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상길(Sang-Gil Park),이중우(Joong-Woo Lee),강석진(Sug-Jin Kang),김석문(Suk-Moon Kim),길문모(Moon-Mo GIl)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춘계
최근 어항에도 친환경항만을 건설하기 위한 노력이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어항의 정비 및 재개발부분에서 적극적으로 수질개선을 위한 기술 적용이 본격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의 소규모 어항 및 해수욕장에 슬릿형 해안 구조물이 시공된 실해역의 실측자료와 수치해석을 통해 현장적용성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으로는 파랑작용 평형방정식을 이용하는 SWAN 모델을 구성하고 수리모형실험에서 분석된 실린더 슬릿형 방파제의 반사와 투과계수를 모델에 도입하였다. 수치실험은 한국해양연구원의 전해역 심해설계파 추정 보고서 Ⅱ(2005)중의 심해설계파 제원을 사용하였으며, 대상해역의 1970~2006년(37년간) 관측된 연최대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설리항에서 S, SSE, SE계열의 파랑의 내습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구조물이 항내에서 정온도가 유지되며 해수순환에도 이점이 있음을 현장관측 자료분석과 수치실험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실린더 슬릿형 소파블록 방파제의 실해역 적용을 위한 수치실험분석
박상길(Sang-Gil Park),이중우(Joong-Woo Lee),남기대(Ki-Dae Nam),김필성(Pill-Su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3 No.10
선행되었던 연구인 실린더 슬릿형 소파블록 방파제에 대하여 실해역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모델 해석을 통해 항내정온도를 분석하였다. 남해의 소규모 어항에 대해 파랑작용 평형방정식을 이용하는 SWAN 모델을 구성하고 수리모형실험에서 분석된 실린더 슬릿형 방파제의 반사와 투과계수를 도입하였다. 항내의 정온도의 변화를 불투과성 방파제와 비교하여 다루고 새로운 구조물로 해수교환을 통한 해역수질환경의 개선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수치실험은 한국해양연구원의 전해역 심해설계파 추정 보고서 Ⅱ(2005)중의 심해설계파 제원을 사용하였으며, 대상해역의 1970년~2006년(37년간) 관측된 연최대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50년빈도 설계풍을 모델에 반영하였다. 미조항에서 서방파제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NE, NNE계열의 파랑의 내습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투과성구조물의 특성이 수치모형에서도 잘 재현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cylindrical slit type block breakwater to the field water, which was designed from the previous physical model study, it is analyzed the calmness of harbor area by the numerical model experiment. For a small fishery port in southern coast of Korea a SWAN model using the wave action balance equation was formulated.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induced by the physical model test were introduced to the numerical model. The model response with cylindrical slit type breakwater was compared with the impermeable breakwater case and the possibility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through the water circulation by the new structure was investigated. For numerical simulation, parameters of deepwater design wave from the prediction report II for overall deepwater design wave by KORDI were used and wind parameters from the 50years return period observed for 37years(1970~2006) were adopted in the numerical model. The response of west breakwater in Mijo port applying the NE and NNE waves, which were dominant in this area,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designed cylindrical slit breakwater was well presented in the numerical model.
박상길(Sang-Gil Park),이중우(Joong-Woo Lee),김강민(Kang-min Kim),강석진(Sug-Jin Kang),김석문(Suk-Moon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추계
국내에서 소규모 어항의 재개발에 관광객 유치를 위한 친환경적인 기술의 적용이 본격화되고 있다. 항내수질 개선이라는 목적하에서 외곽시설인 방파제의 선택은 항내 정온과 제체 안정성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방파제인 슬릿방파제의 수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파랑변형 및 유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 적용성확인을 위하여 선정된 구조라항은 우리나라 남해의 소규모 어항으로, SSE, S, SSW파향에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슬릿방파제를 적용한 결과 제체안정성과 항내 정온도가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슬릿방파제의 특징으로 장주기파의 통과율이 뛰어나다는 점과 소파효과라는 1차적인 목적과 항만 및 연안수역에서 해수교환의 향상이라는 2차적인 목적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행 차량의 진동ㆍ소음 전달경로 해석 및 실내소음 예측
박상길(Sang-Gil Park),양인형(In-Hyoung Yang),윤지현(Ji-Hyun Yoon),오재응(Jae-Eung Oh),이유엽(You-Yub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09 No.11
주행 차량의 실내 소음은 노면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차체 및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진동ㆍ소음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차실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소음 및 진동원의 특성과 함께 전달경로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다. 주행 차량의 진동ㆍ소음 전달경로 해석을 위해 신호처리 기법인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사용했으며, 부분기여도함수를 이용하여 목적 주파수 별 입력원의 기여 순위를 판별하였다. 그리고 벡터합성법을 이용하여 입력원 및 위상 변경에 따른 실내 음압을 예측 시뮬레이션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