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애란의 개정판 『달려라, 아비』에 나타난 무장소성과 헤테로토피아

        박권주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4

        The study focused on “Paper Fish” in the revised edition of “Run, Abi”. This is because the author added the word “place” to “paper fish”.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Kim Ae-ran’s novel space. Among the novels of “Paper Fish”, there are works in which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rrative development. The researcher selected these works for study.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cepts of ‘Space’, ‘Place’, and ‘Placelessness’, in human geography, and Michelle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and conducted research. Based on th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ubway’ in “Eternal Speaker”, ‘Convenience Store’ in “I Go to a Convenience Store”, and ‘Gosiwon(고시원)’ in “The House without Knocking” were reviewed. As a result, first, it was possible to confirm ‘Placelessness’ of the urban space in Kim Ae-ran’s novel. Second, in the “The House without Knocking”, the space of ‘Placelessness’ influences the behavior and psychology of the character. Third, the ‘rooftop room’ of “Paper Fish” is a space to write novels by collecting ‘healthy noise’ alienated from the city.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rooftop room’ is a ‘Heterotopia’ that raises a problem with the ‘Placelessness’ of the city. To sum up the conclusions, In Kim Ae-ran’s first collection of novels, the tragic appearance of characters living in a placelessness space is reveale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some people do not give in to the cruelty of the city and want to create a new space. If we start with the word “place” added by the author, we can read that space can affect people and that humans can go through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space. Kim Ae-ran has been dealing with modern urban space issues from first novel collection. In addition, there is a aspect in which space leads the narrative. However,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space problem in Kim Ae-ran’s novels in earnest. I hope this studycontributes to broadening the horizon of research. 이 연구는 개정판 『달려라, 아비』의 <종이 물고기>에 작가가 ‘장소’라는 낱말을 첨가한 사실에 착안하여 김애란 소설 공간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개정판의 단편 중, 공간이 서사 전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연구를 위해 인문지리학의 ‘공간’, ‘장소’, ‘무장소성’과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라는 개념을 끌어왔다. 이를 토대로 <영원한 화자>의 ‘지하철’,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편의점’, <노크하지 않는 집>의 ‘고시원’의 공간적 특징을 살폈다. 그 결과 첫째, 김애란 소설 속 도시 공간의 무장소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둘째, <노크하지 않는 집>은 무장소성의 공간이 인물의 행위와 심리에 영향을 주어 서사를 진행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셋째, <종이 물고기>의 ‘옥탑방’은 도시에서 소외된 ‘건강한 소음’을 모아 소설을 짓는 공간으로 무장소성에 이의제기하는 헤테로토피아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결론들을 종합하면, 김애란의 첫 단편집에는 무장소성의 공간 속에서 불안을 느끼는 인물도 있고, 도시의 잔인함에 굴하지 않고, 공간적 실천을 시도하는 인물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김애란의 첫 단편집에서 공간이 인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양상, 인물이 공간을 재구성하는 양상, 공간이 서사를 추동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동안, 김애란 소설의 공간 문제는 주로 장소상실의 관점에서만 다루었기에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가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에 이바지하였으면 한다.

      • KCI등재

        공간 중심 소설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박권주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6

        Time, space, and character factors are important reference points in discussing the subject and meaning of the novel. However, existing novel education has been centered on time and characters. To this end, the discussion of the novel space in structural narratology was used as the starting point for devising the method of space-based novel education.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to structural narratology is S. Rimmon-Kenan’s theory. There is no in-depth discussion of the novel space by Rimmon-Kenan. However, the reconstruc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haracter’ suggested by Rimmon-Kenan. In other words, ‘story-character’ i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in discussing the novel space. This is because the view that the reader reconstructs the story based on the internal discourse of the text provides a basis for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tory-space’ based on the text. However, structuralist narrative has neglected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ideological contexts, so accepting the perspective of post-structural narratology can provide a basis for expanding and deepening the discussion of novel space. The post-structural narratology perspective will refer to O’Neill’s theory. This provides evidence that textual discourse is constructed not only through internal discourse but also through external discourse. Accepting O’Neill’s view can lay the foundation for accepting spatial discourse such as geography and anthropology in discussions on novel space. By revealing that the novel space is not a simple background or physical element. But a phenomenological, social, cultural, and ideological element, the horizon of space-based novel education can be expanded. Rimmon-Kenan discusse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xt, but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reconstructed by Rimmon-Kenan shows that the reader Rimmon-Kenan’s schema is involved. At this time, the schema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external text discourse. In additio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character or space at the story level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deriving a ‘macro-structure’ in text linguistics, and macro-structure entails the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In general, macro-structure derivation begins with micro-structure analysis. However, since micro-structure analysis has strong form and syntactic aspects, it is questionable whether fiction discourse is appropriate for analysis. Therefore, i will use Jean-michel Adam’s presented ‘sequence’ as an alternative to the text structure analysis unit. ‘sequence’ presented by the Adam is based on text types and rhetorical traditions that are subdivided into ‘narrative’, ‘argumentation’, ‘explication’, ‘description’ and ‘dialogue’. However, this is consistent with the text segment units of rhetorical tradition, ‘narrative’, ‘argumentation’, ‘description’ In particular, according to Seymour Chatman’s discussion, these traditional segment units have logic, so there is room for them to be viewed as ‘sequenc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text segment units are set to ‘narrative’, ‘argumentation’, ‘explication’, ‘description’ and ‘dialogue’, an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pace will be derived in a macro-structure. And used as a basis for deriving novel education methods. 시간, 공간, 인물 요인은 소설의 주제와 의미를 논의함에 있어 중요한 참조점이다. 공간은 세계 이해의 중심에 놓여 있기에 학습독자의 성장을 도모하는 소설교육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 소설교육은 시간과 인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중심으로도 소설교육이 가능하다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그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구조주의 서사학에서 이루어진 소설 공간에 대한 논의를 공간 중심 소설교육의 방법을 구안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삼았다. 구조주의 서사학에서주목할 만한 연구자는 S. 리몬-케넌이다. 리몬-케넌이 소설 공간에 대한 논의를심도 있게 제시한 바는 없지만, 리몬-케넌이 제시한 ‘인물’의 특성과 의미를 재구성한 결과인 ‘스토리 층위-인물’은 소설 공간 논의의 참조점으로 삼을 수 있다. 텍스트의 내적 담화를 근간으로 독자가 스토리를 재구성한다는 견해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스토리 층위-공간’의 특성과 의미를 도출하는 근거를 마련해주기 때문이다.

      • KCI등재

        ‘비장소’ 내부의 ‘예외상태’가 보내는 시선 - 김애란의 <하루의 축>을 중심으로

        박권주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6

        이 논문은 김애란의 <하루의 축>을 바탕으로 소설 공간을 비장소의 관점에서, 소설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인물은 호모 사케르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공간성이 강한 소설은 그 공간의 특징, 인물의 심리, 공간과 인물의 상호작용 양상, 공간 내부에서의 인물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중점적으로 포착할 필요가 있다. <하루의 축>은 사건의 뚜렷한 인과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주인공 기옥이 공간을 이동함에 따라 드러나는 기옥의 심리와 과거 회상, 공간에서 우연하게 마주치는 다른 인물들과의 상호작용이 서사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마르크 오제의 비장소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가 구축한 공간이다. 그리고 비장소는 이동성이 강하고, 이용자에게 일시적인 정체성을 부여한다. 이용자는 비장소와의 계약을 통해 비장소를 이용할 권한을 갖는다. 비장소의 범위는 대도시 내부의 소비 공간만이 아니라, 정치적 폭력과 경제적 양극화가 시스템 바깥으로 빈민과 난민의 임시 거처들까지를 포함한다. <하루의 축>의 주인공인 기옥은 세계화에 대한 자각이 없지만, 화자는 이를 인식하고 있다는 징후들이 있다. 기옥은 ‘집 → 공항의 화장실 → 공항 외부의 벤치 → 공항’의 순서로 이동한다. ‘집’과 ‘공항’이 소설의 중심 공간인 것이다. 이때, 기옥의 집은 빈민의 공간이다. 기옥의 거주지는 세계화로 인해 파생되고 동시에 세계화라는 환상에서 배제된 공간이다. 공항은 대표적인 비장소인데, 공항 화장실의 이용자들은 유연적 노동자인 기옥을 비가시적 존재로 대한다. 기옥은 단란한 가정을 이루는 것이 꿈이었으나, 아들 영웅이 절도로 교도소에 가는 바람에 그 꿈이 깨진다. 기옥의 희망은 결핍으로 남고 ‘탈모’라는 증상을 남긴다. 그런데 기옥의 증상은 개인적 증상일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적 질서의 모순을 보여주는 사회적 증상이다. 이에 따라 기옥은 세계화의 흐름 속에 존재하지만 배제된 ‘호모 사케르’인 것이다. 내포작가는 이러한 기옥의 응시를 독자에게 보여주어 독자의 응답을 간접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루의 축>의 공간은 세계화로 인해 구축된 비장소적 성격을 갖는다. 비장소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적 질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지만 배제된 공간을 포함한다. 나아가 이 소설은 비장소의 내부에 은폐된 ‘호모 사케르’가 있다는 것을 가시화한다. 비장소와 예외상태에 놓인 존재를 함께 사유할 여지를 준다는 점에서<하루의 축>은 의의가 있는 소설이다. Based on Kim Ae-ran’s 「Axis of a Day」, this thesis discusses the novel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non-place’, and the person who interacts with the novel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Homo Sacer’. A novel with strong spatiality needs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pace and the characte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space. the 「Axis of a Day」 does not have a clear causality of the event. instead, the psychology and past recollection revealed in the process of Ki-ok, the main character, moving through space, and The interaction with other characters that Ki-ok accidentally encounters in a space forms the center of the narrative. Marc Auger’s ‘non-place’ is highly mobile and gives users a temporary identity. Users of ‘non-place’ obtain the right to use ‘non-place’ through a contract with ‘non-place’. The ‘non-place’ is a space constructed by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The scope of ‘non-place’ includes not only consumption spaces inside large cities, but also temporary shelters for the poor and refugees created by political violence and economic polarization. Ki-ok, the main character of 「Axis of a Day」, is not aware of globalization, but there are signs that the narrator is aware of it. Ki-ok moves in the order of ‘home → toilet at the airport → bench outside the airport → airport’. ‘Home’ and ‘airport’ are the central spaces of this novel. At this time, Ki-ok's house is the space of the poor. Ki-ok’s residence is a space derived from globalization and excluded from the illusion of globalization. Airports are a typical ‘non-place’, but users of airport toilets treat Ki-ok, a flexible worker, as an invisible entity. Ki-ok’s dream was to have a happy family, but his dream is broken when his son, Yeong-ung, goes to prison for theft. Ki-ok’s hope remains her lack, and she leaves a symptom of ‘hair loss’. However, the symptoms of Ki-ok are not only individual symptoms, but also social symptoms that show the contradiction of the neoliberal order. Accordingly, Ki-ok is a ‘Homo Sacer’ that exists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but is excluded at the same time. The space of 「Axis of a Day」 has the character of a ‘non-place’ constructed due to globalization. Furthermore, this novel reveals that there is a hidden ‘Homo Sacer’ inside the ‘non-place’. 「The Axis of a Day」 is a meaningful novel in that it gives room to both think about the ‘non-place’ and the existence in the state of exception.

      • KCI등재

        <만세전>에 나타난 진화론적 양상과 소설교육에서의 수용 방안

        박권주 ( Park Kwon-ju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8

        <만세전>의 원제목인 ‘묘지’를 고려하면, 염상섭은 3·1운동이 일어나기 전의 시대·사회적 상황을 ‘묘지’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품에서 ‘묘지’는 ‘생존경쟁’과 ‘자연도태’의 공간으로 그려져 있다. 묘지 속 ‘구더기’는 진화론적 가치를 내면화하여 살아가고 있는 조선인들을 나타낸다. 작품 표면에 진화론적 인식이 드러나고 그 인식의 변화 또한 나타나고 있지만, 소설교육은 <만세전>의 진화론적 양상에 주목하지 않았다. 진화론적 양상에 주목하면, <만세전>의 여로형 구조와 관련하여, 공간의 이동에 따라 이인화에게 관점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인화는 동경과 부산행 연락선에서 인간은 이기적인 동물이며, ‘복종전략’을 취하거나, 강자를 동경한다고 비판한다. 부산, 김천, 대전에서 이인화는 진화적 게임 규칙이 작동하는 세계와 진화론적 가치를 내면화한 인물들을 부정한다. 서울에 도착한 이인화는 편지를 통해 반진화론적 담론의 가능성을 ‘개인’과 ‘생명의 약동’이라는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다. 요컨대 작품에 나타난 진화론의 양상을 살펴보면, 작품에 대한 해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특히 <만세전>에 나타난 진화론적 양상을 소설교육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는 문학사회학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 문학사회학적 상상력은 작품에 녹아 있는 시대와 사회적 상황을 파악하고, 학습자가 속한 현대 사회로 재귀하여 작품의 가치를 살필 수 있는 능력을 이른다. 진화론이 <만세전>의 시대 상황을 드러내는 담론이라고 한다면, <만세전>의 진화론적 양상을 문학사회학적 상상력을 통해서 살피는 교육활동이 가능하다. 진화론과 문학사회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을 재구성하면, 학습자들이 <만세전>에 나타난 시대 의식, 인물의 가치관, 배경, 표현 방법 등을 통해 당대의 사회적 상황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만세전>의 역사적 배경을 오늘날의 사회적 상황과 비교하거나 작품의 현재적 가치를 살필 수 있다. 소설의 재발견은 작품 속에서 현재적 가치를 읽어낼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면, 100여 년 전 작품인 <만세전>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소설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The original title of “Mansejeon” was “The Cemetery”. Considering this, it can be seen that Yeom Sang-seop recognizes the times and social situations before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Cemetery”. In the work, “The Cemetery” is depicted as a space that “survival competition” and “natural selection”. “The maggots” in the cemetery to likened Koreans who live by internalizing evolutionary values. Although evolutionary awareness is revealed on the surface of the work and changes in its perception are also appearing, novel education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evolutionary aspect of “Mansejeon”. Paying attention to the theory of evolution, you can see that according to the spatial variation of “Mansejeon”, a change of perspective is emerging for Lee In-hwa. In Tokyo and On the Busan-Shimonoseki ferry, Lee In-hwa criticizes that humans are selfish animals and they are taking a “submission strategy” or admire the strong. In Busan, Gimcheon and Daejeon, Lee In-hwa denies both the evolutionary world and the internalized state of evolutionary values. In Seoul, Lee In-hwa presents through a letter that the possibility of anti-evolutionist discourse as a concept of “individual” and “vital impetus”. In short, if you look at the aspects of evolution in the work, you can broade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note the evolutionary aspects revealed in “Mansejeon” in novel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can develop learners’ Literary sociological imagination. Literary sociological imagination refers to the ability to grasp the times and social situations that are reflected in the work, and to re-return to the modern society to which the learner belong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work. If the theory of evolution is a discourse that reveals the situation of the times of “Mansejeon”, it is possible to conduct educational activities to examine the evolutionary aspects of “Mansejeon” through Literary sociological imagination. By reconstructing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and Literary sociological imagination, learners can grasp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values of characters, backgrounds, and methods of expression shown in “Mansejeon”. In addition, learners can compar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ansejeon” with today’s social situation or examine the present value of the work. rediscovering a novel is possible when you can read its present value in the work. through the rediscovery process, novel education will be possible to revive the vitality of “Mansejeon”, a work from more than 100 years ago.

      • Total synthesis of isoimerubrine and its analogs

        장세욱,박권주,이홍원,이병일,김영규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Isoimerubrine is an attractive synthetic target because of its fascinating fused structure of the seven-membered tropone ring and isoquinoline moiety as well as its interesting biological activities. Based on our previous total synthesis of pareitropone, the key synthetic step for isoimerubrine is the radical anionic coupling of phenolic nitronat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nnulated tropone ring. We have synthesized the trimethoxy-substituted tropoloisoquinoline rings of isoimerubrine containing the chlorine functional group. They could be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various analogs of isoimerubrine because the chlorine group could be readily converted into other functional groups. Using this strategy, we have successfully synthesized isoimerubrine and its regioisomer by simple methoxylation.

      • 비스니트로피라졸계 고에너지 물질의 구조와 민감도의 상호관계 고찰

        이병일,이윤재,권현영,이홍원,박권주,박정현,김영규,권국태,김승희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니트로피라졸계 화합물은 아졸계의 열적 안정성과 높은 질소 비율을 지녀, 고에너지 물질의 기본 골격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구조이성질체인 3,5-디니트로피라졸과 3,4-디니트로피라졸이 메틸린기로 연결된 비스구조화합물인 비스(3,5-디니트로피라졸릴)메테인과 비스(3,4-디니트로피라졸릴)메테인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두 화합물의 충격 민감도는 기존 고에너지 물질에 대비하여 매우 둔감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두 화합물과 외국의 고에너지물질 연구진들이 합성한 비스니트로피라졸계 물질의 구조와 성능을 비교하여, 니트로아졸계 고에너지 물질의 구조와 민감도의 상호관계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1. Bull. Kor. Chem. Soc. 2017, 38, 751-755

      • 니트로피라졸계 고에너지 물질의 골격내 탄소 사슬 길이에 따른 민감도와 성능의 변화 고찰

        이병일,이윤재,이홍원,박권주,박정현,김영규,권국태,김승희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아졸계는 높은 열적안정성과 높은 질소비율을 지니는 특성 때문에, 기본단량체로써 고에너지 물질 연구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끌었다. 특히, 니트로피라졸계 화합물은 니트로이미다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안정하여 많은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진도 디니트로피라졸을 기본 골격으로 이용하여, 메틸린기로 연결된 비스 구조화합물인 비스(3,5-디니트로피라졸릴)메테인과 비스(3,4-디니트로피라졸릴)메테인을 합성하였다.[1] 합성된 두 화합물의 충격 민감도는 알려진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고에너지 물질인 RDX에 비해 매우 둔감한 것으로 측정되어, 둔감성 고에너지 물질로써의 가능성을 보였다. 타 연구팀에서도 다양한 비스니트로피라졸계 고에너지 물질을 보고하였는데, 이들의 구조와 성능에 대한 비교는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표에서는 보고된 비스니트로피라졸계 물질의 골격을 이루는 탄소 사슬의 길이에 따른 폭발 성능과 민감도의 변화 비교하여, 비스구조의 고에너지 물질에서 탄소 사슬과 민감도의 관계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