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송선생실기(南松先生實記)』 소재 가사 연구

        박세인 ( Se In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4

        본 논문은 『南松先生實記』와 여기에 수록된 32편의 가사를 소개하는 데 1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남송』의 구성 체재와 許昱의 생애를 고찰하고, 가사 32편의 수록 현황을 개관한 다음, 이들 가사의 내용적 지향성을 탐색하였다. 『남송』은 허욱(1887-1939)의 제자 徐相范이 三德敎를 창립한 스승의 생애와 遺文을 정리한 문헌이다. 『남송』은 국한문혼용체의 세로쓰기로 표기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서상범의 舒言, 실기 권 1, 부록 ‘生化指南’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허욱의 가사는 권 1의 ‘雜著’ 편에 23편, ‘생화지남’에 9편이 수록되어 있다. 허욱은 28세 때 증산의 도를 처음으로 접한 이후 독자적인 수련을 통해 득도에 이르렀다. 34세 때 三棟道房을 조직하여 종교 지도자로서의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고, 이후 38세 때 더욱 체계적인 조직을 갖춘 九曲道房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51세 때 허욱이 병을 얻게 되어 도방이 크게 위축되는데, 이의 타개책으로 중국에서의 초혼제를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옥고를 치른 후, 이로 인해 53세의 일기로 사망하였다. 『남송』의 ‘잡저’편에 소재한 가사 23편은 대체로 실기 본문의 기록을 통해 그 제작 시기와 배경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생화지남’의 가사는 9편 중 2편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기록이 없어 그 창작 배경과 제작 연대를 알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 외에 『남송』에는 노래의 내용은 전하지 않으나 歌名만 전하는 가사가 4편이 있어, 이를 허욱의 작품으로 인정한다면 그의 가사는 총 36편이 된다. 한편, 『남송』의 가사는 허욱의 종교적 활동이 활발하던 1920년대에 지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쉬운 어휘로 이루어진 어구를 반복하는 반복법이 주로 쓰이고 있으며, 4.4조와 4음보가 우세하게 드러난다. 『남송』의 가사는 대체로 종교가사로 보아도 무방하나 그 종교적 함의를 다채로운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다. 이를 크게 대별해 보면 신실한 종교적 수련의 권면, 신앙적 숭배자에 대한 칭송, 仙·佛·儒와 先靈의 융합, 인간적 심사의 진솔한 술회 등이다. This article examines Gasas in The Journal of Nam Song which is a collection of the biography, literary works, and religious doctrines of Heo Wook(1887-1939). Heo Wook whose pen name is Nam Song is the progenitor of Sam Duck Gyo, a sect of Jeung San Gyo. The Journal of Nam Song that consists of a journal and an appendix “Saeng Hwa Ji Nam” was published in Chinese mixed with Korean in 1948. It includes thirty two Gasas among which twenty three Gasas are in the tenth chapter “A Miscellany” and nine Gasas in the appendix. There are four more Gasas in the journal, but they are not examined in this article because only their titles remain. As The Journal of Nam Song mainly reports Heo Wook`s religious activities, most of Gasas including <Gichodongryangga>, <Sasaga> and <Doseongga> are religious. But some Gasas such as <Maehwaga> and <Hoga> are singing a religious worship for Gang Jeung San. And some Gasas like <Yusanga> and <Dogangga> deal with doctrine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dopted by Jeung San Gyo. But the most remarkable Gasas are the ones such as <Bumoga>, <Injaga> and <Chulokga>, those that song Heo Wook`s personal emotions and pleasures. Nam song`s Gasas were written and sung in the 1920s when a Gasas as a literary genre was in decline. Thus,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understanding the cultural contexts and effects of Gasas at that time.

      • KCI등재

        로사(蘆沙) 기정진(奇正鎭) 시에 나타난 애고(哀苦)의 시정(詩情)

        박세인 ( Park Se-in )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본고는 蘆沙 奇正鎭(1798, 정조 22~1879, 고종 16)의 시문학에 드러난 감성적 발현에 주목하고, ‘슬픔과 고통[哀苦]’의 내면과 그 감성의 양상을 탐색한 논문이다. 기정진은 조선 유학계에 큰 자취를 남긴 韓末의 대표적인 主理 성리학자이다. 이 때문에 그 동안 기정진에 대한 연구도 대체로 철학가 혹은 사상가로서의 특장과 그 학문적 특질을 규명하는 데 집중되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시인 기정진의 면모와 시 세계에 보다 적실히 다가가기 위해서는 蘆沙詩의 다양한 감성적 변주에 대한 고찰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노사시에 드러난 병증과 쇠락의 悲哀, 이별과 죽음의 哀傷, 毁道와 混世의 哀歎이라는 감성적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기정진은 어렸을 적 천연두로 왼쪽 눈을 실명하고 장성해서도 다양한 병증으로 고생하는 등 병과 밀접한 삶을 살았다. 이 때문에 기정진의 시에는 병증을 소재로 하거나 병을 앓으면서 가졌던 심사를 토로한 내용들이 많이 보인다. 이러한 시들에서는 홀로 병과 싸워야 하는 외로움과 쓸쓸함, 병증으로 쇠락하는 유약한 존재로서의 무력감 등이 발견된다. 그런데 기정진은 이와 같은 비애적 감성으로만 일관한 것이 아니라, 병증에 대한 달관과 수용의 태도를 터득함으로써 삶의 의지를 다시 세우는 생의 전환을 이루어 내고 있다. 다음으로, 기정진의 삶에서 가족이나 절친한 友人의 죽음, 혹은 이별의 체험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많은 시편들이 이를 소재로 창작되었다. 특히 여기서는 양반이나 관료뿐 아니라 평민에 이르는 광범위한 교유 관계에 주목하였다. 평소 기정진은 신분과 지위를 경계짓지 않고 그 학문적 성취에 따라 한미한 신분이라도 문인으로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그의 주변에는 다채로운 인적 관계망이 형성되었으며, 이들과 나눈 시들에서 기다림으로 인한 그리움, 헤어짐으로 인한 아쉬운 감성을 여실히 드러내었다. 또한 친밀한 정을 나눈 벗들의 죽음 앞에서는 깊은 상처와 슬픔을 진솔하게 토로하고 있다. 기정진이 주로 활약하던 19세기는 조선의 체제가 대·내외적으로 도전을 받는 격변의 시기였다. 따라서 쇠락해가는 조선의 현실 또한 기정진에게 哀苦의 감성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현실에 감응한 시편에서 기정진은 백성들의 곤궁한 삶에 대한 염려, 이를 야기한 바르지 못한 세력에 대한 비판적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가 무력을 앞세워 조선의 국토를 침탈한 丙寅洋擾가 일어나자, 이에 맞서 거병한 제자들을 격려하는 시에서는 서구 제국주의에 대한 분기와 항거의 정당성을 강하게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etic expression of emotions, in particular, that of sorrow and pain, by Nosa Gi Jeong-jin(1798, King Jeongjo 22~1879, King Gojong 16), who is one of the renowned Neo-Confucianist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Scholars have studied Gi’s philosophy much more than his poetry. But to study his poetry is able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im. This paper thus examines Gi’s poems in which he expresses a variety of emotions such as the woe caused by illness and debility, the sorrows of parting and death, and the lamentations over a confused political system and distortion of the truth. Gi suffered from many diseases all his life. For this reason, his poetic world is full of ailments and pains. He often expresses how lonely he battles with his diseases and how he feels helpless against them. Despite such depression and woe, he has his will to live and shows that he takes his diseases philosophically. Gi also mourns over the deaths of families and friends and expresses the pain of parting in his poems. These poems show that he is not class-conscious when he makes friends. He expresses his longing for his beloved people and his aching heart for parting with them. He laments the deaths of his bosom friends with the deep and painful sorrows. Nineteenth-century Joseon was a time of upheaval, fac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Joseon in decline evoked sorrow and distress in Gi. He worried about people in wretched conditions and criticized the authorities that were responsible for such agony. During Byungin Yangyo, he wrote poems to denounce western imperialism and encourage his pupils who organized loyal troops against French invaders.

      • KCI등재

        수은(睡隱) 강항(姜沆)의 연작형(連作形) 제영시(題詠詩) 고찰

        박세인 ( Se In Par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5

        본 논문은 睡隱 姜沆(1567, 명종 22~1618, 광해군 10)의 連作形 題詠詩인 <水月亭三十詠>과 <癡軒八詠>의 대비적 고찰 통해 睡隱詩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연구되었다. 수은의 문집 『睡隱集』에 수록된 14제 52수의 제영시 중 연작형 제영시는 이들 두 작품뿐이다.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은 누정 주변에 펼쳐진 자연 경관을 시적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7언절구로서 8연 이상의 연작시라는 형식적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감흥을 표현하는 방식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두 작품의 作詩 배경과 연작의 구성 방식 그리고 物象의 형상화 양상 등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수은의 연작형 제영시가 갖는 시적 지향까지 살펴보았다. 먼저, 수은이 水月亭과 癡軒을 대상으로 지은 <水月亭記>와 <癡軒記>를 통해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의 작시 배경을 고찰하였다. <수월정30영>은 정치적 실패를 경험하고 귀향한 수월정 주인 鄭渫의 상처를 위로하고 격려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그에 비해 <치헌8영>은 치헌의 주인이자 수은과 사돈 간인 丁鎔의 ``어리석은[癡]`` 삶의 가치와 자긍심을 드러내고자 창작되었다.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은 모두 八景歌型 연작 제영시에 속하지만, 가장 기본적 공통점인 소제명의 제명 방식에서부터 차이가 두드러진다. <수월정30영>의 소제명은 자연 경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나, <치헌8영>은 상징적 의미가 유사한 경물을 단순히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연작의 구성에서도 <수월정30영>은 序(제1영)-本(제2영~제24영)-結(제25영~제30영)의 안정적인 3단 구성 안에 수월정 주변의 다양한 경관을 펼쳐 놓았다. 그러나 <치헌8영>은 本(제1영~제7영)-結(제8영)의 2단 구성을 통해 癡翁의 인품과 유관한 경물을 되풀이하고 마지막 8영으로 종결하는 방식이다. 수은은 이렇게 서로 다른 구성 방식을 통해 두 작품의 상이한 작시 의도에 따라 물상을 형상화하고 있다. <수월정30영>에서는 자연의 다기함을 활용하여 이상적 세계를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시간의 순환적 질서를 통한 자연의 영속성과 불변성, 경물의 조화로움과 다채로움, 자연과 동화된 인간의 모습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치헌8영>은 다소 단조로운 형상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수은은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경물을 선택하여 치옹의 ``어리석고 우직한`` 삶의 ``정신적 우월함``을 반복해서 드러내고 있다. 한편, 수은과 수월정 주인 정설 그리고 치헌의 주인 정용에게서 ``버려짐[棄]의 상처``와 버려진 후에 ``자연으로의 귀의``라는 동일한 경험이 발견되고 있다. 수은은 일종의 동류의식을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작시 행위를 하고 있으며,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을 통해 자연 속에서 상처의 치유를 통한 자존의 회복을 지향하고 있다. Examining Su-eun(睡隱) Gang Hang(姜沆, 1567~1618)`s <Suwalljung 30 Poems(水月亭30詠)> and <Chihun 8 Poems(癡軒8詠)>, this article aims to enlarge an understanding of Su-eun`s poetry. A Su-eun`s literary collection, 『Sueunjip(睡隱集)』 includes his poems on arbors(52 poems under 14 titles), the poems of whic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are only written as a series of poems. First, I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were written by consulting Su-eun`s two essays, Suwalljung and Chihun. Su-eun wrote <Suwalljung 30 Poems> to encourage Jung Sul(鄭渫) the owner of Suwalljung, who had retired to the country after his political failure. Meanwhile, <Chihun 8 Poems> was written to emphasize an ironic value of ``silliness[Chi(癡)]`` in Jung Yong(丁鎔)`s life as honesty and sincerity, who was the owner of Chihun and Su-eun`s in-law. Although bot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are a series of poems that contains a good deal of landscape,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ways in which poems in each series are titled. The titles of the poems in <Suwalljung 30 Poems> vividly describe the landscape of Suwalljung, but the titles in <Chihun 8 Poems> merely present natural objects that imply human nature. As for poetic forms, <Suwalljung 30 Poems> describes the landscape in a well-structured form: Introduction(Poem1)-Body(Poem2~Poem24)-Conclusion(Poem25~Poem30); however, <Chihun 8 Poems> consists of only 2 parts, Body(Poem1~Poem7) and Conclusion(Poem8), in which the described natural elements mirror Sir. Chi(癡翁)`s life. Then, I looked into poetic styles. <Suwalljung 30 Poems> creates an ideal world that embodies the eternity and constancy of nature, harmony and variety, and human life close to nature. Meanwhile, <Chihun 8 Poem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silly yet honest life`` in a simple description of natural elements that symbolize fidelity and honor. Finally, I examined poetic vision of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Su-eun, Jung Sul and Jung Yong, all of them suffered from ``abandonment`` and returned to ``nature`` after abandonment. Thus, Su-eun composed the poems for both Jung Sul and Jung Yong in empathy with them and tried to recover his self-esteem by healing his wounds in nature.

      • 국내 · 외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발전용 증기 터빈 효율 비교

        박세인(Se-In Park),이수영(Suyoung Lee),배지수(Jisu Bae),권영현(Younghyun Kwon),이태우(Taewoo Lee)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2

        본 연구는 에너지회수효율 인중서를 발급받는 폐기물 처리시설 중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발전 효율을 조사하였다. 대상 시 설은 2023년 소각열에너지 회수 인증서를 발급받은 시설 중 5개 시설의 터빈 발전 효율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증기 터빈 입구측 기성상은 압력 l.2~2.2MPa, 온도 183~233°C 이었으며, 터빈 출구의 증기 성상은 압력 0.1~0.7MPa, 온도 81~147°C 의 범위였다. 터빈에서 생산된 연간 전기 출력량은 1,468~12,904MWh임을 확인하였다. 유럽 소각시설의 발전용 터빈 입구 증기는 압력 1.5~7.5MPa, 온도 200~450°C 수준이며, 이 중 5MPa, 425°C 인 시설의 효율이 27%로 조사되었다. 발전소 터빈 입구 증기가 압력 25MPa 전후, 온도 600°C 전후임을 감안할 때, 유럽 소각시설의 발전효율은 유럽 발전소 효율(평균 38%) 이하일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전기 생산 효율은 유럽 시설 현황의 중위-하위 분포와 유사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

        박세인(Se-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3

        우리나라가 이룩한 경제, 과학기술발전에 과학기술 국제협력은 기술확보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활용되어 왔으며 향후에도 국가과학기술력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이 형성된 배경, 변화양상, 변화요인 등에 대해서 역사적으로 검토한 연구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제도화되었고, 진화되어 왔는지를 기술수원기, 기술도입기, 호혜협력기, 외연확장기, 협력고도화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는 구조에 의해 발생한 계기에 의해서 시작되고, 점차 다른 제도와의 연계, 행위자인 정부의 전략적 선택 행위로 이어져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는 단절적으 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적 중층성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institutional evolution of Korea’s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For this, it examined Korea’s institutions for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by dividing the whole period from the Korean war to the present into five sub-periods; period of technology aids, technology transfer, mutual cooperation, expanded cooperation, and highly sophisticated cooperation, respectively. It, then, reviewed the evolv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In this study, the structure (environment), the actor (government), the institution of higher rank (science & technology policy) were considered as variables influencing upon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Up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analysed how and through what evolutionary process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institutions have evolved so far.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institutional layering” in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in Korea. The momentums for the change of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stem from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domestic economic environment. They influence upon economic policy, industrial policy, and S&T policy, which, together with the actor (the government), again brings about the institutional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Second, the institutional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is taking place gradually. As mentioned above, the momentums for the change of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originate from international and domestic macro environment. These momentums do not directly influence upon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rather they give indirect influence, through other related institutions, upon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and make its gradual change or 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have the “institutional layering”.

      • 폐기물 소각 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 최적화: 탄소동위원소방법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함량 측정

        박세인(Se-In Park),권영현(Younghyun Kwon),이태우(Taewoo Lee),문희성(HeeSeung Moon),이수영(Suyoung Lee),배지수(Jisu Bae),강준구(Jun-Gu Kang),전태완(Taewan Jeon)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1

        2020년 정부는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관련하여 보다 상향 된 목표를 제출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사회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2020 년 폐기물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6.7 백만톤 CO₂eq. 으로 국가 총배출량의 2.5% 를 차지하였으며, 그중 소각 부문의 발생비율은 39.4% 를 차지하였다. 국내 배출권거래제 운영지침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은 IPCC 지침에 따라 Tier 1 부터 Tier 3 까지의 계산방식과 연속 측정에 따른 Tier 4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동 지침에 따르면 화석연료로 인한 폐 기물 소각 시 배출되는 CO₂ 배출량은 산정 값에 포함되어야 하며, 바이오매스 물질의 연소 시 배출되는 C이 배출량은 산정 값에 제외되어야 한다. 폐기물과 같이 다양한 성상 및 종류의 온실가스 배출원이 소각되는 공정에서는 계산방식의 배출량 산정보다는 직접측정 방식이 더 우수한 방법임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관련 연구를 살펴본 결과 계산방식을 이용한 배출량 산정연구가 대부분이며 연속 측정 방법을 활용한 연구는 배출가스 중 바이오매스 함량을 고려하지 않아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의 배출가스 중 바이오매스 함량을 측정하여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에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Tier 4를 적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