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중 경제협력관계 변화와 한반도 통일환경 분석

        김주삼 ( Joo Sam Kim ) 朝鮮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2011 統一 問題 硏究 Vol.26 No.1

        This study speculates on the effects changes in the Economic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ill have on the future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Korea`s responses. As China has risen to be one of the G2 nations, it has taken a new level in world order and this puts a focus on the safe management of local problems in East Asia. China and North Korea have developed a solid cooperative relationship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fields while maintaining special socialist systems in Northeast Asia. Reinforced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may bring general political chang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o Northeast Asia. This also has meaning in that the reinforced cooperative relationship is presented as another model for North Korean and Chinese relations. North Korea has reinforced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itself and China further by requesting economic support from China with the purpose to overcome the stagnation in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lationship since Lee Myeong-bak`s government took office in February 2008. The changed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as caused by construction of North Korea`s powerful nation, cooperation for Chang-JI-Tu development plan and the stagnation in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strategic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These changes may affect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sulting ripple effects may accelerate changes in the political condi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influences of an altered Chinese and North Korean cooperative economic relationship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a chance for North Korea to open its gates. Second, it motivates North Korea to change from having a heavy industry-centered policy to a light industry-centered policy. Third, it will save resources in the future cost of unification. Korea`s possible responses to these condi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have a cooperative attitude to North Korea opening up. Second, it should have an attitude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plan of Chang-JI-Tu to overcome the stagnant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o develop conditions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이 논문은 북중경제협력 관계변화가 향후 한반도통일환경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한국은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분석한 것이다. 중국은 G2 국가로 등장하면서 세계질서에서 새로운 축을 형성하면서 동북아 지역문제에 대한 안정적 관리에 역점을 두고 있다. 북한과 중국은 동북아지역에서 특수한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하면서 정치·경제·군사적 부문에서 공고한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북중 경제협력강화는 한반도와 동북아지역에 대한 전반적 정세변화를 가져 올 수 있으며 특히 경제적 부문에서의 양국의 협력관계강화는 새로운 모습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2008년 2월 이명박정부 출범 이래 남북관계관계가 경색되자 이를 타개할 목적으로 중국에 경제적 지원을 요청하여 북중경제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북중경제협력관계 변화요인은 우선 2012년 북한의 강성대국 건설과 둘째, 창지투(Chang-JI-Tu)개발계획, 셋째, 남북관계의 경색과 북한의 전략적 이해의 일치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변화요인은 한반도 통일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파급효과는 한반도정세 변화를 가속화 시킬 수 있다. 북중경제협력 관계변화의 영향력은 첫째, 북한이 대외개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것이며, 둘째, 북한이 그동안 중공업우선정책에서 경공업 정책전환과정에서 동기부여를 할 수 있고, 셋째, 남북한의 통일비용을 절감케 하는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변화상황에서 한국의 대응은 첫째, 북한의 대외개방에 협력적 자세를 지향해야 하며, 창지투개발계획에 대한 참여와 경색된 남북관계를 극복하고 한반도 통일환경 여건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선회해야 한다는 것이다.

      • 국제질서 관점에서 본 남북한 평화공존을 위한 통일교육 개선방안

        김주삼 ( Kim Joo-sam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20 접경지역통일연구 Vol.4 No.2

        1990년대 이후 국제질서는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권 국가들이 몰락하고 탈냉전체제로 전환되었으며, 독일통일은 탈냉전체제의 상징이 되었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변화는 미소 중심의 냉전체제의 해체를 공식화하였으며 G2 미중시대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북한 분단체제는 아직도 한국사회에서 남남갈등이 상존하고 있으며, 남북한의 상반된 체제와 이념의 모순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의 통일교육은 주로 정부주도하에서 학교통일교육과 사회통일교육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동안 정부와 민간단체의 많은 통일교육 성과에도 불구하고 형식주의와 일관성에 대한 일부 문제점들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향후 통일교육 개선방향은 남북한 평화공존을 위한 방향설정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미래 통일대비 중장기적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명확한 대북인식과 확고한 자유민주주의체제에 대한 민주시민교육과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After the 1990s, German unification has become a symbol of post-cold war system, as international order was changed into post-cold war system, with the collapse of socialist states including Russia and East Europe. Such a rapid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ystem formulated deconstruction of the Cold War Era centering on ideologies, leading G2 to appear. However, in spite of the change in international society, in respect to the Korean division system, not only exists the South-South Conflict in Korean society, but also the opposition in ideologies and political structur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still being continued. Our unification education of school and society has been led by the government. Although the accomplish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took the initiative in, it has been argued that the education had problems in forms and consistence. Further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or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lso I think that programs of the mid- and long-term quality for the future unification development should be based on nurturing democratic citizen with definite understanding toward North Korea, and on liberal democracy system enhancing awareness of international society.

      • 19-21세기 세계경제질서에서 나타난 영,미,중 Great Power 비교분석

        김주삼 ( Joo Sam Kim ) 朝鮮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2009 統一 問題 硏究 Vol.24 No.2

        19-21세기 세계경제질서에서 가장 크게 영향력을 발휘했던 국가는 영국, 미국이었으며, 미래는 중국의 Great Power라고 예측할 수 있다. 시기별로 구분하면, 영국은 19세기 최강대국으로 세계무대에서 정치경제질서를 주도하였으며, 미국은 20세기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기점으로 세계패권을 장악하였다. 중국은 21세기 미국을 대체할 가장 유력한 Great Power 국가로 급부상하고 있다. 영·미·중 Great Power는 우선 이에 대한 적용기준과 시기구분, 형성요인 등에서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19-21세기 영국과 미국 그리고 중국 3국의 Great Power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분명히 드러난다. 대체적으로 3국의 공통점은 정치적 안정과 외교능력, 경제력, 영토와 자원, 군사력 등의 요소를 골고루 갖추었다. 반면에 3국의 차이점은 인구와 민족구성, 정치제도, 역사와 문화, 정치엘리트 충원과 리더십, 경제시장과 경쟁력 등에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영국과 미국의 세계패권 장악과정과 유지에서 가장 큰 결함은 인간의 보편적 가치 누락과 세계평화, 공동협력에 대한 인식부족이었다. 21세기 새로운 Great Power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은 이러한 영국과 미국의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될 것이다. The nations which have previousl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global economy through the nineteenth to the twenty-first century are Great Britain(GB)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USA). However, in recent times China has been climbing the ranks as a major global economic player, some would even say "power". China`s rapid increase in economic growth could surpass that of the USA in the twenty-first century where previously the USA and GB held the positions of one and two as economic powers in the eras before and after WWII. Several different factors account for what constitutes economic power. These include; applied standards, time in power, political stability, democracy, military power, broad territory and the abundance of resources a nation has. However, each of the above nations have contrasting populations, composition, political systems, history and culture, political elites, leadership, economic markets and competitive power. The biggest defect in the reign of the USA and GB as global leaders, were in the neglecting of human rights, world peace and the important issues of joint cooperation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hina as the upcoming Great Power of the twenty-first century should never repeat such negligence and have a much less apathetical attitude in contrast to its` predecessors.

      • KCI등재후보

        중국 동북진흥계획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창지투개발계획을 중심으로

        김주삼 ( Joo Sam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0 동북아연구 Vol.25 No.1

        2009년말 기준으로 중국의 수출규모는 세계 1위로 올라선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중국의 GDP가 세계 2위를 차지하게 되면서 중국은 이제 세계에서 미국과 G2의 위치와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중국은 1978년 덩샤오핑이 표방한 개혁개방노선을 추진한 지 30년을 지나오면서 연해지역개발에 성공한 데 이어, 최근에는 그동안 낙후지역이었던 동북3성지역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9년 11월 18일 중국 국무원은 두만강유역개발개방선도구: 창-지-투를 중심으로(이하 ``창지투개발계획``)을 중앙정부차원에서 국가전략사업으로 선정하고 비준하였다. 창지투개발계획은 1차적으로 중국 동북지역의 개발사업의 성격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적 성격을 벗어나 주변국인 북한, 러시아, 몽골, 한국, 일본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밖에 없는 국제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복잡하고 예민한 개발계획이라고 분석된다. 하지만 중·북·러는 창지투의 핵심국가로 분류되며, 한·몽·일은 창지투개발계획에 있어서 배후국가들이라고 그 성격을 규정할 수 있다. 중국동북진흥계획은 1992년에 유엔의 UNDP가 두만강유역공동개발계획을 제안하였으나, 관련국들의 참여와 투자유치 부진 및 국제적 문제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과거사례에 비추어 볼 때, 창지투개발계획은 향후 성공여부와 국내외에 미치는 영향력 및 그 파급효과는 어느 정도가 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관심사안일 수밖에 없다. 창지투개발계획에 대해서 한국은 향후 어떠한 대책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다. In late 2009, China`s exports were ranked as first in the world and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its GDP was ranked second in the world. Therefore, China has achieved the position and role of G2 just behing the United States. As China has successfully developed its coastal waters for 30 years since its Economic Reform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led by Deng Xiaoping, that started in 1978, it has spurred development of the three northeastern Chinese provinces. On November 18, 2009, the government of China designated the Changchun-Jilin-Tumen Development Plan as a national strategic project and ratified it. Analysis of the plan shows that it is very complicated and sensitive in that it cannot help but be related with North Korea, Russia, Mongolia, South Korea, and Japan although its focus is on the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However,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are classified as central nations to the development plan, and South Korea, Mongolia, and Japan are included to a lesser extent.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suggested a joint development plan for the Tumen River Basin in 1992, but no special results have been achieved due to international problems such as the poor participation of relevant nations and low investment. Therefore, in considering the past case, the Changchun-Jilin-Tumen Development Plan is very important in respect to its future success and its influence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What measures South Korea should take in respect to the development plan of China will be a very important issue.

      • 탈북자의 지속과 북한인권개선 방안

        김주삼 ( Kim Joo-sam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17 한국과 국제사회 Vol.1 No.2

        이 글은 지속적인 탈북자문제와 북한인권개선 방안에 관한 것이다. 탈북자는 199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한국행 입국을 해왔다. 북한주민의 탈북배경은 1990년대 중반까지는 북한 자체 `고난의 행군시기`의 경제적 동기가 가장 컸다. 하지만 이러한 탈북동기는 2000년대를 거치면서 기획 탈북, 가족단위의 집단탈북, 자신의 미래를 위한 탈북 등의 형태 등으로 바뀌어왔다. 탈북자들은 탈북 후 한국입국 전까지 중국과 제3국에서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인권사각지대에서 엄청난 인권침해를 당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이 탈북자문제에 대해 정부와 민간부문에서 꾸준한 노력을 해 왔음에도, 탈북자문제와 인권문제에 대해 정부와 민간부문에서 지속적인 공동의 역할은 더 절실하다. 정부는 2016년 3월 국회에서 북한인권법 통과로 이 법안에 따라 북한인권문제를 제도적 절차에 따라 탈북문제를 인간의 보편적 가치와 민족문제로 인식하고 국내외적으로도 공동협력해 나가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speculated on a continuous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trategies to improve North Korean human rights. North Korean defectors have immigrated to South Korea continuously since the late 1990s. Their immigration was motivated by low financial status in the harsh marching period of North Korea until the mid-1990s. However, the defection motives changed like this: planned defection, family-based group defection and future-oriented defecti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d had severe human rights abuses as illegal immigrants in the blind spots of human rights of China and the third nations until they were admitted to South Korea after defection. Although South Korea tried to help them consistently both in public and private ways, it was not satisfactory.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should pay more consistent attention to the human rights issue. As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on March 2016, the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that of universal value and a national issue, and cooperate each other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diverse way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북한의 핵실험 지속과 통일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

        김주삼 ( Kim Joo Sa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이 논문은 북한의 제5차 핵실험에 따른 한반도 통일환경과 한국의 대북인식의 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이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대북제재를 계속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실험을 통한 핵무기 보유를 공언하고, 미사일 시험발사까지 계속하면서 대남도발 위협과 국제적 반대여론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북한 핵실험의 강행은 그동안 남북관계에서 형성되어 온 신뢰구축과 통일환경 분위기를 일거에 후퇴시키는 마이너스 효과를 보이고 있다. 북핵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통일환경 악화의 주요인으로 향후 북한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체제붕괴를 촉진시키는 비효율적 카드이다. 북한의 핵실험은 남한에 안보위협을 가중시켜 결국 한국사회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통일담론과 대북인식에 부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한반도 통일환경은 시기별로 정권에 따라 대북정책과 통일정책이 변화·발전되어 왔다. 향후 한반도 통일담론은 북핵 현실에 따라 국가안보를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북핵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평화통일환경의 붕괴의 주요인이며, 한반도 안보환경과 동북아지역 안정 균열 요인으로 작용된다. 우리 정부는 북핵위기 극복과 통일을 위한 초당적 국론결집과 국제공조를 전면적으로 가동시키고 북한체제 변화에 전방위적으로 나서야 한다. This study analysed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North Korea`s 5th nuclear test and South Korea`s perceptions on North Korea in order to find strategies to deal with the situatio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UNSC) has continued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s for its nuclear tests. However, North Korea declared that they have nuclear weapons through the nuclear tests, and continues to test fire missiles as a provocation and threat against South Korea, which has maximized international opposition. North Korea`s continued nuclear testing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reliability and on the unif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South and North.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aggravates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 inefficient card which causes North Korea to be isolated internationally and which will facilitate the system to collapse. As North Korea`s nuclear tests increase the threats to security in South Korea, it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iscourse of unification and South Korea`s perceptions of the North.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has chang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policies dealing with North Korea and the unification policies in different governments. In the future, we should approach unification discourse on the Korean peninsula in a more comprehensive way including national security according to North Korea`s nuclear reality. The North`s nuclear ambition collap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North as well as the unification environment, breaking the stability in the North Eastern area. Our government should concentrate on public opinion and enhance international cooperation against changes in the North Korea`s system.

      • KCI등재

        4·19혁명정신 계승과 선양

        김주삼 ( Kim Joo-sam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4.19혁명은 이승만정권의 3.15부정선거에 분노하여 학생과 시민들이 부패한 권력을 축출하고 새로운 권력을 창출했다. 이는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시민혁명이었다. 4.19혁명의 숭고한 민주정신은 이후 1979년 부마항쟁으로부터 1987년 6월항쟁에 이르기까지 한국민주화운동에 그대로 계승되어 한국민주주의를 선도했다. 4.19혁명정신과 민주이념은 개정헌법에 반영돼 민주화운동의 정당성을 확보하였고, 4.19혁명기록물은 202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돼 한국민주주의를 세계적으로도 널리 확산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4.19혁명정신계승과 선양사업은 2023년 국가보훈부 승격으로 향후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지만, 그럼에도 4.19혁명정신계승과 선양사업은 보훈선진국 사례를 적용하여 민주 시민교육 확대와 민·관·학 거버넌스 형태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더 개발해 나가야 한다. With the April 19, students and citizens who were upset with March 15 rigged election led under the Lee Seung-Man’s regime ousted collapsed power and established a new power. It was a people’s revolution in democratic history of Korea. Democratic spirit enhanced in the April 19 Revolution was succeeded in Korean democratic movements from the Buma Democracy Movement in 1979 to the June Democracy Movement in 1987 and led Korean democracy. The April 19 Revolutionary spirit and democratic ideology were reflected in the revised Constitution to secure legitimacy of democratic movement, and the records of the April 19 Revolution were designated as one of 2023 UNESCO World Heritages, which was a good opportunity that Korean democracy would be expanded world-widely. Although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succession and enhancement of the April 19 Revolutionary spirit would be expanded further with promotion in status of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for better management of the project,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education for democratic people and develop governance-type education programs supported jointly by private, public and academic sectors by referring to cases of advanced countries in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