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성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폰 동적 적응 방향키 UI 특성 연구

        이지수 (Lee Jisoo ),류한영 (Ryoo Hanyoung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Based on the trend of mobile phones recently produced it is clear that the dynamic adapted interface is rapidly replacing the existing physical interface. However the usability of the dynamic adapted interface has not been clearly verified either academically or practically. The authors of this paper doubted the usability of the dynamic adapted interface because it was commonly believed that this interface might promote user's emotional satisfaction. However it was not able to find research that carefully considered its functional usability such as completion of task performance. Therefore the authors conducted an experiment to examine the usability value of the dynamic adapted interface using two different types of mobile phone's directional key especially focusing on learnability.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both instant functional usability and user's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dynamic adapted directional key was worse than those of the static directional key when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just used them without any prior experi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dynamic adapted directional key was highly increased when they repeatedly used the interface 10 times. In addition it was able to see that the learnablity of the dynamic adapted directional key was better than that of the static directional key in spite of some exceptional cases. Although the results did not show the same results with all the tasks examined in the experience it is believed that the potential value of the dynamic adapted interface was verified from the experiment and this research might become the foundations of further research. 최근 출시되는 모바일 폰의 양상을 보면 기존의 인터페이스가 동적 적응 인터페이스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그 사용성에 대한 검증은 미비한 실정이고 학습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자들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동적 적응 인터페이스가 과연 사용자들의 감성만을 만족시키는 것인지 아니면 수행 속도 등의 기능적 사용성도 만족시키는 것 인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동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동적 적응 방향키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에 대한 가치를 학습성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적응 방향키 인터페이스를 처음 접한 사용자들의 초기 기능적 사용성이 고정 방향키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학습성의 관점으로 볼 때도 모든 면에서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장기적 사용 후에는 동적 적응 방향 키 인터페이스의 만족도가 고정방향키 인터페이스보다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비록 특정 태스크에서 한정되기는 하지만 동적 적응 방향키 인터페이스가 고정방향키 인터페이스보다 장기간 사용 후의 학습성이 높게 나타났다. 비록 본 연구의 모든 태스크의 경우를 포괄하지는 못하지만 유동적 인터페이스의 가치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심도 있는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경험 차원 연구

        김영미 (Kim Youngmi),류한영(Ryoo Ha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선행 연구로써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일반적인 사용자 경험의 차원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데 있어 발생되는 사용자 경험 요소를 선행 연구로부터 도출하고 설문과 요인분석을 통해 8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자들이 제시한 사용자 경험 모델에 나타난 사용자 경험 요소를 조사하고 156여개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2차의 과정을 통해 62개로 정리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유형화 된 사용자 경험의 차원은 '오락성' '예측성' '심미성' '학습성' '일관성' '좌절성' '즉각성' '조작성' 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 된 사용자 경험의 차원은 향후 특정 디지털 미디어에서 사용자 경험의 정도를 평가하거나 상호작용 요소 그래픽 요소와 같이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 있어서의 다른 차원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was a preliminary study for user experience design and conducted to find the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s from digital media interfaces. For this purpose the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s were collec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8 types of attributes were categorized from the results of a survey and factor analysis on survey data. The number of collected attributes from previous studies was 156 and became 62 after eliminating the repeated and/or similar attribute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types of user experiences attributes were'pleasure','anticipation','aesthetic','learnability','consistency','frustration','immediacy' and'manipu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ful in evaluating the degree of user's experience from a digital media and/or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se types and other specific elements of a digital media.

      • KCI등재

        모바일 인터넷의 풀 브라우징을 위한 Fish-eye View 활용방안 연구

        김형미(Kim Hyoungmi),류한영(Ryoo Ha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휴대폰의 이용 환경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것의 하나가 모바일 인터넷에서의 풀 브라우징의 확산이다. 풀 브라우징은 모바일폰을 통해서도 유선인터넷을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는 개념으로 콘텐츠의 양과 질적 측면의 개선 비즈니스 기회의 개방 신규수익모델 창출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풀 브라우징 환경에서 모바일 인터넷이 갖게 되는 문제점을 브라우징 방법의 측면에서 해결해보고자 하였다. 즉 최근 출시되고 있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모바일폰에 인터넷의 브라우징 방법으로서 Fish-eye view의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 환경에 적용 가능한 브라우징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프로토타입 디자인은 Fish-eye view의 적용방안과 함께 브라우징의 방법 사용자의 인터랙션 방법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었으며 향후 실제 구현을 통해서 현재의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브라우징 측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nvironment of mobile phone use rapidly changes as time passes. One of most important issues in this change is the spread of full-browsing of mobile Internet. Many full-browsing methods have realized free access to any kind of web site through mobile phones. They provide many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content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pening business opportunities and making new business models etc. However current full-browsing methods still have some problems that should be solved for accomplishing complete full-browsing mobile Intern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 alternative prototype for Internet full-browsing. The Fish-eye view method was studied as an alternative and applied into a full LCD touch screen mobile phone in order to solve current browsing problems. The prototype design was conducted focusing on both browsing and interaction method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totype would provide people with the complete full-browsing mobile Internet environment.

      • KCI등재

        서비스 경험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스마트 플러그 서비스 제안

        김영미(Kim, Youngmi),류한영(Ryoo, Hanyo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3

        연구배경: 가정에서 TV, 에어컨,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통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제품 자체를 이러한 서비스가 가능한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대안적인 방법으로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하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가전제품을 바꾸지 않고 스마트 플러그에 콘센트를 꼽는 것만으로도 기본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스마트 플러그는 아직 사물인터넷 시장 진입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내용이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스마트 플러그 서비스 제안을 위해 크게 두 가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스마트 플러그의 특징을 살펴보고, 국내·외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스마트 플러그의 현황을 파악한 후, 스마트 플러그 서비스 프로세스를 서비스 블루프린트로 정리하였다. 두 번째로는 사용자 경험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하는 사용자 경험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이 두 가지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플러그 서비스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완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가 스마트 플러그를 중심으로 주변의 다양한 사물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디자인의 기초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To access the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 through home appliances such as TV, air conditioner or refrigerator, they should be replaced by the ones that the IoT service is applicable. However, if a smart plug is used, it will be much easier; by simply plugging it in the outlet, the basic IoT services can be accessed without changing the appliances.Nevertheless, as the smart plug is only at its early stage in the IoT service market, more researches on the service contents or user experiences should be conducted. Methods: Two kind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propose the smart plug service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plug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status of the smart plug wa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After this, the current smart plug service process was prepared in the form of the service blueprint. The second study was to confirm the contents of the user experiences in using the smart plug by utilizing the user experience modeling techniques.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two studies, the smart plug service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erived and, with them, a new service blueprint was completed.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e of the IoT service design in which the smart plug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ervice.

      • KCI등재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컨버전스 제품의 사용자 가치 탐색 ‑ 컨버전스 가전을 중심으로

        양서희(Yang, Seohee),류한영(Ryoo, Hanyo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1

        연구배경 최근 가전 업계에서는 산업, 기술, 제품 간 영역의 경계를 허물어 하나의 가전으로 수렴한 컨버전스 제품을 다수 출시해 오고 있다. 초기에 등장한 컨버전스 제품의 원동력은 과학 기술의 발전이었다. 그러나 컨버전스 제품은 점차 기술의 발달뿐만이 아니라 인간, 그리고 환경과도 상호작용하며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 가전 업계는 이같이 확장된 컨버전스 제품의 패러다임을 잘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점차 확장되어 가는 컨버전스 제품을 디자인할 때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용자 가치가 무엇인지를 컨버전스 가전을 중심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컨버전스 제품과 사용자 가치 유형에 관련한 문헌을 고찰하여 컨버전스 제품의 확장에 따른 사용자 가치 탐색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문헌 고찰과 사용자 조사를 바탕으로 사용자 가치를 도출하기 위한 설문에 활용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상에서 개발된 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컨버전스 가전에 대한 사용자 가치를 도출하고, 각각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사 결과, 도출된 컨버전스 가전에 대한 사용자 가치는 효용성, 혁신성, 조화성, 소통성, 당위성, 고유성, 관리성으로 총 7가지였다. 이는 컨버전스 가전이 (1) 다른 일반적인 제품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효용 가치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2) 새로운 기술, 기능, 가치 등을 토대로 기존 가전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혁신을 사용자에게 어필할 수 있어야 하고, (3) 배치될 외부 환경 및 제품 내부적으로 조화로워야 하며, (4) 시스템 이해와 더불어 좀 더 확장된 소통의 가치를 포함해야 하고, (5) 무차별적인 결합이 아닌 합리적인 결합을 전제로 해야 하며, (6) 기존의 가전 경험을 포함하는 친숙함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7) 관리에 용이하고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확장된 정리정돈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는 컨버전스 제품이 점차 새롭게 확장되어 가는 시점에서, 컨버전스 제품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용자 가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고찰과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여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이상에서 개발된 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컨버전스 가전에 대한 7가지의 사용자 가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컨버전스 가전에 대한 사용자 가치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이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Recently, the appliance industry has been releasing a number of convergence products. The driving force behind early convergence products was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Convergence products, however, are increasingly being developed not only by technology but also by interacting with humans and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appliance industry shows the paradigm of convergence products that have been expanded recen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er value to consider in order to provide a successful user experience when designing ever-expanding convergence product, focused on convergence appliance. Methods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literature on convergence products and user value to identify the need for user value exploration as convergence products expand. Next, it developed a questionnair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survey to derive user valu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user research. After conducting the survey based on the above-developed questions, it conducted a factor analysis to derive user value for convergence appliance and examined their implications. Result As a result of survey, seven user values for convergence appliance were derived: utility, innovation, harmonious, communication, justification, uniqueness, and manageability. This means that convergence appliances should: (1) be able to provide utility value to users like any other common product, (2) appeal to users to innovations, (3) be internally harmonized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product in which they will be deployed, (4) include a more extended value of communication with system understanding, (5) be reasonable, not indiscriminate combination, (6) be able to convey familiarity that includes existing home appliance experiences, and (7) be easy to manage and hygienic, as well as supporting extended cleanup. Conclusion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user value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user experience design of the convergence product at a time when the convergence product is gradually expanding. To this end, it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and user research to develop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based on questions developed in the above. As a result, seven user values for convergence appliance were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plored the user value of convergence applianc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user experience design of convergence appliance.

      • 노인 부양 지원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요소

        유현지(Hyun Ji You),류한영(HanYoung Ryoo)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노인 인구의 증가와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노인 부양 문제가 대두되고 있지만 한국사회는 아직 노인 부양 지원 체계가 부족하다. 공적 체계 차원에서 부분적으로 지원하고 있기는 하지만, 효 사상을 중시하는 한국사회의 정서상 가족으로 대표되는 사적 연결망이 주로 노인을 부양하고 있어 가족들의 부양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적 연결망과 공적 연결망의 구성원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사회 연결망 기반 서비스가 있다면 좀 더 효율적으로 노인 부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해당 서비스에 들어갈 요소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노인 부양의 개념과 노인의 사회 관계망을 살펴보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부양 당사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노인 부양에 필요한 서비스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 KCI등재

        탐험적 정보탐색을 위한 스마트폰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제안

        조은희(Cho Eunhee),류한영(Ryoo Ha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선인터넷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면서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풍부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동시간이 늘어난 현대인들이 바쁜 스케줄 속에서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틈틈이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여전히 구매를 목적으로 한 목적지향적 탐색(goal-directed search) 활동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여가시간에 탐험적 탐색(exploratory search)활동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몰입의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탐험적 탐색활동을 돕기 위한 방안으로 심리스(seamless) 브라우징 방식을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탐험적 탐색활동을 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일정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함과 동시에 기존 쇼핑애플리케이션이 가진 획일적 브라우징 방식의 개선을 위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As smartphones become popular and the number of smartphone applications quickly increases people could enjoy more contents at any time and any places. Especially the use frequency of smartphones greatly increases because smartphone applications can be accessed for pleasure in the spare time such as commuting time and any break time. Regardless of such a change user interfaces of smartphone shopping applications are still goaldirected. They do not facilitate exploratory search which might be better for people who want to have pleasurable time by using a shopping application. In this paper a user interface design prototype for a smartphone shopping application is proposed. The prototype uses the seamless browsing concept in order to facilitate exploratory search.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proposed prototype might be one of great alternatives for the smartphone shopping applications.

      • 미래뉴스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경험조사 : 패션 뉴스를 중심으로

        조현희(Hyuhee Cho),이유영(Yuyeng Lee),류한영(Hanyoung Ryoo)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뉴스는 종이에서 웹으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확장은 새로운 기술로 발달하는 웹과 함께 뉴스를 더욱 새로운 형식을 갖추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발전할 뉴스의 미래에 대한 사용자 경험조사를 하고자 진행되었다. 뉴스는 일반인에게 아직 알려지지 않은 소식을 일컫는 것으로, 우리들 삶속에 공존한다. 따라서 뉴스는 사용자의 일상생활에 적극 활용될 때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현재 뉴스 컨텐츠 분야 16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중 일상과 관련된 8가지 항목을 선정한 후, 연구의 사례로서 일상생활 속에서의 패션뉴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패션뉴스를 접하게 되는 사용자 니즈가 인터페이스-플랫폼-컨텐츠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이 항목을 통하여, 미래 패션뉴스 서비스의 사용자 니즈를 알 수 있었다. With the growth of the internet, news was enlarged from paper to web. News would be going to have a new fomality through technical improvement of web.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needs about the news that would be newly shown with a future growth. News is reputed to be a piece of information which is not known to the general public and coexists in our life. Therefore, news has an its significant in substance when applied to daily-life of the users. This study analyzes based on 16 fields of news-contents. Fashion was a choice for this study after selection of 8 items. Women with an emotional propensity to consume were targeted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of new in the days to come. The user's experience about Fashion news in daily-life was carried out to deduce the elements of design of Fashion news in the days to come. As a result, the needs of user could be classified into classes of interface, flat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