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낙관성과 행복의 관계: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김혜원 ( Hyeweon Kim ),안진아 ( Jina Ahn ),이지연 ( Jeeyon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낙관성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고생 35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낙관적일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높고, 더 행복했으며,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도 높았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행복감을 더 크게 느꼈다. 둘째, 청소년들의 낙관성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청소년들의 낙관성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의 낙관성이 행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unconditional self-ac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happiness of yout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greater optimism was associated with greater unconditional self-acception, greater happiness, and greater perceived social support. In addition, greater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greater happiness. Second, optimism had an effect on happiness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ird, optimism did not have effect on happiness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unconditional self-acception. In summary, optimism of youth had an effect on happiness, directly or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모 애착불안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모 정서조절곤란과 자녀성별의 매개된 조절효과

        김혜원(Hyeweon Kim),이정민(Jungmin Lee)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만 3∼5세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애착불안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자녀 성별에 따른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0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판 친밀관계경험척도, 정서조절곤란척도, 양육행동 척도, 결혼불만족 척도, 기질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2.16.3(Hayes, 201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착불안과 애정, 거부·통제, 과보호, 일관성, 독립성 지향 양육행동 간의 각각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였다. 둘째, 자녀의 성별에 따른 모 정서조절곤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의 일관적 양육행동에서 유의한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아들을 둔 어머니가 딸을 둔 어머니보다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클수록 일관적인 양육행동을 하는 것이 더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애착불안 차원이 높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 어머니의 정서조절을 돕는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고, 일부 양육행동의 경우에는 자녀 성차의 영향력이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a child s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xiety and parenting behaviors. Participants were 704 mothers with 3- to 5-year-old children who completed self-administered online or offline surveys, including KECR, K-DERS, a scale for parenting behaviors, MSI, and a scale for a child s trai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2.16.3(Hayes, 2013). The result of an integrated model with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revealed that: 1) Maternal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ediated a mother s attachment anxiety and her parenting behaviors; and 2) In the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anxiety on parenting behaviors, maternal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a child s gender had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Specifically, a mother who has a son tended to show less constant parenting behaviors because o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than a mother who has a daughter. Th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a mother who has higher attachment anxiety to positively enhance her parenting behaviors, implying that a child s gender could affect some parental behaviors.

      • KCI등재
      • KCI등재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 신체비교, 신체불만족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혜원 ( Kim Hyeweon ),이지연 ( Lee Jeeyo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2

        본 연구는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 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여고생 33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사회비교경향성이 높게 나타났고, 신체비교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을수록 신체비교도 높게 나타났고, 신 체비교가 높을수록 신체불만족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신체불만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여고생의 신 체비교로 이어져, 신체비교가 높을수록 신체불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고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신체불만족의 관계를 사회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가 이중매개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를 통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그 자체가 신체불만족을 예측하는 단일 변인으로 유의하지 않고, 사회비교경향성과 신체비교가 연결통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body comparis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and body dis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higher scores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higher levels of body comparison were found. Study has shown that higher scores 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Moreover,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body dissatisfaction.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did not necessarily lead to higher scores on body dissatisfaction. Rat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led to female high school students’ higher scores on body comparison, which in turn predicted higher levels on body dissatisfaction. Thir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had an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body comparis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by itself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ody dissatisfaction, but tha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body comparison were linkage between them.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의 관계

        김혜원(Kim Hyeweon),홍상희(Hong Sanghee),이지연(Lee Jeey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애착이론 및 분노표현방식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대학생의성인애착 불안/회피와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분노표출과 분노억제를 많이 사용하였고,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분노억제를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애착불안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를매개로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인애착 불안/회피는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자기초점주의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Based on the theoretical opinions and existing studies that specific paths through which an individuals attachment-related internal working model functions are exceptionally complex,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self-focus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70 university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when higher scores on adult attachment anxiety were led to more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And when higher scores on adult attachment avoidance were led to more anger suppression. Second, adult attachment anxiety led to university students’ higher scores on maladaptive self-focus attention, which in turn predicted higher levels on anger suppression. Third, adult attachment anxiety/avoidance had an effect 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self-focus attenti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가정폭력 가해자의 폭력 경험과 아동·청소년기 학대 피해 경험에 대한 인식 탐색

        이현미(Hyunmi Lee),김혜원(Hyeweon Kim),조혜영(Hyeyoung Jo)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가정폭력 가해자들이 자신이 행한 폭력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으며, 특히 성장과정에서 겪은 아동·청소년기 학대 피해 경험과 현재의폭력 가해 행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인식하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으로 신고되어 상담위탁 보호처분 명령을 받은 성인 남성 5인을 대상으로 이들이10회기의 개별상담면접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가정폭력 가해자들은 자신의 폭력 행위 원인으로 주로 내적 귀인보다는 외적 귀인을 하며, 배우자의 잘못된 행동이나 술의 영향을 들고 있었다. 그리고 성장기에 경험한 학대 피해를 탐색해 보았을 때 이들은 아동·청소년기에 부모로부터의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기에 경험한 학대 피해와 가정폭력 가해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과거 폭력 피해 경험과 현재 가해 행위의 관련성에 대하여 인정하지 않으려 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일부 참여자는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인식보다는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었을 것 같다는 추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본 연구는 성장기 학대 피해 경험 등 아동·청소년기에 경험했던 부정적사건에 대한 회고와 재해석 과정에서 가정폭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hat domestic violence offenders recognize backgrounds of their domestic violence and their abuse experience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t years, and how they recognize the relations between current domestic violences and childhood abuse experiences. For thi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10 period individual counseling program, in which 5 male domestic violence offenders were participating as a court-mandated counseling order.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domestic violent offenders pointed out partners’inadequate behaviors or alcohol as the reason of their violence, which is an external attribution rather than internal attribution. And in exploring their abuse experiences when they were growing up, there were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of relation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current domestic violence, they showed attitudes that do not relate past experiences and current violence, while some participants assume the relation to some degree. Based on such explor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stitute offenders’ new perspectives on family violence in the context of reprosecuting their negative events such as childhood abuse experiences.

      • KCI등재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 정서표현억제,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권민혜(Kwon, Minhye),이지연(Lee, Jeeyon),김혜원(Kim, Hyeweo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4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maladaptive conflict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6 university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eater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as associated with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greater maladaptive conflict coping. In addition,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maladaptive conflict coping were related to greater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did not necessarily lead to greater interpersonal problems Rather,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led to university students greater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which in turn predicted greater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had an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double mediation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maladaptive conflict coping.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ovid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과 현재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억제와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1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정서표현억제 경향을 많이 보였고, 정서표현억제를 많이 할수록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의 사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표현억제와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대인관계문제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아동기에 경험한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이 정서표현억제 경향을 높이고, 정서표현억제 경향을 보일수록 대인관계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정서표현억제와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이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인애착의 불안-회피 차원에 따른 초기 성인기의 심리적 안녕감

        남은아(Euna Nam),조혜영(Hyeyoung Jo),김혜원(Hyeweon Kim)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fensive ambival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the early adulthood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a survey administrated to 230 people in their 20s to 30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avoidanc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fensive ambivalence was not 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xiety attachment dimen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oidance attachment dimen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avoidanc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defensive ambivalence and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Above al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social support network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arly adulthood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집단을 중심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기 성인기에 속하는 20∼30대 23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 차원, 애착회피 차원, 자기방어적 양가성, 사회적지지,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인 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회피 차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양가성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애착불안 차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하였고, 애착회피 차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완전매개하였다. 넷째, 애착불안/회피 차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의 이중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논의에 본 연구가 지니는 제한점과 시사점 및 제언을 포함하였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 집단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지지망 구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