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splatin 감성 난소암 세포주 A2780과 내성 A2780cp에서 다약제 내성 및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

        고승희 ( Go Seung Hui ),나영정 ( Na Yeong Jeong ),김용봉 ( Kim Yong Bong ),김경태 ( Kim Gyeong Ta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0

        목적 : 본 연구는 사람의 cisplatin 감성 난소암 세포주인 A2780과 내성 A2780cp를 대상으로 multidrug resistance (MDR)에 연관되는 유전자들과 세포사멸에 연관되는 유전자들의 mRNA수준에서의 발현정도의 상대적 차이를 조사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 cisplatin 감성 난소암 세포주인 A2780과 내성 A2780cp에서 MDR과 관련된 인자들인 lung resistant-associated protein Objective : The resistance mechanisms of tumor cells to chemotherapeutic drugs are known as the followings; the alterations in the drug transport and activation, the enhanced expression of the DNA repair and replication and the decreased apoptosis. The ai

      • KCI등재

        난소암 조직에서 케모카인 수용체의 발현에 관한 연구

        조형준 ( Jo Hyeong Jun ),이선영 ( Lee Seon Yeong ),박창숙 ( Park Chang Sug ),안희정 ( An Hui Jeong ),오유경 ( O Yu Gyeong ),김세현 ( Kim Se Hyeon ),나영정 ( Na Yeong Jeong ),김인호 ( Kim In Ho ),이찬 ( Lee Chan ),김승조 ( Kim Seu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9

        목적 : 본 연구는 케모카인 수용체들이 상피성 난소암에서 발현되는 양상을 조사하고 케모카인 수용체와 난소암의 발생 및 임상적 진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22예의 상피성 난소암 조직에 대하여 44예의 정상 난소를 대조군으로 semiquantitative RT- PCR과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13개의 케모카인 수용체 CXCR1-CXCR5 및 CCR1-8 등의 발현을 조사하였으며, 임상적 진행상태, 즉 림프선 전이 여부에 따른 케모 Objective :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chemokine receptors in human ovarian cancer to understand the role of chemokines in ovarian cancer development and metastasis. Methods : Twenty-two cases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were studied for expressio

      • KCI등재

        난소암에서 IGF-2 와 H19 gene 의 promoter 이용과 발현정도의 변화

        김윤아 ( Kim Yun A ),이찬 ( Lee Chan ),김승조 ( Kim Seung Jo ),이선영 ( Lee Seon Yeong ),김인호 ( Kim In Ho ),나영정 ( Na Yeong Jeong ),정상근 ( Jeong Sang Ge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3

        목적 : 난소암의 발암기전과 Insulin-like growth factor-2 (IGF-2), 그리고 H19 gene의 imprinting 상태, promoter 이용과 발현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8예의 정상난소조직, 11예의 양성난소종양, 9예의 경계성 종양과 20예의 악성종양 조직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연구 방법 : 등록된 조직의 IGF-2와 H19을 PCR-RFLP 방법을 사용하여 이형접합성 분석을 하였으며, IGF-2의 promoter 특이발현을 살펴보고자 RT-PCR을 사용하였다. 결과 : 각 조직에서 IGF-2의 LOI (loss of imprinting)은 각각 정상 난소조직 (50%)> 양성종양 (60%) > 난소암조직 (71%) > 경계성 종양 (77%) 순으로 나타났다. H19 gene의 LOI는 정상과 양성종양의 난소조직에서는 관찰되지 않았고, 경계성 종양에서 100% (3/3), 악성종양에서 40% (2/5)로 나타났다. 각각의 난소조직에서 promoter P1, P2, P3와 P4의 이용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암조직에서는 상대적으로 promoter P1, P2 이용이 높았으나 promoter P3 이용은 낮았다. 난소암조직에서 IGF-2의 발현은 높게 나타났으나 H19의 발현은 정상조직에 비해 낮음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을 보면 IGF-2의 LOI, promoter 사용의 deregulation IGF-2와 H19 발현정도의 변화가 난소암의 발생과 진행에 연관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To establish the possible role of imprinting in ovarian cancer, we determined the imprinting status of both IGF-2 and H-19 genes in ovarian cancer, borderline tumors of ovary, benign ovarian tumor and normal ovarian tissues. Methods : An allelictyping assay was performed using a PCR-RFLP-base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heterozygous informative cases. The usage of Insulin-like growth factor-Ⅱ (IGF-2) promoters was examined by RT-PCR using promoter-specific primers. The mRNA expression of IGF-2 and H19 was quantified using a densitometer. Results : Loss of imprinting (LOI) of IGF-2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borderline tumor (77%)>cancer (71%)>benign tumor (60%)>normal ovarian tissues (50%) respectively. And the LOI of H19 gene was not detected in the normal and benign tissues but observed in the borderline tumor and cancer tissues, respectively. The usage of promoter P1, P2, P3 and P4 were observed different pattern in normal, benign tumor, borderline tumor and cancer tissues. The activity of mRNA expression of promoter P4 was higher than other promoters. The cancer tissues predominantly used promoter P1, P2 with relative silencing of the promoter P3. The ovarian cancer tissues showed the higher expression levels of the IGF-2 but a down-regulation of the H19 relative to normal tissu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I, deregulation of the IGF-2 promoters, and the altered expression levels of the IGF-2 and h19 gene might be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ovarian cancer.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에서 Wnt 1과 β-catenin의 발현에 관한 연구

        임경란 ( Kyoung Ran Yim ),이찬 ( Chan Lee ),김용민 ( Yong Min Kim ),김광일 ( Kwang Il Kim ),김승조 ( Seung Jo Kim ),황윤영 ( Youn Yeung Hwang ),이선영 ( Seon Yeong Lee ),나영정 ( Young Jeong Na ),정상근 ( Sang Geun Jeong ),오예은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9

        목적: 난소종양과 정상난소상피조직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하여 난소종양의 상피세포에서 Wnt 1과 β-catenin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에서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얻어진 난소종양과 정상난소상피조직의 포르말린 고정조직과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들은 SPSS 10.1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전체 난소상피조직 114예를 면역조직화학염색하였으며, 이 중 악성 종양은 54예였으며, 경계성 종양은 40예 그리고 양성 종양 12예, 정상난소상피조직이 8예였다. Wnt 1은 악성 종양의 51.9%, 경계성 종양의 32.5%, 양성 종양의 18.2%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양성 소견을 보였고, 모든 정상난소상피에서는 음성 소견을 보였다 (P<0.05). 상피성 난소암 중 투명세포 암 상피조직에서만 양성 소견을 보였다. β-catenin은 자궁내막모양 암의 28.6%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다 (P<0.05). 결론: 난소상피조직을 이용한 본 연구 결과, Wnt 1의 과발현이 직접적으로 핵 세포질 내 β-catenin의 과발현을 유발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자궁내막모양암이나 투명세포암 등의 상피성 난소암의 발암 과정에 Wnt 1과 β-catenin이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보다 큰 규모의 연구를 통해 Wnt 신호의 다른 요소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상피성 난소암의 발암 과정에서의 역할이 규명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초로 하여 난소암의 조기 진단, 치료 및 새로운 생물표지자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We were trying to identify the expression of Wnt 1 and β-catenin in normal ovarian epithelium and epithelial ovarian tumor. Methods: We used archival formalin-fixed and paraffin-embedded tissues from Comprehensive Gynecologic Cancer Center and the Department of Pathology at Bundang CHA Hospital from 2000 to 2005.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Wnt 1 and β-catenin was performed on the ovarian epithelial tissu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10.1 for Windows and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Of 114 cases, the cases were composed of 54 carcinomas, 40 borderline tumors, 12 benign tumors and 8 normal control ovarian tissues. Abnormal nucleocytoplasmic expression of β-catenin was found in 4 endometrioid carcinomas. The nuclear expression of β-catenin was found especially in the components of the endometrioid carcinoma (28.6%, P<0.05). Wnt 1 was overexpressed in all 9 clear cell carcinomas, but not frequent in the other types of malignant tumors (P<0.05).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β-catenin nuclear localization and endometrioid carcinomas. And we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nt 1 expression and clear cell carcinomas. Conclusion: It does not seem that Wnt 1 over expression directly provoke the nuclear localization of β-catenin. But, deregulation of β-catenin and Wnt 1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ovarian epithelial carcinogenesis of endometriod carcinoma and clear cell carcinoma. Evaluating this avenue of regulation of β-catenin and Wnt protein in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may provide a new direction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n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making a certain bioma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