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The Creative Economy and Urban Art Clusters

        Hakhee Kim(김학희)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2

        도시 경쟁력 제고 수단으로 문화 및 예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창조경제에서 문화 및 예술 산업의 중요성이 주목 받고 있다. 서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도시 재활성화 및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에서 아티스트 및 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예술 작품과 문화 소비자를 매개하는 상업 화랑들의 입지 패턴과 요인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아시아 대도시의 도심 재개발 및 젠트리피케이션 과정과 문화 소비 공간 확산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상업 화랑을 중심으로 아트 클러스터의 성장과 쇠퇴 과정을 이해하고, 그 분포 특성을 도시의 역사성과 시대적 특성, 예술가 집단의 성격과 연결시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런던과 뉴욕과 같은 대도시에서 아티스트 및 화랑이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배경을 아티스트의 생태, 아트 비즈니스의 특성, 세계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서울의 화랑 입지는 예술가나 문화적 요인보다는 상업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고 문화소비공간으로 쉽게 전환되는 경향이 있으며, 화랑의 분포는 도시 개발 정책과 맞물린 지대의 상승, 문화 소비 취향의 변화, 국내외 미술 시장의 경기 변동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입지 주기 순환 양상을 보인다. Culture and art are emerging as main components in the creative econom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urban centres in the global market by nurturing cultural or artistic industries. A range of research exists which investigates the role of artists and art museums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in Northern American and Western European countries. Yet research into the geography of art galleries acting as an intermediary between art works and cultural consumers remain rare. Empirical research on gentrification and urban regeneration and their connection with spaces for cultural consumption in Asian cities is even less comm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rise and decline of art galleries in Seoul and the way that this reflects urban development process, historically specific cond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s’ communities. The background of the locational agglomeration of art galleries is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human ecology of artists, art business and its implication for the global market. The location of art galleries in Seoul seems to be affected by commercial art business and public policy, rather than by artists communities embedded in local areas. The location dynamics of art gallery clusters in Seoul is examined in the context of rent increases, changes of consumers' taste and fluctuating market cycles.

      • KCI등재

        지리교육의 소재로서 현대 미술

        김학희(Kim, Hakhee)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9 기전문화연구 Vol.35 No.-

        예술가들은 도시공간을 답사하고 예술작품을 통해 재해석함으로써 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이슈화할 뿐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데 기여한다. 공공미술로 진화하는 현대미술은 지역 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열어주고 장소에 대한 입체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최근 안양시는 공공미술의 메카로 부상하고 있으며, 현대미술을 통해 지역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해 가고 있다. 특히 안양 FLOW 및 석수아트프로젝트(SAP)에 참여한 예술가의 작품은 안양시의 지역화 교육 프로그램이나 일선 학교의 지리 수업 교재로 직접 활용될 수 있으며, 윌리엄 수의 작품은1970년대 수암천 종이블록 제조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안양천과 관련된 삶의현장과 역사를 복원하고 안양지역의 개발사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지리 교육및 학교 교육 현장에 예술가의 시선과 미학적 논의를 도입하는 것은 교육을일상생활의 영역과 접목시키고 학습자의 다양한 경험을 포섭하는 데 기여할수 있다. Artists play a role in raising various regional issues and reconstructing the place identity through fieldwork projects and artworks. Contemporary arts including public arts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local environment and deepen understanding of the place. Anyang, as a Mecca of public arts in Korea, has run APAPs (Anyang Public Art Projects) to infuse the local community with vitality and provide the citizens with more creative environment through regeneration. Anyang FLOW Project and SAP (Seoksu Art Project) can help students to discover diverse aspects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understand the lives of communities in geography classes at schools. William Sue revealed and restored the history of paper block making along the banks of Anyang River through his project and made a contribution to contextualiz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yang and the lives of local people for geography education. Artists doing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can embrace everyday life worlds and diverse experiences of students.

      • 부티크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김학희(Hakhee Kim)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 최근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메타 지리적으로 성찰하고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지리적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인종ㆍ젠더ㆍ계급 문제와 분리된 관광객 접근법을 선호하고 피상적 문화 소개에 그치는 등 부티크 다문화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다문화 관련연구와 이론적 논의에서는 북미, 서유럽, 호주의 다문화 교육의 논의와 동향을 주로 참고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메타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서구중심주의 및 개발주의가 내재된 메타 지리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티크 다문화주의 및 피상적인 다문화교육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연구자 및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자신의 메타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정형성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대안적 세계관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특히 학습자의 일상생활 세계를 글로벌 권력의 관계망 속에 위치시키고 다양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환경적 이슈와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지리적 상상력의 도입과 지리 교육적 처방은 진정한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과제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meta-geographical framework adopted 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explore geographical perspectives which go beyond tokenistic multiculturalism. A form of 'boutique' and 'touristic' multiculturalism which excludes features of race/gender/class seems to be prevalent in South Korea and this is reinforced by the adoption of theoretical and research trends borrowed from North America, Western Europe and Australia. The paper argues that to achieve a meaningful and authentic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ers and educators working within the South Korean context, need to keep examining their own meta-geographical framework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resist conventional ideas or regional stereotypes. The paper argues that educators can do this by exploring an alternative world view. In this process, geographical imaginations can play a central role by locating learners within the realities of global power politics and help them to connect their everyday life-worlds with divers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geography education.

      • 이미지 저작권 판별을 위한 기계학습 적용과 분석

        김수인 ( Sooin Kim ),이상우 ( Sangwoo Lee ),김학희 ( Hakhee Kim ),김원겸 ( Wongyum Kim ),황두성 ( Doosung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본 논문은 이미지 저작권 유무 판별을 분류 문제로 정의하고 기계학습과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적용하여 해결한다. 학습을 위해 입력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로 변환하고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여 학습 데이터셋을 준비한다. 저작권 유무 판별 실험에서 SVM, k-NN, 랜덤포레스트, VGG-Net 모델의 분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VGG-Net C 모델의 결과가 다른 알고리즘과 비교 시 10.65% 높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배치 정규화 층을 이용하여 과적합 현상을 개선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