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Labor Force Transformation in Korea: 1960~1980

        Hangon Kim(김한곤) 한국인구학회 1986 한국인구학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勞動力의 사회적 특성적인 면에 있어서 각기 다른 産業에 종사하는 勞動力의 “누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에 중점을 두면서 한국의 産業 각 部分간의 변천과정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는 1960, 1970, 1980년에 실시된 한국 센서스 자료가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1960년과 1980년 사이에 한국의 産業 構造的인 면에 있어서의 급속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변화들은 주로 經濟開發 政策과 더불어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의 人口移動에 기인된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1960년에 65%의 勞動力이 1次 産業에 종사한 반면에 1980년에는 38.5%로 감소했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1960년에 오직 8.7%의 勞動力이 2次 産業에 종사하던 것이 1980년에는 27.6%로 증가하였다. 3次 産業 역시 1960년에 23.8%에서 1980년에 33.9%로 10%의 증가를 보였다. 經濟ㆍ發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失業者들이나 ?在 事業者들이 經濟活動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에 經濟構造 자체가 예전에 비해 더 안정이 되고 생활수준도 향상이 되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는 계속된 5個年 經濟開發 計劃에 기인된다고 할 수 있다. 經濟發展 과정에서의 대도시로의 人口集中, 특히나 2次産業과 3次産業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로의 人口集中은 주택, 교통, 범죄등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 동시에 도시지역에의 過乘 勞動力의 존재와 농촌지역에는 특히나 농번기에 勞動力 부족현상을 야기시키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女性勞動力의 비율, 전문직과 사무직 종사자, 그리고 서비스분야 종사자들의 비율이 증가하였는 데 비해 대부분의 다른 국가에서 처럼 한국에 있어서도 自營人의 비율은 經濟開發 과정에서 감소하였다. 經濟開發과 더불어 보다 專門化되고 組織化된 市場中心의 生産體制가 가구와 지역사회 중심의 生産技能을 흡수하므로서 많은 勞動力이 賃金 勞動力가 되었다. 특히나 單純勞動을 통한 많은 젊은 여성들을 雇傭하는 製造産業 分野에서 여성들이 낮은 賃金과 過勞 그리고 나쁜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그들의 건강을 해치고 직업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고 하겠다. 지난 20년에 걸친 급속한 政府 主導型의 經濟發展은 勞動力의 諸 産業 간의 급속한 변천과 더불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낳았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노인들의 치매 실태와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및 생활습관적 특성- 경상북도 경산지역을 중심으로

        김한곤(HanGon Kim) 한국인구학회 2004 한국인구학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경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매실태를 알아보고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생활 습관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집단의 약 6%에 해당하는 1,120 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포함한 면담표를 이용하여 2003년 8월 1일부터 2003년 9월 21까지 수행되었다. 면담에 응하지 않거나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160 사례를 제외한 960 사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10.6%가 치매에 이환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들 가운데 54.9%는 경증, 31.4%는 중등증, 13.7%는 중증이었다.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및 생활 습관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도입하였으며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및 생활 습관적 특성들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정신노동에 관련된 직업에 종사했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응답자, 규칙적 식사를 하는 사람과 적당량의 음식을 섭취하는 응답자들이 치매이환의 대수승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나이가 높을수록 노인들의 치매이환의 대수승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노인들의 치매이환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적 대안들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syndromes,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enile dementia among the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in Gyeongsan area in Northern Gyeongsang Province. In this study, 1,120 subjects which were six percent of the population were selected an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1, 2003 to September 2, 2003. KMMSE was introduced to measure the status of the interviewees' dementi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0.6 percent of respondents turns out to be dementia patients. Among the dementia patients, 54.9 percent are mild dementia patients, 31.4 percent are mid-level symptoms and 13.7 percent are severe symptoms of dementia patients. Cross-tabulation analys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introduced to explore the demographic, living, and behavioral differentials of the elderly's dementia.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turns out that white collar jobs, physical exercise based on the regular base, having meals regularly, adequate amount of meals decrease the odds ratio of elder dementia among the elderly who are above in Gyeongsan area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age increases the odds ratio of the elder dementia of the elder among Korean above 65 in Gyeongsan area.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lder dementia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대구시 노인들의 치매 실태 및 치매노인들의 생활 습관적 특성

        김한곤(HanGon Kim) 한국인구학회 2005 한국인구학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매실태를 알아보고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생활 습관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집단의 약 0.6%에 해당하는 1,120 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포함한 면담표를 이용하여 2004년 7월 1일부터 2004년 8월 31일까지 수행되었다. 면담에 응하지 않거나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232 사례를 제외한 898 사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8.9%가 치매에 이환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들 가운데 52.5%는 경증, 35.0%는 중등증, 12.5%는 중증이었다.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및 생활 습관적 특성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학력이 높은 사람, 취미생활로서 어느 한 유형보다는 정신적 및 육체적 활동 둘 다 하는 응답자, 지나치지 않는 음식섭취, 규칙적 운동을 하는 사람,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상태 등이 치매이환의 대수승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연령은 치매이환의 대수승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결혼지위, 거주형태, 주생활지역, 직업, 흡연 및 음주 등의 번수는 본 연구결과 노인치매 이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관련 분야의 장래 연구에 필요한 제언을 하였으며 노인들의 치매이환을 감소시키기 몇 가지 정책적 대안들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elderly dementia, an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ementia among the aged 65 and over in Daegu area. In this study, 1,120 subjects which were 0.6 percent of the population were selected an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1, 2004 to August 31, 2004. KMMSE was introduced to measure the status of the interviewees' dementi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8.9 percent of respondents turns out to be dementia patients. Among the dementia patients, 52.5 percent are mild dementia patients, 35.0 percent are mid-level symptoms and 12.5 percent are severe symptoms of dementia patients. Cross-tabulation analys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introduced to explore the demographic, living, and behavioral differentials of the elderly's dementia.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turns out that white educational attainment, participating in the leisure activities for both physical exercise and mental activities, having meals regularly, adequate amount of meals, and high economic status decrease the odds ratio of elder dementia among the elderly who are 65 and above in Daegu area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age increases the odds ratio of the elder dementia of the elder among Koreans above 65 in Daegu area.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lder dementia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 다크 서클(Dark Circles under Eyes)과 담음(痰飮)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조가영 ( Gayoung Cho ),노호식 ( Hosik Roh ),김수정 ( Sujong Kim ),김은주 ( Eunjoo Kim ),박혜윤 ( Hyeyoon Park ),김덕희 ( Duckhee Kim ),김한곤 ( Hangon Kim ) 대한한의진단학회 2008 大韓韓醫診斷學會誌 Vol.12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the phlegm-retained fluid, namely Damum(痰飮) and dark circles under eyes. Methods: 2 males and 11 females aged 26-60 yea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he intensity of 29 symptoms related with Damum(痰飮) including dark circle with the questionnaire published by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Three skin researchers including OMD graded the dark circles by inspection. We took the pictures around eyes by Facial Stage (Moritex, Japan) and analyzed the skin color by Image-Pro Plus (Media Cybernetics, USA).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mum(痰飮) and dark circles measured by self, inspectors and image analysis. Conclusions: In the Oriental Medicine, It is reported that the shadows under eyes are the sign of the retention of fluid, Damum(痰飮). In our study, that shadows, namely dark circles, has correlation with the symptoms of Damum(痰飮).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inspected grade and image analysis was very high.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proved that dark circles under eyes are important diagnostic sign of Damum(痰飮)

      • KCI등재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김기원(Ki Won Kim),김한곤(HanGon Kim)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차이를 기술하고 지역적인 노인자살률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자살에 대한 자료가 이용되었다. 조이혼율, 1인당 지역생산액, 복지예산비율, 여가시설 수, 의료 및 주거복지시설수, 체육시설수 등 여섯 개 독립변수들이 다중회귀분석에 도입되었으며 노인자살률, 여성노인자살률, 남성노인자살률 등이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자살률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차이 역시 존재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 따르면 체육시설(β-521), 복지예산비율(β=-375) 그리고 여가시설(β=-219) 등은 노인자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의료시설수(β=0.550)와 조이혼율(β=0336)은 노인자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자살률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합의들이 소개되고 논의되었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regional differentials of the elderly"s suicide rate and to explore factors impacting on the regional differentials among the elderly"s suicide rate in the Republic of Korea. Suicide data among 16 provinces from 2000 to 2008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Six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crude divorce rate, GRDP per capita, welfare budget proportion, number of leisure facilities, number of medical and housing welfare facilities, and number of sports facilities are introduced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Elderly suicide rate, female elderly"s suicide rate, and male elderly"s suicide rate are used for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lderly"s suicide rate has been increased constantly since 2000 and regional differentials of the elderly"s suicide have been existed over time.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s analyses, number of sports facilities(β=-521), welfare budget proportion, and number of leisure facilities(β=-219) hav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elderly"s suicide rate. On the other hand, number of medical facilities(β=0.550), crude divorce rate(β=0336) hav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elderly"s suicide rate in the Republic of Korea.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alleviating the elderly"s suicide rate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 KCI등재

        출산자녀수별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정연(Jeongyeon Seo),김한곤(HanGon Kim)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의 현재 출산자녀수별로 집단을 구분지어 그들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며, 이를 통해 출산지원정책에 대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체감효과를 개선하고, 기혼여성에게 아이를 낳고 싶은 욕구가 발현될 수 있도록 그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기혼여성의 인구학적 요인, 가족 가치관 요인, 돌봄 여건 요인, 정책적 요인 등을 도입하여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관한 통계적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EM)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자녀 기혼여성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부모됨가치가 높을수록, 비용부담이 적을수록, 노동 부담이 적을수록, 정책지지도가 높을수록 출산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자녀 기혼여성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자녀가치가 높을수록, 비용부담이 적을수록, 수혜가능성이 높을수록 출산의지가 강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자녀 기혼여성의 경우, 연령이 적을수록, 기혼여성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가치가 높을수록 출산의지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현재 한국사회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보다는 기혼여성의 현재 출산자녀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혼여성의 기회비용에 대한 안정된 사회적 지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출산뿐만 아니라 양육에 대한 선택권이 존중되어야 하며, 양육의 선택권에는 아내만이 아니라 남편 역시 존중받을 수 있는 사회적·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즉 자녀출산과 양육에 대한 책임을 남편과 아내, 즉 부부의 공동책임으로 인식함으로써 사회 구성원 모두가 주된 양육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조성하는 것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를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 이다. His study aims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married women to have a child by grouping married women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improve the actual benefits of childbirth support policies, which still remain insignificant, and to develop measures to encourage married women to give birth. According to the above purpose, the statistical model for the intention of married women to have a child was developed and a multi-group analysis of SEM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rried childless women have a stronger intention to have a child when they are younger, have a higher value of being a parent, have lower cost burdens, have lower labor burdens, and support policies more strongly. Married women who have one child have a stronger intention to have a second child when they are younger, have a higher value of having a child, have lower cost burdens, and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receiving policy benefits. Married women who have two children have a stronger intention to have a third child when they are younger, have a higher income, and have a higher value of having a child. The above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to take a selective approach to the intention of married women to have a child,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they currently have while stable social support to cover the opportunity cost of married women is of the greatest importance. In addition, the choice of childcare as well as childbirth should be respected, and there is a need for so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respect the choice of childcare of not only married women but their spouses as well.

      • 용융물 제트에 의한 희생물질 침식모델 개발

        서정수(Jungsoo Suh),김한곤(Hangon Kim)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EU-APR1400, the Korean nuclear reactor design for European market adopts a so-called core catcher for ex-vessel molten corium retention and cooling as a severe-accident mitigation system. Sacrificial material, which controls melt properties and modifies melt conditions favorable for corium cooling and retention, is usually employed to protect core catcher body from molten corium. Since molten corium can be ejected through a breach of a reactor pressure vessel and impinged on the sacrificial material with enhanced heat transfer at a severe accident,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ablation rate of sacrificial material due to corium jet impingement accurately for core catcher design. In this paper, sacrificial-material ablation model based on boundary layer theory is suggested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by KAERI.

      • KCI등재
      • KCI등재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시설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박세정(Park, Sejeong),김한곤(Kim, Hango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최근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다양한 사회문제를 경험하여 왔다. 특히 치매노인이 접근하기 쉽지 않은 대상이라는 특성 때문에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조사하고,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시설 환경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치매노인의 시설 환경에 적합한(compatible) 프로그램 개발이나 다양한 정책적 및 실천적 방안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시설 환경적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구 및 경북지역의 노인주거복지시설 및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및 교차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시설의 환경이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치매노인이 만족하는 삶의 질을 위해서는 치매노인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환경을 마련하고 치매노인의 잠재능력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주수발자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주수발자와의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시설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 시설들이 치매노인의 증상에 잘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시설의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오프라인(off-line)보다는 온라인(on-line)을 통해 치매노인요양시설과 전담인력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지역사회가 긴밀히 협력하여 요양보호를 필요로 하는 어르신께 양질의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re have lately been a variety of social issues in our society due to rapid social changes. Specifically, how to approach elderly people who suffer from dementia is never an easy task, and few in-depth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their quality of life due to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 environments of facilities for them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patible programs tailored to the environments of the facilities and for relevant policy setting. It's ultimately me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environments of facilities for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ho were housed in senior residential and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2.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s a result, facility environments were identified as one of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to boost their quality of life: First, good environment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n order for them to be satisfied with their own quality of life, and the way of looking at their potentials should be changed. Second, it's found that main caregivers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the kind of programs that focus on th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main caregivers is required. Third, there should be a change in the environments of the facilities. The facilities should be well equipped to successfully respond to the symptom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o redress their poor accessibility to the facilities, infrastructure involving nursing homes and professional personnels should be built by utilizing the Internet, and the facilities and local community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provide quality care to elderly people in want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