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후 한국과 일본의 인류학적 교류와 한국 인류학자의 일본 지역연구

        박동성 ( Dongseong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1 No.-

        이 연구는 한일 간 인류학적 교류와 한국 인류학자의 일본에 대한 지역연구를 개관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의 한일 간 인류학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해방 후 한국 인류학은 식민지 시기의 일본 인류학과는 단절된 상태로 문화인류학으로 새롭게 출발했다. 국교정상화 이전의 부분적인 교류, 196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진 한일 간 학자의 교류와 일본 인류학자의 한국농촌 조사 개시, 1970년대부터 이루어진 한국 인류학자의 일본 조사 등으로 상호간에 중요한 영향이 이루어졌다. 이런 시기를 거쳐 한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일본에서의 장기간 현지조사를 거친 박사논문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일본 지역연구는 기존의 연구자들과 일본전문가로서 새롭게 합류한 연구자들의 협업을 통해 빠르게 발전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인류학적 일본연구의 축적 내용과 연구자의 유형별 분류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give some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which examines anthropologic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and Japanese studies that have done by Korean Anthropologists. Korean Anthropology in post-war period started as cultural anthropology which is disconnected from Japanese anthropology of colonial period. Some Koreans who want to study anthropology had studied at university in Japan from the late 1960s, and some Japanese anthropologists had begun to anthropological fieldwork in rural Korea. In this period, the anthropological research, the theoretical exchange and the acade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ould have given each other significant influence. In Korea, since the 1980s, the doctoral dissertation have begun, which was written after performing a long-term fieldwork in Japan. Japanese area studie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by the new experts of Japanese area. This study shows the accumulation of anthropological study, classification of researchers, and some perspectives of Japanese study, which focuses on Japanese area studies.

      • KCI등재

        지역사회에서의 이주배경 아동에 대한 멘토링 수업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 순천향대학교 교양과목 운영 사례 분석

        박동성(Park, Dongseo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2

        이 연구에서는 순천향대학교에서 지역사회의 이주배경 아동(다문화가정 자녀, 중도입국 자녀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다문화 멘토링 수업 <다문화행복나눔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분석하고 수업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수강생 모집, 멘토-멘티 매칭, 물품 구입과 현장 활동을 위한 예산 집행 등 멘토링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업무량이 상당히 많다. 이를 위해서는 담당교수 뿐 아니라 전담 인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멘토링 진행 과정에는 민원 처리, 멘토링 수행 상황 확인 등 지속적인 체크가 필요하다. 이주배경 아동에게 대학생 멘토는 학습 도우미이며 인생 선배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멘토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훈련, 책임의식과 사명감을 가지게 하는 것은 다문화 멘토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좋은 멘토링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학점 부여 이외에 우수 활동자에 대한 보상을 하는 등 적절한 상벌체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gress of the multicultural mentoring class <Multicultural Happiness Sharing Project> for children with an immigrant background(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mmigrant children, etc.) in the community and draw up ways to improve classes. The workload is quite high to conduct mentoring classes such as recruiting students, matching the mentors and executing budgets for purchasing goods and field activities. This requires support from dedicated personnel to assist the professors in charge. The mentoring process requires continuous checks, such as handling complaints and checking the condition of mentoring. For migrant background children, a college student mentor is very important as a learning assistant and a senior in life. Having sufficient education, traini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ission for mentors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mentoring.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good mentoring results, an appropriate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is needed, such as rewarding outstanding activists in addition to granting credits.

      • KCI등재

        일본 전통축제의 장에서 나타나는 지역의 사회관계

        박동성 ( Park Dongseo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1

        이 연구에서는 일본의 한 지방도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전통 마츠리가 진행되는 과정을 통하여,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정체성, 지역 사회의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지역을 매개로 하는 의례는 구성원으로서의 인식을 유형적으로 표현하는 강력한 내면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해관계가 다른 지역 사회의 구성원이 공동체임을 확인하기 위한 의례의 방식은 문화의 다양성만큼이나 다양하다. 일본에서 가장 전형적으로 보이는 공동체의 의례는 과거부터 이어져 온 전통 신사를 중심으로 하는 마츠리이다. 시모다 타이코마츠리는 에도시대 초기에 만들어져 역사의 변동과 함께 변화해 왔다. 인구격감과 지방소멸 담론 속에서 마츠리를 유지하는 방식 자체가 시모다라는 지역 사회가 작동하는 다양한 방식이기도 하다. 시모다의 마츠리는 관광자원, 타지역과의 네트워크 형성, 지역 구성원과의 교류, 일상의 파괴와 재구성, 지역 공동체성의 재확인 등의 장치가 되며, 전통시대의 연령등급이 재구성되는 등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는 지역의 모습이 드러나는 계기가 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dentity of the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and how the network of the community is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a traditional Matsuri in a Japanese city. The local rite is a powerful internalization process that characterizes awareness as a member. The ways of ceremonies to ensure that members of communities with different interests are communities are as diverse as cultural diversity. The ritual of the most typical community in Japan is Matsuri, which centers on a traditional shrine that has been around since the past. Shimoda Taikomatsuri has continued to today for hundreds years, revealing the various ways that the community works of Shimoda. Shimoda’s Matsuri serves as a venue to tourism resources, network formation with other regions, exchanges with local members, daily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the formation of age classes in the traditional era, and a reformation of people's relationships.

      • KCI등재

        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노양진(YangJin Noh),박동성(Dongseo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AI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수도권 A지역 고등학생 9명(남학생 4명, 여학생 5명)과 비수도권지역 고등학생 5명(남학생 2명, 여학생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담 결과를 가지고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심층면담 결과, ‘고슴도치의 딜레마’라는 본질 하에 3개의 본질적 주제로써 불완전한 학습 도우미,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존재, 모호한 생성형 AI의 활용범위와 6개의 하위주제로는 무생물인 기계의 한계, 제3의 학습도우미, 생활 방식의 변화, 새로운 기회 제공, 윤리적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부재, 생성형 AI 활용의 거리두기가 도출되었다. 결론 청소년들이 생성형 AI를 올바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청소년 대상 생성형 AI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에게 생성형 AI에게 질문하고 협업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생성형 AI의 윤리적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생성형 AI 시스템의 작동 메카니즘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adolescents using generative AI. Method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4 teenagers who are attending high school, located in A city B county, C city,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14 teenagers have experience using gernative AI. Results The results, 3 essential themes, 6 sub-categories was found. Three essential themes were ‘imperfect learning guide’, ‘existing of utopia and dystopia’, ‘ambiguous using range of generative AI’. And six sub-categories were ‘the limitation of inorganic object’, ‘the third learning guide’, ‘change in human being life’, ‘new opportunity provision’, ‘guide absence of the ethics using’, ‘distancing of generative AI using’. Conclusions The discussion on AI literacy for adolescent is as follows. First, provide the education about accurate asking to generative AI. Second, provide the enthical using guide. Third, provide the education about the generative AI system ma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