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lackwater 퇴적물을 이용한 고범람 연구

        김송현 ( Song Hyun Kim ),다나카유키야 ( Tanaka Yukiya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4

        Slackwater 퇴적물은 범람이 발생되는 동안 유속이 감소되는 지역에 축적되는 미립의 범람 퇴적물이다. 이는 고범람 수문학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고단계(palaeostage) 지시자로서, 과거 범람의 크기와 빈도를 추정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수많은 연구에서 이용되었다. 또한 slackwater 퇴적물을 통한 고범람 기록은 범람-가능성 추정치를 개선시키고, 과거 환경 및 수문을 복원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범람 퇴적물을 이용한 국내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slackwater 퇴적물을 이용한 고범람 연구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slackwater 퇴적물의 특성 및 연구 방법론과 국내에서의 연구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Slackwater deposits are fine-grained flood sediments that deposited in areas of reduced velocity during flood period. These deposits have been used in numerous studies to estimate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discrete flood events as the most commonly utilized PSIs (palaeostage indicators) in palaeoflood hydrology. Palaeoflood data by analysis of the slackwater deposits contribute to improve the estimation of flood-probability and reconstruct the palaeo-environment and past fluvial process. However, very few studies of these flood deposits have been carried ou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studies about slackwater deposits analysi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s of slackwater deposits and the research-provability in Korea.

      • KCI등재

        한국 선상지의 이론적 고찰과 분포특성

        윤순옥(Soon-Ock Yoon),사이토 쿄지(Kyoji Saito),황상일(Sang-Ill Hwang),다나카 유키야(Yukiya Tanaka),오구치 다카시(Takashi Oguchi) 대한지리학회 2005 대한지리학회지 Vol.40 No.3

        산록에 있는 선형의 완사면이 페디멘트인지 선상지인지에 대한 주제는 한국 지형학사를 통하여 오랜 기간 논의되어 왔다. 결국 페디멘트 연구자들에 의해 그동안 선상지의 존재가 부정되면서 선상지 용어사용 및 선상지 연구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지형형성기구 및 프로세스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을 기초로,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이론 정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선상지가 부정되었던 쟁점들을 논의하고, 검토하여 한반도 선상지 연구에 보다 정확한 이론적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계적인 선상지와 비교하기 위하여 한반도 남부에서 13개의 선상지를 선정하고 지형면의 분포특성을 고찰하였다. The question of whether fan type surface developed at the foot of mountains is pediment or alluvial fan has been discussed consistently through the Korean geomorphic history. Unfortunately the term, ‘alluvial fan’ was scarcely used, also even the existence of alluvial fan has been denied throughly for a long time in Korea. The negation of alluvial fan brought some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related Geomorphology. In order to resolve such a problem, more logical and exquisite theory by examination of geomorphic process must be systematically presented on the basis of overall problem recogni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theoretical indicator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points at issue that the existence of alluvial fan in Korea was denied. Moreover, we selected 13 alluvial fans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o compare with the worldwide alluvial fans according to theoretical indicator, and analysed their geomorphic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반도 남부 선상지의 계량적 지형 특성과 일본, 타이완, 필리핀 선상지와의 비교 연구

        윤순옥(Soon-Ock Yoon),사이토 쿄지(Kyoji Saito),황상일(Sangill Hwang),오구치 다카시(Takashi Oguchi),다나카 유키야(Yukiya Tanaka)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4

        한반도 남부 13개 선상지를 일본, 대만, 필리핀의 690개 선상지와 비교, 분석하였다. 선상지 경사와 함양역 면적, 선상지 경사와 함양역 기복비, 선상지 면적과 함양역 면적, 그리고 함양역 면적과 함양역 기복비와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검토한 결과, 한반도 남부의 선상지는 아시아의 선상지 특성과 잘 부합되지만, 선상지 빈도와 밀도가 낮다. 또한 선상지 하천의 함양역 규모가 작고, 기복비가 커서 선상지 규모가 작고 경사가 급하다. 36개 주요 하천 곡구부에서 선상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산지고도와 함양역의 기복비 때문이다. 한국의 선상지에서는 Blair and McPherson이 주장한 지형면 경사의 공백을 확인할 수 없으며, 경주 선상지는 경사가 완만한 하성 선상지의 가능성이 높다.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13 alluvial fans in the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studied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ir distributions and causes are discussed by comparing them with 690 alluvial fans in Japan, Taiwan and the Philipp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rface gradient of alluvial fans and source basin area, the surface gradient and the relief ratio of the source basin, and the source basin area and the relief ratio were investigated. The alluvial fans in South Korea hav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Asian fans, although their frequency and density are relatively low, and the size and the relief ratio of their source basins are relatively small and steep, respectively. Moreover 36 major Korean river basins without alluvial fans tend to have lower altitude and relief ratios. Contrary to the argument by Blair and McPherson, the natural depositional gaps on the gradient of alluvial fans were not found. The Gyeongju alluvial fan is probably a fluvial fan with gentle gradient, whereas the other Korean fans seem to be debris-flow related on the base of their grad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