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계획과 교통계획의 합리적 연계방안

        김태균(Kim, Taegyun),최대식(Choi, Daesik),정연우(Jeong Yeunwoo) 한국도시행정학회 2014 도시 행정 학보 Vol.27 No.2

        최근의 도시정책은 개발위주에서 성장관리 중심으로 제도적 변화의 요구와 함께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조성이라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기조에 발맞춰 도시계획 수립에 있어 교통계획 부문도 공급위주의 정책에서 수요관리 중심의 정책으로 변화됨에 따라 토지이용계획을 고려한 계획수립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계획 수립시 토지이용계획과 교통계획간 실제적 연계성 결여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아울러 기본계획 수립시 도시계획과 교통계획을 합리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계관련 해외사례를 검토한 결과, 계획간 연계를 위한 법제도 수립을 위해서는 정책목표와 계획수립 원칙의 천명, 계획체계의 수평ㆍ수직적 통합을 통한 연계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제도 현황을 검토한 결과, 도시계획관련 법률에서는 직접적으로 교통계획법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부문계획으로서 교통계획을 반영 또는 준용하도록 하여 교통계획과의 연계성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는 반면, 교통계획관련 법률에서는 국가기간교통망계획, 도시교통정비계획에서만 각각 국토종합계획과 도시ㆍ군기본계획을 연계하도록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을 뿐 나머지 계획에서는 해당 도시계획 내용의 일부 내용만을 참조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의 연계현황을 살펴본 결과, 인구지표의 상이성, 분야간 형식적 의견조회 과정 등에서 두 계획간 연계성이 미흡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시계획과 교통계획간 연계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제도개선 방안으로 토지이용과 교통계획간 연계성 검토항목 신설 및 연계수단 강화, 계획지표의 연계체계 마련, 관련부서와의 협의과정강화, 통합조정기능 마련, 도시계획과 교통계획의 공동목표 수립 등이 필요하다. Recently, urban policies experience the paradigmatical change towar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green city and put emphasize on the growth management rather than land development. Similarly the main focus of transportation part in urban planning is required to be transferred from the supply of facilities to the demand control, so it is more important to link it with land use pla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caused by the loos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lanning, and explore how to improve institutional measures for the facilitation of the linkage between the two planning fields. Firstly, as a result of review on foreign cases, we have to define the goals and principles in the two planning fields and consider measures which can link the two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econdly, while i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transportation plan to be reflected in the land use plan by the laws and ordinances related to urban planning, the linkage with the land use plan is just mentioned by the laws and ordinances related to transportation planning. Thirdly, in the master planning process, population index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planning fields and the formal acceptance of opinions between the fields is insufficient so that the linkage is not assured. Fourth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linkage, develop the measures of linkage, to relate the planning index from the two field, reinforce the communication process among the related agencies, arrange the function of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and establish the common goals between the two fields, in order to ensure the link between the two planning field.

      • 엔진 온도 평가와 열정산을 위한 통합 열전달 해석 기술

        김태균(Taegyun Kim),문길민(Kilmin Moon),송경(Kyong Song),박재인(JaeIn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05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5 No.11_1

        The increase of power density is limited by engine temperature. Engine component temperatures are an important consideration. because it will affect material strength and lubricating performance, therefore, it is of great importance tor engine designers to estimate component temperature in the early stage of engine development. In the present work, the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of calculating heat transfer between head/block solid components and coolants was used. to estimate solid component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heat rejection to coolant. In particular. unsteady heat transfer simulation method of Intake/exhaust valve system were developed. The calculation results we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is methodology. It is also applied to optimize engine cooling system through thermal balance.

      • 연비 향상을 위한 가변 용량 베인펌프 유동 해석 기술

        김태균(Taegyun Kim),문길민(Kilmin Mo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3 No.5

        Variable valve actuation has become a very popular feature in today’s engines. With many of these systems being hydraulically actuated, the engine lubrication system requires enhancement to support their function. To expand the system’s operational range with respect to speed and temperature, a traditional solution has been to increase oil pressure by increasing pump displacement. To better optimize the system, a 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has been adapted to the engine lubrication system. A pivoting outer ring design is employed that is able to vary the pump’s displacement as a function of pump regulating oil pressure which in-turn provides a net reduction in its drive torque. This paper discusses the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ethod by developing a dynamic force balanced model for variable displacement vane pump and also the 1-D detailed VDVP model integrating a lubrication circuit to analyze the pump power consumption over driving cycle mode.

      • KCI등재

        UAV 영상정보를 활용한 유역전체기반 조기경보시스템의 위험단면 산정

        김태균(Taegyun Kim),박재우(Jaewoo Park),황성현(SeongHyeon Hwang),이태삼(Taesam Lee)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4

        소하천 및 소규모 저수지의 경우 기후변화 등으로 급변하는 홍수 시 위험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조기경보시스템을구축하여 안전에 대비하고 있다. 현재 조기경보시스템은 교량에 수위계를 설치하여 그 수위를 기준으로 경보발령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교량 인근보다 더 위험한 지점의 존재 가능성으로 인해 조기경보발령 시스템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기경보시스템이 설치되는 유역전반의 홍수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해 UAV 기반 영상정보를 검토하여 홍수취약지점을 선정한 후 이를 직접 측량으로 자료를 수집한 이후 HEC-RAS를 통해 유역전반의 조기경보시스템의기준이 되는 홍수량 산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홍수 시 저수지 제방 붕괴 우려가 있고 하류에 거주지가 밀집된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면에 위치한 말골저수지와 우강천 상류 구역을 본 연구대상지로 설정하였다. UAV 3D 영상정보를이용하여 하천 급변화구간 및 인근 주거지 유무 등을 분석한 결과, 11개의 홍수 취약 지점이 확인되었다. 그 후 HEC-RAS를통해 해당 11지점 중 가장 작은 홍수량으로 제방을 범람하는 지점은 말골저수지 여수로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464 m에 위치한 단면인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유역전반 홍수조기경보시스템의 경보발령기준을 산정하였다. 기존에 수행해온교량 수위 기반 분석의 범위한계를 벗어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유역전반 UAV 영상정보 검토를 통해 조기경보시스템을설치할 홍수위험단면 산정은 유역 내 인근의 거주민들에 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위치선정에 중요한 새로운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or small rivers and reservoirs, a flood early warning system (FEWS) is generally used to prepare for sudden flood events whose impact is augmented from homonized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urrently, a FEWS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 water gauge, typically on a bridge. This is a limitation of the FEWS owing to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areas that are more vulnerable than the bridge. Therefore, to analyze the flood risk over the entire target basin, a procedure to install a FEWS was proposed. First, unmanned aerial vehicle (UAV)-based photogrammetry information is analyzed to preselect flood-prone areas. Second, further investigation including the ground surveying is followed for the preselected areas. Finally, the flood amount is estimated and the UAV photogrammetry information for issuing the alarm levels of the FEWS. For this purpose, Malgol Reservoir, a reservoir with high-risk level from floods, containing residential areas was selected as the current study area. Eleven flood-prone point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UAV photogrammetry information. Then, the flooding point with the lowest flood volume among the 11 points was selected as the most vulnerable point; this section was located at 464 m from the Malgol Reservoir spillway in the downstream direction. The warning alarm for the basin-wide FEWS could be issued according to the embankment of the most vulnerable section. This ensured the safety over the entire basin including the reservoir and its downstream area. The proposed procedure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bridge water level-based analysis by employing UAV-photogrammetry information of the entire basin and considering the entire flood-prone cross-sections.

      • KCI등재

        일만선차연락(日滿船車連絡)의 형성과 전개, 1905~1917 : 남만・동청철도와 일만연락항로를 중심으로

        김태균(Kim Taeg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러일전쟁 이후 러시아로부터 남만주철도와 여순・대련의 조차권을 획득한 일본은 이에 대한 경영방법을 논의했다. 그 결과 항만 및 철도의 정비를 통해 일본과 만주 사이에 교통・운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만주의 정치・군사・경제를 장악하고자 했다. 이것이 일만선차연락 구상의 등장이었다. 선차연락이란 항로와 철도를 연락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일본과 만주 간에 직통수송체계를 여는 것은 일만선차연락이라고 했다. 이처럼 당시 일본의 만주에 대한 교통・운수정책은 항로와 철도를 아우르는 방식이었다. 일만선차연락에는 총 세 개의 루트가 존재했다. 다롄루트, 블라디보스톡루트, 부산루트가 그것이다. 세 루트는 모두 일본과 만주 간을 왕래하며 두 지역 간의 교류를 활성화시켰다. 등장한 순서대로 살펴보자면, 다롄루트는 오사카-다롄항로를 통해 일본 국유철도와 남만주철도를 이었다. 블라디보스톡루트는 쓰루가-블라디보스톡항로를 통해 일본 국유철도와 러시아 동청철도를 이었다. 부산루트는 관부연락선과 한반도종관철도를 통해 일본 국유철도와 안봉철도를 이었다. 일만선차연락은 세 루트 구상이 등장하여 논의가 진행되던 시기부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힐항했다. 만주의 이권에 대한 일본과 러시아의 관계상 다롄루트와 블라디보스톡루트는 경쟁구도를 형성했다. 다롄루트와 부산루트는 러시아에 대한 군사작전상의 입장에서 일본 육군이 부산루트를 지지하기 시작하면서 일본 내에서 대립구도를 형성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1913년에서 1917년에 걸쳐 일만선차연락 네트워크에 큰 변화를 초래한 사건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것은 3선연락운임할인제도와 제1차 세계대전이었다. 이로 인해 일만선차연락 세 루트는 각각 큰 발전을 이루거나, 다른 발전 방향을 모색하거나, 쇠퇴하는 등 크게 재정비되었다. Righ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 that wins South Manchuria Railway and Lu-shun and Da-lian Railway from Russia was discussed the management method. As a result through the maintenance of ports and railways, form a traffic and transportation network between Japan and Manchuria, wanted to take control of Manchuria s politics, military and economy. This was the emergence of the Rail and Boat transportation between Japan and Manchuria formulate. Rail and Boat transportation mea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a route and the railway. it was combined rail and boat transportation between Japan and Manchuria which made possible the come-and-go between Japan and Manchuria. In this way, Japan s traffic and transportation policies for Manchuria were envisioned, formed, and developed in a way that encompassed sea routes and railroads. There were three routes in combined rail and boat transportation between Japan and Manchuria. First one is Da-lian Route, second one is Vladivostok Route, and third one is Busan Route. Three routes has facilitated exchange between Japan and Manchuria. Dalian route was through the Osaka-Darian sea route, connected Japan s state-owned railway and South Manchuria Railway. Vladivostok route was through the Tsuruga-Vladivostok sea route, connected Japan s state-owned railway and chinese eastern railway. Busan route was through A cross-channel liner between Busan and Shimonoseki and Trans-Korea Railway, connected Japan s state-owned railway and Anbong railway. The three routes were influenced by each other since the time when the idea appeared and the discussion was under way. Da-lian Route and Vladivostok Route formed a competitive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Russia over Manchuria s rights. As the Japanese army began to support the Busan route from its military operations against Russia, Da-lian Route and Busan Route formed Confrontational structure. Under these conditions, events have occurred that have caused a major change in rail and boat transportation between Japan and Manchuria from 1913 to 1917. That was fare discount system of three Rail and The World War Ⅰ. Due to this The three ruotes each to make great progress, to seek other development directions, to decline, etc, greatly reorga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