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교회에 영향을 미친 워치만 니와 존 웨슬리의 신학 : 인간론과 구원론을 중심으로

        김효성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63

        사도바울은 중생 이후에도 죄의 문제로 인해 매일 같이 고민하고 싸웠다.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그런즉 내 자신이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섬기노라”(롬7:24,25) 이것은 비단 사도바울의 고민 뿐만은 아니였다. 웨슬리도 이와 같은 고민을 갖고 있었다. 그것을 웨슬리는 “남아있는 죄(Original sin)”라고 표현한다. 이것이 성경적인 구원관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웨슬리가 성화구원의 길을 걷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스도의 완전을 얻도록 힘쓰라”고 강조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워치만 니는 그것을 간과하고 있다. 워치만 니는 이러한 점을 무시한 채 “중생으로 얻어진 영원한 생명과 지위는 없어지거나 취소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구원파나 지방교회와 같은 이단들이 갖고 있는 위험성이다. 중생 이후 구원의 확신을 갖은 자들이 다시 한 번 죄로 인해 심각한 죄책감 속에서 고민할 때 워치만 니의 입장에 따른다면 그는 더 이상 죄책감에 시달릴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웨슬리의 입장을 취한다면 그는 금식하면서 하나님의 긍휼함을 얻기 위해 기도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별반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 같으나 워치만 니의 신학은 인간을 더욱 타락하게 만들며 중생으로 인해 새롭게 태어난 영이 혼과 몸을 주장하기 때문에 모든 죄악된 행동들을 정당화 할 수 있는 빌미를 준다. 하지만 웨슬리의 입장대로 우리가 살아간다면 우리는 매일같이 하나님의 긍휼함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매일같이 하나님께 감사하며 그분과 온전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세상이 점점 더 악해질수록 사람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인간의 입장에서 지키기 쉬운 쪽으로 해석하고 그 말씀의 본질을 변질시켜버린다. 하지만 주의 말씀은 영원한 것이며 그 본질은 영원히 변할 수 없는 것이다.(사40:8) 자기 멋대로 살고 싶어하며 죄책감에 시달리기 싫어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오히려 워치만 니의 입장을 취하는 쪽이 쉬울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자신을 쇠사슬에 매인 사신으로서의 삶을 살면서 그것으로 인해 오히려 담대히 주의 복음을 전했던 사도바울의 삶과는 전혀 상관없어 보인다.(엡6:20) “누구든지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지 않는 자도 능히 내 제자가 되지 못하리라”(눅14:27)고 말씀하신 예수그리스도의 말씀을 생각한다라면 그분의 말씀을 인정하는 단계에서 끝나버린 워치만 니의 입장 보단 예수그리스도께서 가신 십자가의 길을 우리도 지고 고난 뿐인 삶을 기쁨으로 감당하고자 그 행보를 쫓아가는 웨슬리의 입장을 우리는 수용해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에서 왜 웨슬리의 신학이 그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오히려 워치만 니의 신학과 같은 비성경적인 가르침이 현대인의 마음을 흔들고 있는 것일까? 본 연구자는 이것을 현대인의 나태함과 게으름이라 지적하고 싶다. 그리스도의 고난의 십자가를 지지않고 오히려 그 십자가를 자신의 악세사리로 만들어 자신을 빛나보이게 만들어 버리는데 사용해 버리는 현대인의 악함과 금식하지 않고 손해보지 않으려하고 조금 더 편안하게 신앙생활을 하면서 이름만 남겨진 크리스찬으로 살아보려고 하는 나태함, 사회속에서 바쁘게 생활하면서 하나님과의 교제를 뒷전으로 밀어버리며 하나님 우선순위의 삶과 자신을 우상시 해버리는 자아중심적인 삶의 갈래길 가운데 자신의 편위와 안위함을 선택해 버린 게으름이 그 이유일 것이라 생각한다.

      • 영산 조용기 목사의 신학적 해석방법에 대한 고찰 : 통전적 해석을 중심으로

        김효성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필자는 영산 조용기 목사의 신학적 해석학이 통전적 특성을 띠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영산의 해석학적 계보는 전통적 기독교의 선상에 놓여 있었다. 첫째로, 영산은 그의 신학적 해석학을 위한 방법적 틀로 전통적 기독교의 이원론적 구원관을 보다 통전적(holistic)으로 아우르는 방법을 사용한다. 영산은 과거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 지금 여기에서 나에게 주시는 의미가 무엇인가에 집중한다. 따라서 영산은 기존의 종말론적 관점의 신학적 입장을 비판하고 현재적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함으로써 오순절적 전통 위에 굳게 자리 매김 하고 있다. 둘째로, 영산의 해석학적 방법을 위하여 전통적 기독교가 견지하고 있었던 이원론을 극복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영산의 이원론 반대는 모순 대립적인 개념들을 인간 실존의 상황에 대한 질문과 그 대답을 모색함으로써 상관관계의 방법으로 풀어가려 하였다. 또한 영산은 그의 방법론적 틀로서 상관관계법을 사용하였다. 영산의 상관관계법은 철저히 인간 삶의 비극적인 상황을 분석하고 거기서 전능하신 하나님을 “지금 여기서”(here and now)만나야 한다는 현재적 하나님 나라에의 희구이다. 따라서 영산의 상관관계법은 절대절망을 인간 실존의 주소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절대희망의 삶으로 이끄시는 하나님의 구원이다. 셋째로 영산은 그의 해석학을 위한 중심 이슈들을 잡았는데, 그것은 그의 통전적 해석을 위하여 모순 대립되는 인간 실존의 상황적 개념들을 대비 시키며 그것을 그의 해석에서 통합시키고 있다. 영산의 해석방법이 통전적이라면 그의 해석학적 이슈들이 이러한 상반된 개념 속에서 질문하고 답을 찾아내어 조화롭게 아우르는 방법이다. 영산의 메시지 선포는 ‘삶의 자리’에 대한 상황 속에서 말씀의 본문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것이 인류에게 주는 희망과 꿈이 무엇인가를 발굴해내는 작업을 선행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하여 영산이 사용하는 해석학적 이슈들이 있다. 그것은 인간 실존의 문제들을 개념화시킨 단어들로써 영산 신학의 중요한 해석적 키워드로 작용한다. 영산의 해석학적 중심 이슈들로 “절대절망과 절대희망”, “질병과 치유”, “가난과 축복”, “생각과 믿음”, “꿈과 언어” 등을 사용한다. 영산은 목회를 시작하면서 시대적으로 암울한 상황 속에서 복음과 삶이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깨달음을 얻었고, 인간 실존의 절대절망의 상태에서 온전한 구원을 주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절대희망으로 안내하는 것을 선포하였다. 절대희망의 내용은 온전한 구원(전인구원)인 오중복음이다. 영산은 그의 통전적 해석학을 가장 잘 드러내 주는 질병과 치유의 개념을 삼중구원의 차원으로 확대시킴으로써 질병과 저주에서 해방되어 본래 인간이 창조되었던 하나님의 형상으로의 “회복”으로서의 치유를 강조한다. 영산의 신유 개념은 성경에 근거한 “좋으신 하나님” 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헬라 철학의 이원론적 인간이해를 비판하고 성경이 말하는 전인(全人)구원은 삼중타락에 의해 손상된 인간의 하나님 형상을 회복하는 길인 삼중축복 밖에 없음을 주장한다. 이것은 가난과 축복의 대립적 개념을 통하여 영산의 축복론이 완성도 높은 전인 구원을 의미함을 나타낸다. 영산이 가난을 저주로 생각하고 축복을 하나님의 회복으로 여기는 것은 속(俗)을 성(聖)으로 변혁시키는 해석적 작업이다. 영산은 이러한 축복을 유지시키고 승리하며 사는 삶의 비밀을 4차원의 이해라는 독특한 방법에서 찾았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 나라의 임재를 현재의 삶 속에 재현시키는 해석적 관점이다. 그는 하나님의 주권 하에 기적을 일으키는 영적 세계에 대하여 “4차원의 영적세계”라고 명명한다. 이 4차원의 세계에는 4가지의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 바로 “생각”, “믿음”, “꿈”, “말(언어)”이다. 넷째로, 영산의 통전적 해석방법은 그의 성령 인식에서 부각된다. 영산에게 성령은 하나님을 알게 하고, 예수를 그리스도 주라고 고백하게 하며, 성경의 모든 내용을 깨닫고 믿게 하는 주체이다. 즉 영산에게 성령의 깨닫게 하심은 하나님을 알게 하는 해석의 주체이다. 따라서 영산의 성령론적 해석을 ‘영’이요 생명이신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그것을 깨닫게 하시는 성령의 역할이 있고, 이러한 말씀은 ‘로고스’와 ‘레마’라는 영산만의 독특한 말씀이해가 있으며 이것은 체험적 문자주의로 특징지어진다. 영산은 문자주의적 해석만을 고집하지 아니하고 상징적 해석 사용에도 뛰어나다. 그는 특히 성령에 대한 상징적 해석으로 성령의 속성을 상징으로 이해한다. 이것은 보이지 아니하는 영이신 하나님에 대한 이해에 사용되는 영적 해석의 도구이다. 영산의 성령에 대한 상징 해석은 상징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보다 용이한 이해를 이끌며 성령의 본질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영산의 삼위일체적 해석의 요점은 좋으신 하나님을 계시의 주체로서 믿음의 대상임을 말하고, 구세주 예수님을 성경의 목적이자 내용으로 이해하여 소망의 대상으로, 또한 인격이신 성령님을 성경의 저자이며 해석의 주체로서 이해하여 우리를 사랑 안에 거하게 하시는 분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영산의 좋으신 하나님 이해는 기존의 엄위하신 하나님 이해에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온 획기적인 사상이다. 이 좋으신 하나님 사상에서 전인구원의 삼중축복 신학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좋으신 하나님은 우리의 자비로운 아버지로서 그의 자녀 된 백성들에게 복을 주시는 하나님이시다. 영산의 구세주 예수님에 관한 인식은 그의 신학이 십자가 중심의 복음에서 이탈하지 않았음을 입증하는 것이면서, 또한 그의 예수 그리스도의사역에 대한 현재적 하나님 나라의 이해는 실제적 구원의 체험을 부러 일으키는 해석학적 열쇠가 되었다. 영산의 해석학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또 하나의 특징은 그의 성령 이해에 있다. 그는 성령을 인격으로 이해하여 성령과의 교제를 강조한다. 영산의 성령 이해는 기존의 성령의 은사와 열매에만 집중한 것에 가장 중요하고도 핵심적인 사항을 보충해주는 새로운 해석학적 전환이다. 영산의 성령이해는 “4차원의 영적 세계”라는 문을 열어 놓았으며, 삼위 하나님의 한 분으로서의 성령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중대한 발견이다. 따라서 영산의 삼위일체적 해석은 그의 통전적 해석을 뒷받침하는 근간이 된다. 영산의 교리적 신학의 내용은 오중복음과 삼중축복이다. 영산의 오중복음의 순서(중생?성령충만?신유?축복?재림)는 단순히 교리적 치환이 아니라 그의 해석학적 관점의 차이점 때문이며 영산의 신학적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수순이다. 영산에게는 성결한 삶을 살기 위해서 성령충만이 우선되어야 하고 그 이후에 열거되는 ‘신유’나 ‘축복’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이 모든 일을 주관하시는 성령의 충만한 임재가 뒤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영산은 순복음 신앙의 이론으로서 ‘오중복음’은 적용이며 ‘삼중축복’은 그것의 실천적 영역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삼중축복이란 오중복음이 실제의 삶 가운데서 적용되는 핵심적이며 요약적인 원리로서 삼중타락(영의 죽음, 환경의 저주, 육체의 죽음)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삼중 대속의 결과이다.

      • 어린이 복합 놀이문화 공간에 적용된 감성디자인 표현 요소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효성 조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Emotional Design Expressed Elements Applied to the Children’s Complex Cultural Play Space - Focusing o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Stories - Hyo-Seong Kim Advisor: Prof. Jeong-Min Moon Department of Space Public, Chosu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In the age of human oriented society with the diverse and complicated demands of people, identification of emotional states reflecting preferences has earned its strength as a major factor in interior space of the 21st century. The period of developing a personal character in childhood performs its functional capacities of communication skills in itself. Also, human emotions have a correlation among the images of all the memories about what people have experienced throughout their lives. In the dissertation, the focus is set on analyzing the definition and effect but also examining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multi-functional play spaces for children. The scope of the study is specified: educational and fun play spaces, cafes and restaurants, performance stages and experience spaces of multi-functional play spaces for children. A total of 10 objects of the study include the play spaces established by Gwangju authorities and other places reported in domestic newspapers, books, and some web sites. For methodology, literature investigation for theoretical analysis is conducted which provides a fundamental base to the preliminary spot inspection and list creation of current status as well as to the full-fledged research that scrutinized children's play spaces according to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The results of putting the research findings together are as below. First, emotional design of children's play spaces is most remarkably perceived in the common experiences of conditioned responses and non-daily experiences. Second, the investigation proves that emotional design is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children have emotional attraction to captured and continuous visual displays along with the representations that associated scales and humors suggest by various compositions of tales and stories. Third, the visitors in the field of real situations are more likely to feel relaxed and friendly by colors and furniture, ornaments, animated characters than a remindful associated scale provoked from the shape or various skin materials and extraordinary experiences. Therefore, play spaces for children should be applied with considerable understanding of childhood emotion and directed in a approachable and intimate mood. Fourth,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performance and experience spaces demonstrate the most effectiveness of emotional design followed by educational and fun play spaces, cafes and restaurants in order. However, it turns out that visitors seem to want emotional design in educational and fun play spaces by the same percentage of performance and experience spaces. So, more diverse and aggressive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is required. This study cove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multi-functional play spaces for children. The necessity of emotional design in children's play spaces is to help children have a lot of fun with affinities and comfort. When the child gets exception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emotional design in consideration of following spatial and visual factors should be planned because childhood is most sensitive to the environment: gadgets, adhesive animated character sheets, graphic design on a wall or a pillar reflecting the potential influences on children.

      • 접속사 when절의 번역유형과 어순에 관한연구

        김효성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scuss th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subordinate clauses and their Korean transl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adverb clauses, especially 'when'. According to the stream of information, an adverb clause can be placed flexibly in English, while the main clause must be preceded before the adverb clause in Korean. The subordinator 'when' is translated into five patterns: i) verbal suffixes; ii) nouns; iii) relativizer; iv) adverbs; v) deletion There are also three kinds of ways of translating English main-subordinate clauses into Korean: i) following the order of the English sentence (i.e. subordinate-main clause); ii) reversing the order of the English sentence (i.e. main-subordinate clause); iii) forming of the inserted sentence (i.e. put the subordinate clause into the main clause).

      • H. H. 언더우드의 교육선교 활동 연구 : 신사참배 문제와 교육선교 사업 철수 과정을 중심으로

        김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사참배 문제와 교육선교 사업 철수와 관련된 H. H. 언더우드의 활동과 입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가장 주목하는 시기는 H. H. 언더우드가 연희전문학교 교장 재직시기인 1934년부터 1941년이다. 당시 조선은 일제가 파시즘 체제를 구축하고 제국의 팽창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극대화된 ‘황국신민화’ 정책을 강요받고 있었다. 그 중심에는 ‘천황제 이데올로기’가 있었다. 천황제 이데올로기는 천황의 신성성으로 인해 그 종교성을 드러냈고, 일제가 1935년부터 신사참배 강제를 통해 이를 더욱 강화시키고자 했을 때 기독교계와 심각한 갈등을 몰고 왔다. 교교갈등의 상황이었다. 이 갈등은 선교사들이 교육선교 사업과 선교사업의 지속 여부를 심각하게 고민하게 만들었다.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H. H. 언더우드는 1934년 연희전문학교의 교장으로 취임했고, 본격적인 교육선교 활동에 나섰다. 그는 선교지의 상황과 기독교 정신이 바탕이 된 서구 근대문명이 상호 조화를 이루며 근대적 교육 체계를 이루는 것을 교육의 중심 과제로 설정했고, 그 과제를 실현하는 최종 단계로 연희전문학교의 종합대학 승격을 제시했다. 또한 그는 단순히 기독교 신앙인을 길러내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 정신을 가지고 봉사하고 헌신할 수 있는 지성인을 양성하고자 했다. 그러나 신사참배 문제로 인한 갈등은 이를 어렵게 했다. H. H. 언더우드는 신사참배 논란에서 대다수의 선교사들이 신사참배의 종교성 문제에 집중했던 것과는 달리 일제가 내세운 정치적 의도에 주목했다. 그리고 일제가 내세운 정치적 의도에 따라 정치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선택했다. 종교적 행위로서가 아니라 타종교에 대한 예의를 갖추는 차원의 행위로서 신사참배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그가 신사참배에 대해 정치적 참여를 선택한 것은 신사참배 반대가 가져올 또 다른 차원의 신앙적 양심의 문제, 즉 조선인들이 감내야해야 할 모순적인 상황 때문이었다. 선교사들의 신앙 양심을 지키는 선택이 조선인들로 하여금 반기독교적이고 물질주의적인 영향에 속수무책으로 노출되게 하는 상황, 집단적으로는 신앙 양심을 위해 신사참배에 반대하더라도 개인적으로는 신사참배를 강요하는 일제의 교육을 거부할 수 없는 조선인들의 현실적 모순의 상황이 그것이었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선교사회의 교육사업 철수 논의 과정에서 교육사업 철수 반대 입장으로 이어졌다. 1936년 미국 북장로교 조선 선교사회는 세속 교육 영역으로부터의 철수를 결정했다. 이에 H. H. 언더우드는 각 지역 선교지부의 자율권을 주장했고, 조선인들에게 학교를 인계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37년 조선 선교사회는 교육사업 철수 정책을 보다 구체화시켰다. 대구의 학교들과 서울의 경신학교 폐쇄 결정을 내린 것이었다. 조선 선교사회에서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H. H. 언더우드는 본국에 있는 해외선교부에서 직접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그리고 1937년 9월 본국에서 열린 해외분과위원회에 참가하게 되면서 자신의 의견을 적극 개진했다. 그러나 해외선교부의 지지부진한 입장 정리로 인해 선교사회와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1938년 조선 선교사회는 강경한 태도로 경신학교 뿐만 아니라 연희전문학교,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정신여학교 까지 교육사업에서 철수할 것을 결정했다. H. H. 언더우드는 이에 반대하며 교육기관의 유지를 위해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1939년 조선 선교사회는 선교사업에서의 철수 논의를 시작했고, 국제정세가 더욱 악화된 1940년에는 선교사업의 전면적 재검토를 결정했다. 이 후 얼마 지나지 않아 1940년 11월 대부분의 미국 선교사들이 본국으로 돌아가면서 신사참배 문제와 교육사업 철수 논의는 일단락된다. H. H. 언더우드는 이 과정에서도 끝까지 조선에 남아 교육선교활동을 계속해서 펼쳤다. 이렇듯 H. H. 언더우드는 어떤 위기의 상황 속에서도 교육활동을 계속하고자 했다. 그에게 있어서 ‘교육’은 곧 ‘선교’와 같은 의미였고, 교육을 포기하는 것은 자신의 신앙양심을 저버리는 것과 같은 것이었기 때문이다. ‘교회’를 최상위에 두고 ‘선교’를 추구했던 선교사회의 대다수 선교사들과 차별된 입장이었다. 분명한 것은 이러한 그의 ‘교육선교’ 입장도 신앙적 양심에 근거한 판단이라는 사실이다. 그는 자신의 ‘교육선교’ 의지를 연희전문학교를 통해 실질적으로 구현했다. 이를 위해 그는 연희전문학교를 보다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기관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 중심은 기독교적 정신에 있었다. 종합대학의 이상은 신과의 정식 설치를 그 토대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자신의 사회적 지위 여하에 관계없이 연희전문학교가 유지될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도 마다하지 않았다. H. H. 언더우드의 교육선교 활동을 전체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의 세 가지 특성을 찾아볼 수 있다. 첫째로 전문적인 교육선교사로서 체계적인 교육환경을 구축하고자 했던 통괄성이다. 교육의 독자적 의미와 다른 교파와의 선교적 연대가 이 가운데 자리 잡고 있다. 둘째로 서구 근대문명을 전파한 미국적 정체성이다. 여기서는 미국적 중산층의 삶과 인류 문명의 완성을 향한 미국의 섭리적 사명이 그의 종교적 사명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는 제한적 신사참배 협력과 궁극적 기독교 선교 추구 사이의 역설성이다. 이 특성은 미국의 복음적 기독교의 흐름 속에서 진보적 기독교의 입장, 곧 근대주의를 수용한 H. H. 언더우드의 면모를 통해 그의 폭넓은 신학적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H. H. 언더우드의 교육선교 활동의 의의는 ‘조선, 조선민족’과 자연스럽게 연결된 지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는 조선인들의 기대와 주목을 받았고, 조선인들과의 온정적 교감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그가 조선이라는 선교지의 상황과 끊임없이 대화하며, 조선의 위기 상황에 헌신적인 동참의 자세를 견지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 住民主導型 地域開發事業의 成果에 關한 硏究

        김효성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지역개발사업의 주 유형이 되고 있는 상향식 지역개발사업 중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성공요인 및 성과를 살펴보고 그들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민주도형 지역개발 방식은 지역의 유·무형의 자원을 최대한 발굴하고 그 지역주민들의 소통과 협의를 통해 사업 아이템을 선정하여 독특하고 차별화된 지역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그리고 사업의 각 단계마다 의사결정 권한이 지역주민에게 있고 사업 완료 후 운영 등에서도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지역개발사업들은 2000년대 이후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은 국도건설이나 교량건설처럼 지자체나 중앙부처 일변도의 계획과 의도를 가지고서는 성공할 수 없다. 지역주민이 주도하고 이에 행정·전문가 등이 소통과 협력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게 되고 농촌다움의 보존 등을 위해 지역의 유무형의 자원을 활용하는 등 디자인적 요소 또한 강하다. 이에 선행연구 등을 종합하여 성공요인들을 5가지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첫째 지역자원을 활용한 사업내용의 충실성이다.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은 그 지역만이 가진 유·무형의 자원을 활용하여 개발될 때 가장 독창적인 지역으로 변모할 수 있으며 사업대상지의 입지적 이점, 해당사업에 대한 주민수요, 시군의 지역발전 비전 또는 목표와의 연계 등이 사업내용에 반영 되어야 한다. 둘째, 주민참여는 주요한 성공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은 지역주민이 거주하는 지역내에서 이루어지고 시설물의 준공 후 운영을 대부분 지역주민협의체에서 운영·관리를 맡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지역의 주민협의체가 사업의 계획수립, 시행, 준공 후 시설물 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사업성공의 조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행정지원 충분성 및 지자체 관심이다.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이라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재정지원은 지방자치단체의 결정 권한이고 지자체장과 담당 공무원의 의지에 따라 사업의 성패가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은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사업이다. 지역주민 전체가 관여 할 수 없기에 추진위원회와 같은 주민협의체는 반드시 리더가 있게 마련이다. 이 리더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조율하고 사업추진 의지를 조장하며 마을의 의견을 대표해서 사업에 반영하게 된다. 리더의 의지나 역할에 따라서 사업의 속도나 효과성이 달라질 수 있다. 다섯째 지역 네트워크 및 사회적 자본이다.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은 사업의 핵심주체인 행정∙지역주민∙전문가 등이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네트워크화 하여 지속적인 소통과 협의를 통해 세부사업을 발굴해야 하고 지역주민은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간의 유대관계 속에서 사업방향을 모색하는 등 이러한 삼자의 균형적인 유대관계 속에서 사업이 추진돼야 하기 때문이다.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의 이러한 성공요인들과 함께 주민들 간의 소통과 협의를 통해 상호 신뢰를 형성함으로써 사업추진 과정이나 이후에 또 다른 결과를 가겨오게 되는데 이를 사업의 외부성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사업을 통해 의도한 목표와 목적을 이루는 것을 사업의 내부성과라고 한다면 사업추진 과정에서 주민들간에 형성된 유대감, 신뢰 등을 통해 지역주민의 의식 등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을 외부성과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등을 통해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의 내부성과로 기초생활수준 향상, 지역 어메니티 증진, 소득 및 방문객 증가, 삶의 질 향상을 들고자 한다. 그리고 사업의 외부성과로는 주민자치의식 제고, 지역공동체 활성화로 규정하였다.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성공요인 5개를 압축하였고 이러한 사업 시행으로 인한 성과요인을 내부성과와 외부성과로 구분하여 이들 간의 영향관계가 어떠한지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5개의 성공요인은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의 성과를 달성하는데 모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사업을 하고자 하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이러한 사업을 통해 사업의 내부성과 보다도 외부성과가 더 뚜렸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은 그 지역의 지방자치제와 풀뿌리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정부의 대응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문제를 자체 해결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초생활수준 향상과 지역 어메니티 증진이 바로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소는 소득 및 방문객 증가 요인에만 영향을 주고 소득 및 방문객 증가 요인만이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초생활수준 향상과 지역 어메니티 증진만으로는 부족하고 이를 소득 및 방문객 증가에 연계 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주민주도형 지역개발사업의 성공요인중 리더십 요인보다는 네트워크 및 사회적 자본 요인이 사업의 성과를 달성하는 데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of residents-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mong bottom-up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that have been the main types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since the 2000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residents-led regional development method is a process of discovering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of the region as much as possible and selecting a business item throug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people to create a unique and differentiated region. In addition, local residents have the authority to make decisions at each stage of the project, and local residents will take the lead in the operation after the project is completed. Local development projects in this way have been characteristic since the 2000s. Resident-driven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national highway construction and bridge construction, can not be successful with the plans and intentions of a local government or a central government. The design is also strong, led by local residents, where administrators and experts promote busines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utilize local and intangible resources for preservation of ruralness. To this end, success factors were summarized into five factors by integrating previous studies. First, it is the faithfulness of the project contents using local resources. Resident-driven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can be transformed into the most original regions when they are developed using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unique to the region. In addition, the project information should reflect the advantages of the location of the project site, the demand for residents for the project, and the vision or goal of the city's regional development. Seco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s one of the main success factors. Resident-driven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re carried out within the area where the local residents liv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acilities, most of the local residents' councils operate and manag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 local community council must be able to participate proactively in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of a project, and then in operation of facilities. Third is the sufficiency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interest of local governments. This is because even in the case of a resident-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financial support is realistically determin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ject may change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will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officials in charge. Fourth is leadership of the leader. Resident-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re led by local residents. Since the entire local community can not be involved, there must be a leader in a community council such as the Promotion Committee. This leader coordinates conflicts in the region, promotes willingness to promote the project, and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village in the project. Depending on the leader's will or role, the speed and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may vary. Fifth is region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In the case of a resident-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administrators, local residents, and experts, who are the core subjects of the project, must establish and network governance to discover detailed projects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And the local people seek business dir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based on trust. By establishing mutual trust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among residents along with these success factors of the resident-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s of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can be called extern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if achieving the intended goal and purpose through the project is the internal performance of the project, external performance can be defined as bringing about changes in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through the bonds and trust formed among the residents during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improvement of basic living standards, improvement of local amenity, income and visitor growth,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ternal performance of the residents-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In addition, the external performance of the project was defined as raising residents' self-consciousness and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By integrating previous studies, five success factors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residents-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re compressed. In addition, the success factor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se projects were divided into internal performance and external performance,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conducting a path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five success factor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ll important factors in achieving the results of the residents-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fficiently reflected these factors in areas where such projects are desired. Second, through these projects, it was found that the external performance was more outstanding than the internal performanc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resident-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local governments and grass-roots democracy in the region and solving local problems that the government's response could not reach. Third, the improvement of basic living standards and the improvement of local amen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but each factor affects only the factors that increase income and visitors, and only the factors that increase income and visitors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not enough to improve the basic living standard and promote local amenity, and a policy plan is needed to link it to the increase in income and visitors. Fourth, amo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resident-l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 and social capital factors contributed more to the achievement of the project than the leadership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