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석기제작기술체계의 또 다른 다양성:남원 화정동유적을 중심으로

        박성탄,이헌종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25ka-15ka B.P의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문화는 역동적이다. 이 시기는 중기구석기시대부터 후기구석기시대까지 연속된 자갈돌석기전통 즉, 석영계석기군의 기술적 맥락을 기반으로 격지석기전통, 돌날석기문화, 세형돌날문화가 공존하는 역동적 시기로서 문화적 다양성은 또 다른 문화적 다양성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남원화정동유적은 이와 같은 자갈돌석기전통의 기술적 맥락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몸돌, 즉 몸돌의 다양성과 소형 돌날격지를 떼어내기 위한 소형몸돌의 활용, 돌날격지의 활용 등의 다양한 형태의 석기제작 기술이 적용되었다. 또한 정교하게 손질된 끝날긁개 등의 예를 토대로 다양한 기술체계가 도입된 몸돌과 더불어 몸돌에서 떼어낸 격지를 활용하는 인식에 대한 변화가 일어났으며, 다양한 기술체계의 다양성이 복합적으로 확인된다는 점에서 남원 화정동유적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20,000년 전후에 해당되는 남원화정동유적에서 확인되는 자갈돌석기전통(석영계석기군)을 기반으로 돌날문화, 세형돌날문화, 격지석기전통이 공존한다는 점은 문화적 역동성이 있었던 가장 큰 격변의 시기에 해당하는 문화 공존이론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자료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화정동유적은 후기구석기시대의 기술체계가 다양하게 이루어진 또 다른 한 유형이라고 생각된다. It was dynamic in Upper Paleolithic from 25ka to 15ka in Korea. This time was dynamic period which coexisted different culture lines such as flake tool tradition, pabble tool tradition, blade tool industry and microblade industry. Such cultural diversity is likely to appear another cultural variants.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system and absolute dating, Hwajeongdong site shows blade-flake technique with pebble tool tradition. there are various core technique, small cores for the bladelet, blade-flake, endscraper with delicate retouch etc. Therefore this site is characterized another variant on the complex technological environments for the stone tool making from 25ka~15ka in Korea. It is necessary to remark if it was a result of adaptation of regional raw materials during the migration or partial assimilation of regional paleolithic group.

      • KCI등재

        청동기시대 석기의 타격흔 관찰 및기능 검토에 대한 접근 - 순천 선평리 강청유적 및 고창 봉산리 황산유적출토 석기의 사례를 통해 -

        박성탄 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21

        청동기시대의 석기는 구석기시대 및 신석기시대에 비하여 다양한 형태로 확인된다. 앞선 시기에 비하여 청동기시대는 ‘타격’ 이라는 기법과 ‘마연’ 이라는 석기제작기법 적용이 활발해지면서, 생활용구를 비롯하 여 가공구 등의 다양한 형태의 석기가 출현하여 일반화되는 시기이다. 다시 말해, 이와 같이 ‘마연’이라는 석기제작기법이 일반화되어 석기가 제작되었으며, ‘타격’이라는 제작기법은 1차적인 석기의 형태를 만들 거나 본래의 기능면에 적용된 예가 줄어드는 것으로 인식되는 시기이다. 하지만 ‘타격’이라는 기술은 석기의 기능적인 부분에서 중요한 체계로서 자리 잡고 있으며, 석기를 제작하 는 데 있어 하나의 과정이 아닌 목적에 의한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이다. 본고에서 는 호남지역에서 출토된 석기의 관찰과 실험을 통해 타격흔적의 형태적 측면 이외의 기능적 부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석기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으로서의 타격기술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타격기술체계에 대하여 마제석기를 제작하기 위한 1차적 행위에 불과한 소모성 산물이라고 상정 한다면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하겠지만, 타격을 통해 제작된 기능적 특징을 가지는 석기 및 미완성석기 등 을 통해 ‘타격’이라는 기술의 적용이 청동기시대까지 이어지면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관찰을 통해 석기에서 관찰되는 타격흔은 석기의 용도가 상정된 경우 이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 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석기를 사용한 사람들에 대한 기술체계에 대한 인식 역시 추정 가능할 것으 로 생각된다. 또한 용도가 명확하지 않은 석기의 경우 어떻게 석기를 사용했는지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석기의 관찰과 분석에 있어 타격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Bronze Age stone tools are identified in a variety of forms than the Paleolithic and Neolithic. Stone production techniques than those applied in the previous period is the time that the Bronze Age stone ‘Knock’ as well as techniques of ‘sharpen’ production techniques that apply hot up As well as processing equipment, obtain various forms of life, such as the stone of generalized appearance. In other words, ‘sharpen’ stoneware production techniques that were produced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ized, ‘Stone tool(strike)’ production techniques that are applied in cases when the perceived decline of the original function if you create a form of primary stoneware. But ‘Knoc’ of technology is located in an important system function part of the stone, Making the stone got to the part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erms of a process rather than by the application purpose. This paper was attempting to access the non-functional part of the morphological aspects of hitting the trail through observation and experiment of stoneware excavated in Honam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process capability for use as a blow from a stone technique is applied. So if you assume that the only consumable product in the primary action for creating an a polished stone tool against the technical system but did not have a big meaning, through unfinished stoneware and stoneware func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having been produced by a strike, strike’ in the technique known as this application is considered to have been an important role as the lead up to the Bronze Age. If such observations are common blow observed in the use of the Stone is assumed and can also enable a detailed classification of this, recognition of the technical system for the people using the stone is considered also be estimated. In addition to hitting the common interest in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stone because it would provide a variety of data on how, if the purpose is not clear use stoneware will progress.

      • KCI등재

        연구논문 :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석기제작기술체계의 또 다른 다양성: 남원 화정동유적을 중심으로

        박성탄 ( Sung Tan Park ),이헌종 ( Heon Jong Le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25ka-15ka B.P의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문화는 역동적이다. 이 시기는 중기구석기시대부터 후기구석기시대까지 연속된 자갈돌석기전통 즉, 석영계석기군의 기술적 맥락을 기반으로 격지석기전통, 돌날석기문화, 세형돌날문화가 공존하는 역동적 시기로서 문화적 다양성은 또 다른 문화적 다양성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남원화정동유적은 이와 같은 자갈돌석기전통의 기술적 맥락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몸돌, 즉 몸돌의 다양성과 소형 돌날격지를 떼어내기 위한 소형몸돌의 활용, 돌날격지의 활용 등의 다양한 형태의 석기제작 기술이 적용되었다. 또한 정교하게 손질된 끝날긁개 등의 예를 토대로 다양한 기술체계가 도입된 몸돌과 더불어 몸돌에서 떼어낸 격지를 활용하는 인식에 대한 변화가 일어났으며, 다양한 기술체계의 다양성이 복합적으로 확인된다는 점에서 남원 화정동유적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20,000년 전후에 해당되는 남원화정동유적에서 확인되는 자갈돌석기전통(석영계석기군)을 기반으로 돌날문화, 세형돌날문화, 격지석기전통이 공존한다는 점은 문화적 역동성이 있었던 가장 큰 격변의 시기에 해당하는 문화 공존이론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자료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화정동유적은 후기구석기시대의 기술체계가 다양하게 이루어진 또 다른 한 유형이라고 생각된다. It was dynamic in Upper Paleolithic from 25ka to 15ka in Korea. This time was dynamic period which coexisted different culture lines such as flake tool tradition, pabble tool tradition, blade tool industry and microblade industry. Such cultural diversity is likely to appear another cultural variants.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system and absolute dating, Hwajeongdong site shows blade-flake technique with pebble tool tradition. there are various core technique, small cores for the bladelet, blade-flake, endscraper with delicate retouch etc. Therefore this site is characterized another variant on the complex technological environments for the stone tool making from 25ka~15ka in Korea. It is necessary to remark if it was a result of adaptation of regional raw materials during the migration or partial assimilation of regional paleolithic group.

      • 무안 피서리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특성

        이헌종,정철환,박성탄,Lee, Heon-Jong,Chung, Chull-Hwan,Park, Sung-Tan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2

        무안 피서리유적은 최근 서남해안 일대에서 확인되고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들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무안 피서리유적에 대한 층위 및 지질학적 분석결과는 토양쐐기의 특성이 토양의 굳기나 토양내부의 성분 함량 및 고지표면의 기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해주고 있다. 피서리유적에서 중기 구석기 늦은 단계 또는 후기 구석기 이른 단계의 석기들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는 이들 석기가 산출되는 문화층이 최대 빙하 발달시기 이후에 형성되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활발한 침식과 재퇴적에 의해 여러 시기의 유물이 함께 재퇴적된 결과일 가능성을 지시해 주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구석기 유물의 분포와 토양쐐기와 같은 토양층의 특성은 고지표면의 기복 및 기후환경과 같은 자연환경적 조건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The Piseo-ri site in Muan provides significant data in investigation on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tratigraphic and geologic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 of soil wedge can vary in accordance with soil property and relief of paleo-surface.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layer was deposit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co-occurrence of the late Middle to early Upper Paleolithic stone tools suggests a possibility of redeposition of different ages resulted from active ero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Paleolithic tools and the property of soil wedge could be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relief of paleo-surface and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