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고 진로교육에 관한 주요 쟁점 검토: 교육목표와 실행 주체를 중심으로

        박나실 ( Nashil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최근 학교교육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진로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고의 진로교육에 대한 방향, 진로의 의미, 성격, 실행 주체 등에 대한 관점이 일관되지 못하거나 서로 상충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고 진로교육을 둘러싸고 생성된 다양한 논의들을 탐색함으로써 진로교육의 목표와 실행 주체 문제를 중심으로 부각되는 쟁점들을 검토하여 향후 일반고 진로교육에 관한 균형적이고 발전적인 정책과 연구 방향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최근 5년간 생성된 교육과정 문서, 교육부 진로교육 주요 정책문서, 권역별 시도교육청 고등학교 교육과정문서, 주요 학술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목표 측면에서 진로의 의미는 졸업 직후의 단기적 선택과 생애성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었으며, 진로교육의 강조점은 정치적 아젠다인 꿈과 끼에 있거나 혹은, 진로개발 역량에 있는 등 불명확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진로교육의 수행 주체 측면에서 우선 학교는 정보 제공자로서의 역할로 강조되고 있었으며, 교사의 역할은 누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호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학생에게 기대되는 태도 역시 수용자인지, 개척자인지 그 관점 역시 혼용되는 양상이 포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생애로서의 진로의 개념이 좀 더 명시화될 필요성과 학생의 주체성이 부각된 진로교육이 강조되어야 함을 논의하고 있다. An interest in career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in school education. Further, multidimensional efforts have been made to reinvigorate career education in schools. However, career education perspectives on the directions,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nd actors, particularly in general high schools, tend to be incoherent, and some are even contradicto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discourses on career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s, including a critical review of the core issues of the goals and actors relevant to career education. Then, educational implications can be developed to provide more balanced, constructive future research. This study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review the major political documents and academic articles on career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oals, actors, meanings, and emphasis of career education, as well as expected students’ attitudes and the roles of schools’ and teachers’ in career education are described ambivalently and ambiguously in the literature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ne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career as lifetime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student agency in career education should be strongly stressed.

      • KCI등재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박나실 ( Nashil Park ),장연우 ( Yeon Woo Chang ),소경희 ( Kyung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학교 변화에 있어 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다. 국내에도 교사학습공동체와 관련된 연구는 2000년대 중반부터 급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 연구들은 주로학교 밖의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사의 변화에 초점을 둠으로써, 교사의 변화가 어떻게 학교의 변화나 개혁으로까지 확장되는지를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교 안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된 교사학습공동체에 주목하여, 학교 변화에 있어 이러한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한 중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학교 안교사학습공동체가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발전될 수 있으며, 학교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본연구의 결과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 변화에 있어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는 해당 학교 교사들이 “우리” 학교가 갖는 일상적이며 구체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이를 함께 실천에 옮길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학교를 변화시키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리더 교사들의 역할, 학습 텍스트의 성격, 유연한 학습 조직 등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Interest in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has proliferated in school reform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studies about such communitie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since the mid-2000s. Because existing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changes in teachers, however, they have not yet clarified how teachers’ changes affect overall school change. Bearing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school-base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in the relation to school change. By utilizing a case study o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this study investigates how such a community is forged and developed, and contributes to school change. The study finds that the community serves a critical function in changing the school, as it provides a foundation upon which teachers share their ideas and practice them together in order to address “our school’s” problems. In particular, the study shows that the roles of teacher l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materials, and the flexibility of community organizations are all essential to the community function.

      • KCI등재

        `학생맞춤형` 고교교육과정 실현 가능성 탐색: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박나실 ( Nashil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4

        학생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학생맞춤형`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최근 일반고에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인 경기도 지역의 `교육과정 클러스터`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학생맞춤형` 교육과정의 실현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교육과정 클러스터를 운영 중인 세 고등학교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클러스터에 대한 교육청 관계자, 교사, 학생의 기대와 반응이 어떠한지, 운영상 문제와 한계는 무엇이고 향후 학생맞춤형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청 관계자, 교사, 학생의 클러스터에 대한 서로 다른 기대는 복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학생들은 교육과정 클러스터를 통해 학교의 경계를 넘어 제시되는 새로운 학습경험을 체험하고 있었으며, 학교 전체에도 새로운 자극이 된다는 긍정적인 측면에 주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긍정적인 부분에도 불구하고, 클러스터가 있는 “+1 교과”체제에 수반된 한계점과 우려 역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생맞춤형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향후 과제로서 교과목의 다양화보다는 학생들의 학습경험 다양화에 대한 중요성 인식, 공동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학교 간 연계 체제 구축의 필요성, 이를 위한 적절한 지원체제 등을 제시하고 있다.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alize a curriculum tailored to individual students` interests and aptitudes in general high schools.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iculum cluster of Kyeonggi-Do as an example of an effort to implement a tailor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is tailored high school curriculum. Three high schools(or cluster schools) in Kyeonggi-Do were used as case studies to determine the expectations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curriculum cluster, how they have responded to the cluster, what kinds of problems and limitations have arisen, and what further efforts are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cluster.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teachers, and students are complex. Moreover, the cluster has enabled the teachers and students to experience new and diverse learning beyond the school boundaries, and they are most concerned about the positive effects resulting from the challenges that the curriculum cluster has posed for the schools. Notwithstanding the positive effects, maintaining the “+1 course” system has presented limitations and raised concerns about the cluster.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lement a tailored curriculum in high schools, the variety of learning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rather than just initiating various courses, and an appropriate networking system among the schools is required.

      • KCI등재
      •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대학 진로교육 발전 방안

        박 동(Tong Park),정지은(Jieun Jeong),박나실(Nashil Park),권효원(Hyo Won Kwon),김민석(Minseok Kim),최영렬(Young Real Choi)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나라 대학의 인공지능 등 디지털 인재 양성과 진료교육의 방향 및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실시한 대학과 산업체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대학 신입생의 디지털 문해력 수준,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의 산업체 적합성, 대졸자의 디지털 분야 취업, 대졸자의 디지털 분야 창업, 대학 디지털 인재 양성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정부의 디지털 분야 정책에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해 두 집단 모두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여기서는 1) 대학 이전 초․중․고 단계에서 보편적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 2)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법률 제정 및 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 구축, 3) 인공지능 등 디지털 분야 전문 교․강사 확충, 4) 소멸 위기에 놓인 지방대학의 디지털 특성화 대학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부 지원 강화, 5) 인공지능 융합교육(AI+X)을 위한 산학연 협력 촉진 등의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rections and tasks of cultivating digital talents and career education in universities, focusing on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Korea is lagging behind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both groups showed negative evaluations on the overall evaluation of digital literacy level of college freshmen, career guidance for university digital talent training and suitability for industrial us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n the digital field, activation of young entrepreneurs in the digital field of college graduates, overall satisfaction with college digital talent train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government's digit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new policy measures in six areas. First, it is urgent to establish a system for universal digital talent cultivation not only in the higher education stage such as universities but also in the pre-university stage such as K-12. Second, it is necessary to enact laws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tal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control towers at the government level. Third, the training and retraining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instructors in the digital field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carried out in depth. Fourth,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local universities in danger of extinction can be converted into specialized universities in the digital field.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universities, industries, and local communities can cooperate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artificial intelligence. Fi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new start-up in the field of digital new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