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살아있는 우주인가? 또는 지질학적 유물(GeoFacts)인가?: 유타 국립공원의 석조아치 – 문화유산을 둘러싼 커뮤니케이션의 인식론적 분열

        리차드 W. 토플 국립민속박물관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5 No.1

        In this essay we contrast the GeoFacts about large stone arches that derive from the science of geology, with the GeoFacts about large stone arches that derive from the cultural beliefs of Native Americans. Geologists interpret arches as inert stones that have been eroded away by natural forces, while Native Americans see arches as having been formed by the Creator as stone portals designed to provide travel to other dimensions and are key features of their heritage. Holders of each perspective draw on conflicting epistemological premises which support the truth (the veritas) of their stipulated GeoFacts. The ‘epistemological divide’ that these premises create is a significant barrier to heritag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in general, and specifically to discussions about the appropriate meanings, management, and uses of stone arches. This analysis is based on 484 ethnographic interviews (168 at Arches National Park and 316 at Canyonlands National Park) with representatives of six tribes and pueblos. 이 논문은 지질학에서의 관점에서 파생 된 거대한 스톤 아치, 지오팩츠(GeoFacts)와 북미 원주민의 문화적 신념에서의 스톤 아치의지오팩츠(GeoFacts)를 대조한다. 지질학자들은 아치를 자연의 힘에의해 침식된 아무 영향력이 없는 돌로 해석하고, 북미 원주민들은아치를 창조주에 의해 형성된 다른 차원으로의 여행을 위해만들어진 포탈(Portal)로 보고 있으며, 아치는 그들의 유산의핵심이기도 하다. 각 관점의 보유자들은 규정된 지오팩츠(GeoFacts)의진실(the Veritas)을 뒷받침하는 상충되는 인식론적 전제에 기반한다. 이 전제의 차이가 만들어낸 ‘윤리학적 격차’는 유산 환경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특히 의미, 관리, 그리고 스톤 아치의 사용처에관련한 토론에 중요한 장벽이 된다. 이 논문은 6개 부족 대표를대상으로 한 484건의 민족학적 인터뷰(아치스 국립공원에서168명, 캐년랜드 국립공원에서 316명)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 KCI등재

        살아있는 우주인가? 또는 지질학적 유물(GeoFacts)인가?: 유타 국립공원의 석조아치 – 문화유산을 둘러싼 커뮤니케이션의 인식론적 분열

        리차드 W. 토플 국립민속박물관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5 No.2

        In this essay we contrast the GeoFacts about large stone arches that derive from the science of geology, with the GeoFacts about large stone arches that derive from the cultural beliefs of Native Americans. Geologists interpret arches as inert stones that have been eroded away by natural forces, while Native Americans see arches as having been formed by the Creator as stone portals designed to provide travel to other dimensions and are key features of their heritage. Holders of each perspective draw on conflicting epistemological premises which support the truth (the veritas) of their stipulated GeoFacts. The ‘epistemological divide’ that these premises create is a significant barrier to heritage environmental communication in general, and specifically to discussions about the appropriate meanings, management, and uses of stone arches. This analysis is based on 484 ethnographic interviews (168 at Arches National Park and 316 at Canyonlands National Park) with representatives of six tribes and pueblos. 이 논문은 지질학에서의 관점에서 파생 된 거대한 스톤 아치, 지오팩츠(GeoFacts)와 북미 원주민의 문화적 신념에서의 스톤 아치의지오팩츠(GeoFacts)를 대조한다. 지질학자들은 아치를 자연의 힘에의해 침식된 아무 영향력이 없는 돌로 해석하고, 북미 원주민들은아치를 창조주에 의해 형성된 다른 차원으로의 여행을 위해만들어진 포탈(Portal)로 보고 있으며, 아치는 그들의 유산의핵심이기도 하다. 각 관점의 보유자들은 규정된 지오팩츠(GeoFacts)의진실(the Veritas)을 뒷받침하는 상충되는 인식론적 전제에 기반한다. 이 전제의 차이가 만들어낸 ‘윤리학적 격차’는 유산 환경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특히 의미, 관리, 그리고 스톤 아치의 사용처에관련한 토론에 중요한 장벽이 된다. 이 논문은 6개 부족 대표를대상으로 한 484건의 민족학적 인터뷰(아치스 국립공원에서168명, 캐년랜드 국립공원에서 316명)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 KCI등재

        게임의 이름: 카리브해 지역 노예제 시대부터 탈식민지 시기 남성들의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오와레(Oware)

        리차드 W. 토플,마마두 A. 바로 국립민속박물관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1 No.-

        유럽, 북미, 카리브해 지역의 여러 박물관에서는 정교한 나무 조각 놀이판인 오와레(Oware) 혹은 와리(Warri)를 수집 및 소장해 왔다. 박물관 전시물로서의 오와레는 공간적, 시간적, 예술 형식적 호기심의대상이지만, 본 분석 이전까지 오와레가 노예제와 식민지 통치 하에서 남성 행위주체성의 중심 요소로고려된 적은 없었다. 본 논문은 노예 활동을 문화유산에 대한 동시대적 대화에 (재)정립시키기 위하여, 카리브해 지역의 물질문화 중 간과되거나 오해를 받고 있는 부분에 대한 연구 방법을 상세히 제시한다.1 본 논문에서는 남성 노예들이 오와레 게임을 하면서 집단적으로 자신들의 아프리카 문화에 참여했고 카리브해 지역 바베이도스 및 다른 지역에서의 노예 플랜테이션과 식민제도에 조직적으로 대항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문서 및 동시대의 민족지학적 인터뷰를 통해 남성들이 겉보기에 위협적으로 보이지 않는 게임인 오와레를 하면서 노예 플랜테이션를 비롯해 남성들의 활동과 상호작용에 대한식민지배자들의 탄압을 교묘히 피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남성들은 오와레를 하면서 주요 아프리카 남성 집단들의 활동과 구조를 (재)창조하였고, 이에 따라 크리올 남성의 사회적 공간이 생겨날 수 있었다. 200여 년 이상 바베이도스는 카리브해의 노예사회 중 가장 강압적인 곳이었고 1834년부터 1966년까지 바베이도스 사회는 영국의 인식론에 의해 철저히 지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행위주체성의정립을 위한 오와레의 사용과 20세기까지 이어진 오와레의 지속성 및 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이해도를높이기 위한 적절한 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小麥의 初期生育에 관한 硏究

        리차드스, 리차드 에이,宋昌吉 濟州大學校亞熱帶農業硏究所 1997 亞熱帶農業硏究 Vol.14 No.-

        初期生育이 良好한 小麥品種을 選拔하기 위하여 小麥 9系統을 供試하여 試驗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優秀系統 選拔試驗에 있어서는 장초엽 系統인 경우 Vigour18과 ZL59A가, 단초엽 系統인 경우는 Amery와 Janz가 初期生育이 良好하였다. 2) 生育期 및 窒素水準에 따른 反應에 있어서는 장초엽 系統인 경우 Vigour18이 단초엽 系統인 경우 Janz가 優勢하였다. 3) 播種密度와 窒素水準에 따른 反應에 있어서, 葉面積은 Vigour18, Janz 모두 密植 할수록 작아지고, 普肥區가 少肥區보다 增加하였으며, 葉重, 乾物重, 根重에 있어서도 葉面積과 같은 경향이었다. SLA와 LAR은 密植 할수록 커지고, 少肥區에서 增加 하였는데, Vigour18과 Janz 모두 같은 傾向이었다. 根長은 장초엽 系統인 Vigour18은 3粒播種區에서 最大値를 나타냈으나, 단초엽 系統인 Janz는 2粒播種區에서 最大値를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wheat 9 genotypes to choose the wheat which is excellent in the early vigou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Vigour18 and ZL59A are excellent in the long coleoptile genotype, while Amery and Janz are excellent in the short coleoptile genotype. 2. In responding to the growth stage and nitrogen level, Vigour18 is predominant in the long coleoptile genotype, while Janz in short coleoptile genotype. 3. In the responding to sow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the more the sowing density was, the shorter the leaf area of Vigour18 and Janz tended to grow. Also the leaf area turned out to grow larger in the plot fertilized with high nitrogen than in the plot fertilized with low nitrogen. This is true of leaf weight, dry weight, and root weight. Concerning SLA and LAR, the more the sowing density was, the larger specific leaf area tended to glow, while the specific leaf area grow larger in the plot fertilized with low nitrogen. This is true of both Vigour18 and Janz. The root length of long coleoptile genotype, Vigour18, turned out to grow longest on the plot sown with 3 seeds. While the root of short coleoptile genotype, Janz, grew longest on the plot sown with 2 seeds.

      • KCI등재

        Korean Student Perceptions of a CANVAS Based EFL Class During COVID-19: A Case Study

        앤드류 리차드스(Andrew Richards),튜어트 존(Stuart Jones)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이 연구는 세계적인 COVID-19 대유행 기간 동안 온라인 교육 매체로 CANVAS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한국 대학의 영어 학습자들의 느낌과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데이터는 서울 지역의 한 대학에 등록된 129명의 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습니다. 리커트 척도 및 개방형 질문의 객관식 조합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주요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동의가 이루어진 경우, 설문 조사 참가자들에게 이메일로 연락하여 자세한 답변을 논의했습니다. 데이터는 일반적인 정성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기술 통계를 사용하여 논의되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유행병과 관련된 혼란과 시스템의 효율성과 관련된 좌절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그들의 주요 학습 인터페이스로 캔버스를 사용하는 것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만족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게다가, 그들은 학습 과정과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특정한 수의 캔버스 기능에 의존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행정적, 교육적 의미와 한계도 논의됩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feelings and perceptions of English learners at a Korean university towards using CANVAS as an online teaching medium during the global COVID-19 pandemic.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in the greater Seoul area.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multiple choice, Likert scale and open-ended questions was used as the primary data collection method. In addition, if consent was given, survey participants were contacted by e-mail to discuss responses in further detail. Data was analyzed using general qualitative analysis and discu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findings show that despite pandemic related disruption and some feelings of frustration related to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students were able to adapt quickly to using CANVAS as their main learning interface and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it. In addition, they relied on a specific number of CANVAS functions which helped with the learning process and improvement of English ability. Administration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s well as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Productivism, Culture and the Challenges of Sustainable Beef Production in Australia

        Carol Richards(캐롤 리차드스),Geoffrey Lawrence(제프리 로렌),Chul-Kyoo Kim(김철규)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1

        한국은 상당량의 호주산 쇠고기를 수입하고 있으며, 국내 소비자들은 대체로 호주산 쇠고기를 신뢰한다. 한국 소비자들은 호주에서 쇠고기가 어떻게 생산되는지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호주 쇠고기는 깨끗하고, 친환경적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호주 축산공사의 적극적인 홍보 때문이다. 한국인들은 호주에서는 소들이 영양 많고, 오염되지 않은 초원에서 친환경적으로 사육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런 생각이 호주산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에 기여한다. 이 논문은 국내 소비자들의 당연한 기대와는 달리 호주 쇠고기 산업이 생산주의에 크게 기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생산주의는 종종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희생하면서까지 이윤을 극대화하고, 시장 경쟁력을 높이도록 한다. 호주 쇠고기 산업 전체를 놓고 보면, 사육농가, 비육장, 축산공사, 소비자 환경단체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지속가능성에 대한 상이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퀸즈랜드 중부 지역의 사육농민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호주 쇠고기 산업의 자연자원에대한 관리는 문화적 규범과 전지구적 정치경제의 상호작용에 의해 추동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많은 사람들이 축산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대해 비판적임에도 불구하고 생산농가들은 지속가능성을 경제적 지속성과 동일시한다. 생산주의 문화가 생산자들에게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호주 쇠고기 생산이 자연환경에 위해를 가한다는 데 동의하는 쇠고기 생산농민은 거의 없었다. 비록 환경주의자들과 일부 소비자들의 ‘외부’로부터의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생산농가 ‘내부’로부터의 자기 방어, 즉 자신들의 쇠고기 생산방식은 지속가능하다는 믿음은 대단히 견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South Korea imports a significant amount of Australian beef and Korean consumers, in general, have trust in the quality of Australian beef, especially vis-a-vis US beef. While Korean consumers do not know exactly how Australian beef is produced, they consider Australian beef is ‘clean and green,’ in part due to aggressive promotional activities by Meat & Livestock Australia. Koreans tend to think that Australian cattle are raised on nutritious and unpolluted grasslands unde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conditions, which reinforces their trust in the safety of Australian beef. This paper shows that, contrary to Korean consumers’ taken-for-granted expectation, the Australian beef industry is heavily influenced by productivism which emphasizes maximization of profit and market competitiveness, often at the expense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full picture of Australian beef industry is complicated as diverse actors such as graziers, organisations like Meat & Livestock Australia, along with green groups, have different views and interpretations of the meaning of sustainability. Following in-depth interviews with graziers (beef producers) in Central Queensland, we argue that natural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Australian beef industry are driven by a complex interaction of cultural norms and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Although many contest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the cattle industry, the productivist ethos is deeply embedded ? to the extent that producers often equate sustainability with economic viability. Indeed, there were very few in the study who accepted that Australian beef production practices compromised the natural environment. While there is a challenge ‘from without’ by environmentalists and even Asian consumers to a lesser degree, defense ‘from within’ by graziers, who maintain that their current beef production methods are sustainable, is quite robust.

      • KCI등재

        '할아버지 나무': 유산목 벌목에 얽힌 유트 인디언의 참상

        리처드 토플,아덴 나란조,크리 시틀러,켈리 실브카 국립민속박물관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3 No.-

        본 논문은 자연유산 자원에 관한 소통과 이해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인식론적 장벽을 다룬다. 흔히 나타나는 이러한 문제를 2017년 미국 콜로라도 주 델타(Delta)에서 유트(Ute) 인디언의 살아있는 ‘할아버지 나무(Grandfather Tree)’를 벌목한 사건을 통해 명확히 설명한다. 3개의 유트 인디언 부족과 콜로라도 주 주민들의 문화에 중심적인 존재로 인식되었던 수령 260년의 살아있는 할아버지 나무를 델타 카운티 역사협회(Delta County Historical Society)가 베어버렸다. 이 조치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은 짧고 일방적이었으며, 양측의 대조적인 신념으로 인해 혼란이 있었다. 즉, 백인 미국인들에게 그 나무는 아무런 권리가 없는 목재일 뿐이었으나, 유트 인디언에게는 완전한 존재의 권리를 가진 살아있는 할아버지였던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