching military attachés to the Allies, the change of position of the army on intelligence, and the reaction of the Allies to Japanese attachés during the First World War. Before Japan entered the war, its army tried to use its officers in Europe for intelligence. After declaring war against Germany, the army dispatched many attachés, not only to Triple Enténte, but also to the countries newly entering the war on the Allied side, to gather information. Its intelligence activity through them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war by Treaty of Versailles. During the war, Japanese army dispatched most officers to Britain and Russia, and among their attaché groups in the Allied Forces, the one in Russian army was biggest and including many high ranking officers. Judging by the number, rank, and branch of the attachés, the army tried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trench and artillery warfare on the western front, mainly from Britain and France, and about mobile warfare and German army on the eastern front from Russia. And through the change of instructions to their attachés, intelligence activity of Japanese army was systemically completed and became brisk since around 1916. However, the reaction of the Allies to Japanese attachés was not always positive. Some countries denied accepting them until some point of time, or tried to limit its number. Also, Britain and America did not allow the attachés to be assigned to their front headquarters until the eve of armistice. And there was their dissatisfaction against Japan pursuing its national interests, rather than cooperating with them during the war, behind it. 본고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육군이 연합국에 종군 무관을 파견하여 행한 정보 수집 활동의 전모를 밝힘과 동시에, 정보 수집에 임하는 육군의 시기에 따른 자세 변화와 일본 종군 무관에 대한 각국의 반응을 고찰한 것이다. 육군은 1차대전에 참전하기 전부터 유럽 각국의 주재원을 첩보 활동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독일에 선전포고한 뒤에는 연합국 군대에 다수의 무관을 종군시켰고, 또 새로 참전한 국가에도 곧바로 종군 무관을 파견하여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였다. 이들을 통한 육군의 정보 수집 활동은 베르사유 강화 조약이 조인되어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결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한편 육군은 영국과 러시아에 가장 많은 무관을 파견하였는데, 특히 러시아군 종군 무관단의 규모가 가장 컸으며 또 고급 군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종군 무관의 인원・계급・병과 등에서 볼 때, 육군은 서부 전선에서는 영국・프랑스를 중심으로 진지전 및 포격전, 동부 전선에서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운동전 및 독일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한편 종군 무관에게 내려진 훈령의 변화를 통해, 이들을 통한 육군의 정보 수집 활동은 1916년 무렵부터 제도적으로 정비되면서 비로소 활발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본 종군 무관에 대한 연합국의 반응은 반드시 호의적이지만은 않았다. 즉 각국은 어느 시기까지 일본 종군 무관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그 수를 제한하고자 하였고, 또 영국과 미국은 전쟁 종결 직전까지 일본 무관의 전선 사령부 배속을 허가하지 않았다. 그 배경에는 1차대전 중 연합국과의 공동 작전에는 소극적이면서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일본에 대한 불만이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Fatigue in Korean Gastric Cancer Survivors

        박완,이정권,김초롱,신진영 대한가정의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6 No.6

        Background: Gastric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in Korea. Fatigue is a common symptom among cancer surviv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fatigue in gastric cancer survivors. Methods: Data were analyzed from 199 gastric cancer survivors who visited a cancer survivor outpatient clinic from July 2013 to June 2014. Patients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containing a fatigue severity scale (FSS) and questions regarding associated symptom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atigue (FSS) and non-fatigue groups based on FSS scores (≥4 and <4, respectively). Age, sex, weight, body mass index, cancer stage, pathology, surgery type, chemotherapy, radiotherapy, comorbid disease, family history of cancer, smoking, alcohol consumption, exercise, and laboratory result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fatigue and non-fatigue groups contained 42 and 157 survivors, respectively. Their mean age was 58 years, and the mean post-operative period was 6.58 years. Arthralgia (odds ratio [OR], 12.95; 95% confidence interval [CI], 3.21–52.34), dyspnea (OR, 10.54; 95% CI, 2.94–37.80), dyspepsia (OR, 8.26; 95% CI, 2.63–25.96), changed bowel habits (OR, 4.56; 95% CI, 1.09–19.11), anemia (OR, 3.18; 95% CI, 1.26–8.05), and regular exercise (OR, 0.31; 95% CI, 0.12–0.77)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tigue in gastric cancer survivors, while weight, treatment, and depressive mood were not. Conclusion: Arthralgia, dyspnea, dyspepsia, bowel habit change, anemia, and regular exercise are associated with fatigue in gastric cancer surviv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