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文準彗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1 한자연구 Vol.0 No.5
Shuowenjieziyizheng is a book which is the only remaining in-depth study material of Chosun(朝鮮) dynasty that studies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Shuowenjiezi. It consists of six volumes, using the bronze inscriptions to correct the errors of shuowenjiezi, and dealing with various graphonomical topics regarding Chinese characters. It has originality which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opinions of Chinese scholars. This paper introduced the unique analysis on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in Shuowenjieziyizheng, and considered its significance.
한국 금석학(金石學)의 성취에 대한 재평가 - \ 박선수(朴瑄壽)의 금석학을 중심으로
문준혜 동양고전학회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3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Park Seon-su’s ShuowenJiezi YIzheng from the perspective of Epigraphy, and incorporate it into the fields of Korean Epigraphy. Korean Epigraphy, which now categorized as a study since Kim Jeong-hee’s powerful work in 19th century, can be listed either by studies published before and after Kim Jeong-hee’s and by name of influential writers who have successfully presented each study and striv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pigraphy. Earlier studies show that Korean Epigraphy has more books of data collection rather than the books of research on the epigraph. Regardless of the nationality of the author, all books containing Korean epigraph were counted as Korean Epigraphy, and those books made for religious reasons were not excluded from Korean Epigraphy as well. This indicates how wide the scope of Korean Epigraphy is. In this The reason Park Seon-su's research is ignored at present time, which was assessed as excell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y come from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ShuowenJiezi YIzheng. His book, ShuowenJiezi YIzheng, focuses on graphology but more broadly it includes translation of Epigraph and Epigraphy which leads to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 Such Park- Seonsu’s great work must be presented in Korean Epigraphy studies to broaden its scope, also it is important to look for yet unfound pieces on the fields of Epigraphy.
문준혜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9
최근 기증된 필사본(筆寫本) 『설문해자익징(說文解字翼徵)』(1-5책까지 남아 있음)은 1912년에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된 『설문해자익징』(1-6책)의 원고로 추정된다. 필사본에 적힌 수정사항이 석인본에 그대로 반영된 것이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필사본과 석인본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한다. 첫째, 수록한 한자의 분량이 서로 다르다. 1-5책까지 필사본에는 1,072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는데, 석인본에는 1,144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다. 둘째, 각 글자 아래 제시한 종정문의 개수가 서로 다르다. 필사본에서는 1,725개의 종정문을 제시했지만, 석인본에서는 2,286개의 종정문을 제시하였다. 석인본으로 출판되면서 수록한 한자와 종정문의 개수가 다수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내용상의 차이도 적지 않다. 한자 분석의 내용이 서로 다른 경우도 많고, 분석할 때 사용한 용어나 예시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넷째, 본문의 위쪽에 있는 頭註도 서로 다른 부분이 많다. 필사본에서는 모두 225개의 글자 위에 두주가 있는데, 석인본에는 모두 320개의 글자에 두주가 있으며, 내용과 분량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설문해자익징』은 필사본을 수정 보완하며 오랜 시간에 걸쳐 완성되었다고 보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저술에 참여한 인물들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The Recently donated manuscript, Shuowen Jiezi Yizheng (1-5 books remain) is presumed to be the original for the lithograph of Shuowen Jiezi Yizheng (1-6 books) which was published in 1912. This presumption is supported by the same correction marks in stone lithograph and the hand-written manuscript. Despite the resemblance and the identical structure as well as composition, the details (up to 1-5) at a closer look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o begin with, 1,072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in the manuscript whereas 1,144 in the lithograph. The manuscript presented 1,725 bronze script while 2,286 in the lithograph. There are 225 headnotes in manuscript and 320 in lithography, moreover, the terms and the contents to describe Chinese characters are not the sam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Shuowen Jiezi Yizheng took fair amount of time to be completed with constant revision and improvement. For these reasons further studies on the participants in the writing including the author are needed.
《說文解字》 경전 인용의 의미 — 《書》의 인용을 중심으로
문준혜 한국중국어문학회 2022 中國文學 Vol.113 No.-
《說文解字》의 문자 해설 형식 가운데 경전을 인용한 방식은 표제자의 용례를 제시한 것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書》를 인용한 173개의 글자를 살펴보면, 許愼이 인용한 문장은 많은 경우 현전하는 판본과 다르며, 차이가 없는 경우에도 글자의 의미에 대한 풀이가 다른 주석가들과 달랐다. 또 異體字와 假借 현상 및 글자의 讀音을 설명하기 위해 《서》를 인용하거나, 글자가 가리키는 사물을 설명하기 위해 인용한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설문해자》의 경전 인용은 용례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한정해서는 안되며, 오히려 今古文經의 차이로 인해 논쟁이 발생한 글자나 문장에 대해 허신이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밝히려는 의도로 인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문준혜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5 No.-
≪說文解字翼徵≫是朴瑄壽(1821-1899)撰述的一部專門硏究漢字的書, ?是現存的朝鮮時代唯一的文字學著作。 ?以金文資料爲依据, 對≪說文解字≫收錄的9353個漢字中1377個漢字或加以補充, 或進行反駁, 修正了文字解釋上的誤?, 補充了≪說文解字≫體系上的不足。 朴瑄壽的硏究方法和文字理論與當時中國學者相比頗爲獨特。 他認爲≪說文解字≫文字解釋上的誤?是由已變形的字形爲依据進行解釋而引起的。 爲了彌補這一点, 他以當時最古老的字體-金文爲依据, 討論了每個漢字最原始的形, 音, 義。 這一文字硏究方法和當時中國學者相比更爲先進, 更爲科學。 他打破了傳統的文字結構分析法-`六書`理論, 提出了新的漢字結構分析法, 創立了自己獨特的文字學理論。 根據聲符的有無, 他先把漢字分成`文`與`字`, 再把`文`細分成專聲, 專義, 聯從, 繁從等。 這是擺脫將近二千年的六書理論而提出的新的漢字結構分析法。 朴瑄壽分類`文`與`字`以後, 討論了部首和歸屬的問題, 又對漢字中存在的多音字現象、聲符相同而讀音不同的現象、幷將文字硏究的結果應用到經典和銘文的解釋上, 對經典註釋提出異議修正了銘文考釋的誤謬。 可是, 在注釋某些漢字時, 因中國音韻學方面的知識不足以充分而導致了不少錯誤。不僅如此, 由于對漢字發展過程有些誤解而有時把古今字或異體字分別分析成兩個不同的字, 加上傳統觀念對于文字的解說和結構的分析等給予消極影響。 由此可見, 『翼徵』還具有不少缺点, 這也是不可否認的事實。 不過, 如果能勾把這種錯誤先?置一旁, 排除在外, 從『翼徵』中所發現敏銳的問題意識和解決辦法等, 這將會給我們提供更爲科學地、更爲細微地剖析漢字內所存在的各種各樣問題的線頭。
≪說文解字≫의 수용양상 ― ?代 說文學의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문준혜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文學 Vol.62 No.-
東漢許愼的≪說文解字≫自問世以來, 一直都被譽爲經典注釋的根据, 字典的模范格式, 在≪說文解字·敍≫里提到的幾個理論也成爲了文字學硏究的核心問題。但隨着時間的流逝, ?逐漸失去了其在字典上的价値和意義, 只是被一些書法家和文字學家們流傳。可是到了淸代乾隆嘉慶時期, 突然出現了?多硏究≪說文解字≫的著名學者, 形成了說文學這門學派。這正是因爲在考證學的成立和漢學復興的情況下, ≪說文解字≫被認爲是可以把被道敎和佛敎感染的儒家經典恢復成本來面貌的最重要資料。但是在淸代后期出現的家危机, 卽鴉片戰爭和太平天國起義引起了考證學者的沒落, 而且因漢學自己的空論性的限制和古文字學的發展等, 使≪說文解字≫不再象以前那樣被硏究和關注。
논문 : 조선시대 문집에 보이는 중국 언어 문자 연구 조망 -이덕무(李德懋)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를 중심으로
문준혜 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語文學誌 Vol.38 No.-
該論文的硏究目的是總結朝鮮時代中國語言文字硏究的成果,通過考察李德懋的《靑莊館全書》中的內容,了解當時朝鮮對小學的硏究水平。李德懋認爲文字是萬事的根本,他强調學習六書和說文的必要性,主張使用正確的漢子發音,探究漢字書體的轉變和詞彙的來源等等。由此我們可以了解到李德懋個人乃至朝鮮中後期對小學的硏究情況。以後我們還要繼續조出這種未被發現的硏究成果,來記述韓國漢字基礎學的曆史和傳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