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제 지향적 활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마성룡(Sung-Ryoung Ma),정상미(Sang-Mi Jung),박진주(Jin-Joo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1s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 지향적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02월부터 04월까지 경기도에 소재하는 B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 15명은 과제 지향적 활동과 대조군 15명은 일반적 작업치료를 주 3회, 회당 30분씩, 총 4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Timed Up and Go(TUG), Messen Trairuieren Dokumentieren(MTD)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등으로 사전 평가하였으며, 4주 후 사후평가 실시하여 집단 간 비교와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후 평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균형능력은 향상되었고, 특히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중재 후 실험군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TUG 변화량과 K-MBI 변화량 사이에는 음의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과제 지향적 활동이 일반적 작업치료보다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the effect of the task-oriented activities on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 and each 15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control group performing traditional occupation therapy and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task-oriented activities. Evaluation of the balanc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performed before intervention, after 4 weeks using Timed up and go(TUG), MTD balance system(MTD),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MBI). The result as follows: Both groups showed the improved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increase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TUG, MTD. However MBI mean 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The task-oriented activities were helpful more than the traditional occupation therapy to improve balance in the stroke patients.

      • KCI등재

        테라테인먼트 과제 지향적 상지운동과제가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육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마성룡(Sung-Ryoung Ma)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테라테인먼트의 적용을 위해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분들의 비손상측 대뇌반구에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 후 테라테인먼트 과제 지향적 상지운동과제를 적용하여 마비측 상지 기능 및 근육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경기도 소재 B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그룹 10명은 rTMS 후 과제 지향적 상지운동과제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그룹 10명은 일반 상지치료를 주 3회, 회당 40분씩, 총 4주간 동안 실시하였다. 근 긴장도 검사는 근 긴장도 검사기(MyotonPRO), 상지기능은 박스 앤 블록 검사(Box and Block Test)로 평가하였으며, 중재 전, 4주 중재 후 평가를 실시하여 그룹내 변화량 및 그룹 간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중재 후 평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그룹과 대조그룹 모두 그룹 내 중재 전 · 후 평가시 근 긴장도 감소와 상지 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그룹 간 비교에서 실험그룹이 대조군 보다 근 긴장도 감소 및 상지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rTMS와 과제 지향적 상지운동과제는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의 근 긴장도 감소 및 상지기능 향상 등의 재활치료 분야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upper limb motor task after Low rTMS on muscle ton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over 65 year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roke patients and each 10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task-oriented upper limb motor task after Low rTMS and control group performing common upper extremity therapy. Evaluation of muscle ton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was performed before intervention, after 4 weeks using muslce tone test(MyotonePrRO), upper extremity test(Box and Block Tes: BBT).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uscle tension and upper limb function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comparison of the change amount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the task oriented upper limb motor task after rTMS improved the upper limb muscle tension and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aged 65 years and older. Therefore, rTMS and task oriented upper limb motor task may be useful i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with 65 years of age.

      • KCI등재

        테라테인먼트 과제지향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대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마성룡(Sung-Ryoung Ma)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지향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손상측 상지 기능과 대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1월부터 3월까지 경기도 소재 B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 15명은 과제지향활동을 제공하였으며, 대조군 15명은 일반적 작업치료를 주 3회, 회당 30분씩, 총 4주간 동안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상지 기능은 도수기능검사(MFT), 상지 지구력 및 기민성 검사는 나무상자에 적목 옮기기 검사(BBT), 손상측 대뇌피질의 운동유발전위중재 전 평가하였으며, 4주후 중재 후 평가를 실시하여 그룹 내 및 그룹 간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중재 후 평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그룹 내 중재 전-중재 후 평가 시 전반적인 상지 기능과 상지 지구력 및 기민성, 대뇌 활성도 검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향상을 보였다. 그룹 간 중재 전-중재 후 평가에서 상지 지구력과 대뇌 활성도 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하지만 전반적인 상지 기능검사인 도수기능검사에서는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과제지향활동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향상된 것은 아니지만, 추후 보완된 연구를 통해서 뇌졸중 환자 치료 시 과제지향활동이 상지 기능 및 대뇌 활성도를 증진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cerebral cortex activity in stroke pati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 and each 15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control group performing common occupational therapy and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task-oriented activity. Evalua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cerebral crotex activity was performed before intervention, after 4 weeks using Manual Function Test(MFT), Box and Block Tes(BBT), Motor Evoked Potential amplitude(MEP amplitude).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had enhanced their upper limb function after task-oriented activities. 2) task-oriented activities had help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erebral crotex activity.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increase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BBT, MEP amplitude. However MFT mean 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The research results thus indicate that task-oriented activities helps stroke patients enhance upper extremity function as well as cerebral crotex activity to the hemiplegic side. We can thereby conclude this intervention will again in the future be very useful for stroke patients in this context.

      • KCI등재

        뇌졸중 환자에서 테라테인먼트 어깨뼈 설정(scapula setting) 중재가 마비측 상지 기능과 체중지지에 미치는 영향

        마성룡(Sung-Ryoung Ma)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깨뼈 설정 중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손상측 체중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2월부터 4월까지 경기도 소재하는 B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 15명은 어깨뼈 설정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군 15명은 일반적 재활치료를 주 3회, 회당 30분씩, 총 6주간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상지기능은 Manual Function Test(MFT)와 손상측 체중지지 능력은 MTD balance system 3개 항목(서 있는 자세, 무릎을 30도 굽힌 자세, 의자에서 일어서기 시 좌‥우측 체중지지율(%)을 측정) 사전 평가하였으며, 6주 후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집단 내 및 집단 간 비교 분석하였다. 사후 평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집단 내 사전-사후 평가 시 손상측 체중지지율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지만, 상지기능에서는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집단 간 사전-사후 평가 시 상지 기능과 손상측 체중지지율 2개 항목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향상됨을 보였다. 하지만 손상측 체중지지율 1개 항목(무릎을 30도 굽힌 자세)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비록 본 연구인 어깨뼈 설정 중재를 통해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손상측 체중지지율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향상된 것은 아니지만, 추후 보완된 연구를 통해서 뇌졸중 환자 치료 시어깨뼈 설정 중재가 상지기능 및 손상측으로의 체중지지율을 증진하는데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 the theratainment scapula setting intervention and its effect on stroke patients upper limb function and weight bearing to the hemiplegic sid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 and each 15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control group performing common rehabilitation therapy and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scapula setting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weight bearing and function of upper extremity was performed before intervention, after 6 weeks using Manual Function Test(MFT), MTD balance system(MTD).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had enhanced their upper limb function after scapula setting. 2) scapula setting intervention had help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weight bearing to the hemiplegic side.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increase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MFT, MTD(2 item). However MTD(1 item: flex knee 30 degree position) mean 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The rearch results thus indicate that scapula setting intervention helps stroke patients enhance upper limb as well as weight bearing to the hemiplegic side. We can thereby conclude this intervention will again in the future be very useful for stroke patients in this context.

      • KCI등재

        과제 지향적 상지운동과제가 뇌졸중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마성룡(Sung-Ryoung Ma),정상미(Sang-Mi Ju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 지향적 상지운동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09월부터 11월까지 경기도에 소재하는 B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 15명은 과제지향적 상지운동과제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군 15명은 반복적 상지 운동치료를 주 3회, 회당 30분씩, 총 8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Fugl-Meyer Assessment Scale(FMA), Manual Functional Test(MFT)와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은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K-MBI)등으로 사전 평가하였으며, 8주 후 사후평가 실시하여 집단 간 비교 분석하였다. 사후 평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모든 평가에서 더 증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연구의 제한점을 인정하고 더 나은 결과를 얻지 못했지만 추후 보완된 연구에서는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the effect of the task-oriented upper motor task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 and each 15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control group performing repetitive extremity motor treatment and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task-oriented upper motor tasks. Evaluation of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performed before intervention, after 4 weeks using Fugl-Meyer Assessment Scale and(FMA), Manual Functional Test(MFT),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 The result as follows: Both groups showed the improved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increase more than thecontrol group in FMA, MFT, K-MBI. However FMA, MFT, K-MBI mean 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Consequently, both the task-oriented upper motor tasks and repetitive extremity motor treatment lead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y.

      • KCI등재

        손 내재근 치료 후 테라테인먼트 과제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마성룡(Sung-Ryoung Ma),양병일(Byung-Il Y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손 내재근 치료 후 테라테인먼트 과제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2월부터 4월까지 경기도 소재 B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무작위 선정한 후 실험그룹 15명은 손 내재근 치료 후 과제 적용, 대조그룹 15명은 일반적 상지과제훈련을 중재하였다. 중재는 두 그룹 모두 4주간 주 3회, 회당 3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MFT)와 박스 앤 블록 검사(BBT)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전, 4주 중재 후 2회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재 후 결과 두 그룹 모두 중재 전·후 상지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MFT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MFT를 대동작과 소동작으로 구분하여 변화량 비교 시 실험그룹이 대조그룹에 비행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1). BBT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손 내재근 치료 후 테라테인먼트 과제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 application after hand intrinsic muscle treatment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 and each 15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intrinsic muscle treatment after task and control group performing common upper extremity task training. Evalua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was performed before intervention(pre test), after 4 weeks(post test) using Manual Function Test(MFT), Box and Block Tes(BB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an in-group test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ll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e- and post-test evaluations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groups when the post test was examined in an intergroup test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increase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BB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FT between the groups, but the MFT was divided into the large movement and the small movement,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p <.001). The research results thus indicate that intrinsic muscle treatment after task helps stroke patients enhance upper extremity function. We can thereby conclude this treatment will again in the future be very useful for stroke patients in this context.

      • KCI등재후보

        직 · 간접 섭식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정상미(Sang-Mi Jeong),박진주(Jin-Ju Park),마성룡(Sung-Ryoung Ma)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연하장애 중재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07월부터 10월까지 충청남도에 소재하는 D병원에서 연하장애 치료를 받는 연하장애 환자10명을 대상으로 간접삼킴을 수행한 대조군과 직접삼킴을 수행한 실험군에 각각 5명씩 무선배치하여 주 5회, 회당 30분씩, 총 8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VFSS 검사 후 FDS와 PAS를 이용하여 중재 전과 4주 후, 8주 후에 각각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기능은 시간경과에 따라 모두 향상되었지만, 실험군에서 더 많은 향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흡인의 위험이 적은 환자의 경우,조기에 직접삼킴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환자의 연하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 of dysphagia intervention on dysphagia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0 dysphagia patients and each 5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control group performing indirect feeding and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direct feeding. Evaluation of the dysphagia function was performed before intervention, after 4 weeks and 8 weeks using FDS and PAS with VFSS. The result as follows: We checked the difference of dysphagia intervention, Two groups showed the improved dysphagia function but, also for the comparison group, FDS and PA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so for the dysphagia patients with low risk of aspiration due to direct feeding,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o provide the early treatment of direct feeding is more effective on improvement of dysphagia function.

      • KCI등재

        혀 저항정확도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보중(Bo-Jung Kim),마성룡(Sung-Ryoung Ma)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혀의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기계(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여 혀의 최대 저항 훈련프로그램을 수정하고, 혀 정확도 훈련을 추가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혀 근력과 구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 및 외래환자를 각각 20명씩 실험군인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대조군인 구강안면운동 치료군으로 나누어 각 치료를 대상자들에게 총 4주간 30분씩, 주 5회 실시하였고, 혀 근력과 구어기능 능력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 후에 혀 전방거상 압력(Anterior Tongue Pressure; ATP), 혀 후방거상압력(Posterior Tongue Pressure; PTP), 최대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MPT)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재 전·후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구강안면운동 치료군의 혀 근력과 구어기능은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나, 두 군 사이의 비교에서 혀 저항정확도훈련 치료군과 구강안면운동 치료군 간의 혀근력과 구어기능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혀 저항정확도훈련이 기존 구강안면운동 치료보다 혀 근력 및 구어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ongues maximum resistance training program on the accuracy of the tongue training program using the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tongue muscle strength and spoken language function on objective function. The experiment was diagnosed with stroke hemiplegia divided into tongue pressure strength and accuracy training therapy group and the oromotor exercise therapy group Anterior Tongue Pressure(ATP), Posterior Tongue Pressure (PTP), and Posterior Tongue Pressure (PT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o evaluate changes in tongue strength and verbal ability. Maximum Phonation Time (MP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ngue strength and verbal function between training group and oral facial exercis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ngue strength training and oral facial exercise group.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tongue pressure strength and accuracy training therapy group was not effective to improve tongue muscle strength and spoken language ability than the oromotor exercise therapy group.

      • KCI등재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손 움직임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양종은 ( Jong-eun Yang ),마성룡 ( Sung-ryoung Ma ),최종배 ( Jong-bae Choi ) 대한신경치료학회 2019 신경치료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nd movement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on the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 of stroke patients and to present a therapeutic evidence for virtual reality training intervention. Method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f 30 stroke patients, 15 experimental subjects and 15 control subject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hand movement exercis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control group performed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We performed FMA-UE, WMFT, and BBT evaluations to changes in upper extremity function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P<.05) in the FMA-UE and WMFT evalu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P< .01) was also observed in the BBT evaluation of the hand agility to show that the upper limb function improved after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interven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 >.05),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upper extremity fu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P<.05). Conclusion We found that hand movement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recovery of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 in stroke patients, We hope to discuss various issues to be solved in the approach of upper limb treatment for stroke pati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소진, 감정노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선일(Sun-Il Lee),마성룡(Sung-Ryoung Ma)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소진, 감정노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위치한 병원, 보건소, 발달센터 등 작업치료사가 재직 중인 곳을 선택하여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3월 21일부터 4월 11일까 3주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를 확인하였다. 성별에 따른 소진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소진이 높으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종학력에 따라 3년제 및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작업치료사는 대학원 재학 이상의 작업치료사들보다 소진과 감정노동이 높았으며 반대로 자기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봉에 따른 차이는 연봉 2900만 원 이하를 받는 작업치료사들이 연봉 3000만 원 이상을 받는 작업치료사에 비해 소진과 감정노동이 높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33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for hospitals, health centers, and development centers in the capital area such as Seoul, Gyeonggi, and Incheon. For three weeks from March 21st 2017 to April 11th 2017, the researcher randomly selected/directly visited health medical service institutes in the capital area like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rnout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sex.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burnout and emotional labor. Third, in accordance with annual salary,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th, in the correlations betwee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while showing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also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