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학교 미래 핵심역량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김주아(Juah Kim),조석희(Seokhee Cho),안도희(Doehee Ahn),정현철(Hyun-Chul Jung),최호성(Ho Seong Choe),강은영(Eun Yeong Kang),김난옥(Nanok Kim)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 과학기술인재들의 핵심역량을 확인하고, 이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영재학교 재학생과 졸업생을 지도하는 교사 164명, 이공계 대학교수 33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및 교육과정에 대한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요구도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미래사회 인재의 핵심역량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함께 사회심리적 기술(열정, 끈기, 회복탄력성, 소통능력)과 사회적 책무성(리더십, 시민의식)과 윤리의식(비판적 사고능력)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제적 접근을 넘어 학제간 통합적 접근이 강화되어야 하며, 해당 학문분야의 학문하는 방법을 경험할 수 있는 연구, 멘토링 등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future STEM talented students from 8 specialized national-level residential science high schools (SNRSHS) in Korea and corresponding curriculum needs to develop these core competencies. Future society changes rapidly. Priorities for core competencies needed to solve these future problems and corresponding curriculum are explored. Borich priority determination formula and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needs using survey data of 164 SNRSHS teachers and 33 college professors who teach SNRSHS gradua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iority of needs for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was in the order of develop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social psychological skills (passion, persistence,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leadership, citizenship) and ethics (critical thinking). It was also found that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se core competencies, curriculum for future students at SNRSHS should strengthen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approach and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expanded mentoring and research opportunities in the related academic fields.

      • KCI등재

        재능계발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생애주기별 과학 영재교육의 기여와 문제점

        김주아(Juah Kim),조석희(Seokhee Cho),안도희(Doehee Ahn),한은정(Eun Jung Han),한기순(Ki Soon Han)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졸업생을 대상으로 회고적 연구를 통해 생애주기 관점에서의 영재교육 체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성의 발달 경로를 추적조사하기 위해 창의적 성취를 이룬 과학고 졸업생 23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과 졸업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영재교육 체제의 적합성과 관련된 다음의 쟁점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공교육 상의 유아단계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영재교육 시스템 부재하여 영재성 발견 시기와 재능계발을 위한 교육 시기 간의 간극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초중학교 단계에서 영재들은 학교교육을 통해서 충분한 교육적 도전을 받지 못하며, 비정규교육과정으로 제공되는 영재교육기회 또한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셋째, 고등학교 단계 전일제 영재교육기관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이 최대한 계발되는 등 높은 교육적 효과성을 보였으나, 동료 간 경쟁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과 좌절에 대해서는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단계에서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열정이 고등학교 단계 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사회에서 창의적 성취를 위해 필수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나 영재교육기관에서 충분히 계발되지 못하는 능력으로 소통과 협업역량이 지목되었다. 여섯째, 졸업생 진로와 관련하여 수학, 과학 분야의 학문적 훈련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창의적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진로의 다양성과 융통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gifted education system for developing STEM talents based on the Mega model of talent development through retrospective resear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23 high achieving high school science graduates, and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145 graduates. Contributing and restraining factors were found in the graduates’ educational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from pre-school to college. Talent development seemed to be most facilitated during the high school period compared to any other period. The following issue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s gifted education system were identified and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time lag between the recognition of giftedness and development of talent due to the absence of provision in gifted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to lower elementary grades in the public school system. Second, current gifted education programs are provided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outside of the public school system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hich may not be sufficient enough to develop talent in gifted children to their maximum extent. Third, science high schools, which are full-tim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However, graduates needed support to cope with enormous psychological pressure and frustration caused by severe competition amongst themselves, being the top students at the national level. Fourth, in college, the graduat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nthusiasm were lower compared to what it was in high school. Fifth, opportunities to develop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were scarce despite the fact that these are critical for realizing creativity in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Sixth, current restrictions to the choices of graduates’ career paths should be lifted to enhance diversity and flexibility. It is important for graduates to learn to be creative in various fields based on their training in mathematics and science.

      • KCI등재

        시.도교육청 주관 학교평가 실태 분석

        김주후(Juhu Kim),정택희(Taek-hee Cheong),김주아(Juah Kim),김승훈(Seungho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학교평가에 대한 실태분석을 하고 학교평가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6개 시ㆍ도교육청에서 발간된 학교평가보고서를 분석하고 연구자들이 학교평가 담당자들을 면담하였다. 분석 결과 시ㆍ도교육청수준의 학교평가는 평가설계의 체계성 및 일관성, 평가방법의 과학성, 평가실시의 전문성, 평가결과의 활용성 측면에서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평가 실시상의 현실적인 제약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행 초기와 비교해 볼 때 긍정적인 방향의 변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개별 시도교육청의 고유한 특성과 교육적 요구가 반영된 평가모형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향한 진행형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시도교육청 수준의 학교평가의 발전을 위한 제언도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 evaluation system at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nual school evaluation reports from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e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school evaluation system is not satisfactory in consistency of evaluation design, scientific approach of evaluation methods, quality of evaluation implementation, and utility of evaluation results. However, despite many barriers and limitations in implementation of school evaluation, the quality of school evaluation system has been improved compared to the early years of school evaluation. In particular, many school evaluation models considering uniqueness of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developing, and showing continuous progress.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school evalua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의 융합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이정규(Jeong-kyu Lee),성은현(Eun-Hyun Sung),김주아(Juah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2

        영재교육을 잘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지능정보화사회의 변화 트렌드를 인식하고 예측하여야 하며, 미래를 살아갈 영재들이 갖추어야 할 혁신역량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탐색하여 영재교육에 반영해야 한다. 세계경제포럼(WEF), OECD 등의 교육보고서들은 미래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혁신역량으로, ‘융합력’을 공통으로 꼽고 있다. 이에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들의 융합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최근 융합교과를 새로이 신설하여 비록 적은 비율(2.20~11.49%)이기는 하지만 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이번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융합교과의 내용은 ① 실제 사회 문제해결에 기반한 융합교과, ② 기존의 융합학문으로 확립된 분야에 기반한 융합교과, ③ 교과의 핵심개념 및 원리에 기반한 융합교과, ④ 이론의 실체화 및 실제 세계에서의 활용을 매개로 한 융합교과, ⑤ 사고력 향상에 중점을 둔 융합교과, ⑥ 특강 및 체험활동 형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융합교과의 운영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으나 융합교과의 학습 선택권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다시 융합필수·융합선택과목으로 세분하여 운영하고 있다. 융합교과구성도 융합교과와 별도로 융합교과활동으로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2020 교육부도 융합교육종합계획을 발표한 만큼 영재교육에서도 융합교육이 더욱 내실있게 확대되어야 한다. In order to teach the gifted education well, we need to recognize and predict the change trends of the highly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we need to explore how to educate the gifted people who will live in the future and reflect them in education for the gifted. Education reports such as the WEF, OECD commonly point to 'convergence' as the innovation competency that future talents should ha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 school-level gifted education academy, this study confirms that convergence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nd is gradually expanding, although a small percentage (2.20~11.49%) of newly newly established convergence subjects are being established. could The contents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are ①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real social problem solving, ②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fields established as existing convergence studies, ③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core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subject, ④ realization of theory and real world It can be classified into convergence subjects based on utilization, ⑤ convergence subjects focusing on improving thinking ability, and ⑥ special lectur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s the 2020 Ministry of Education also announced the Comprehensive Plan for Convergence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more substantively in gif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