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버스 운행계획수립 모형 개발

        김원길(Kim Wongil),손봉수(Son Bongsoo),정진혁(Chung Jin-Hyuk),이점호(Lee Jeomho)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5D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버스 이용자들의 편의를 증진시키며 버스운영 측면에서 불필요한 운행을 최소화하기 위한 버스운행계획 최적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2000년 이후 ITS의 일환으로 버스 운행계획 최적화를 통한 운행관리와 정보제공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과학적인 기반 하에 합리적인 버스운행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운행계획 수립을 위해 구간 및 정류소 단위의 운행이력, 버스이용수요 등 세부자료를 활용하여 DTR 및 DTRC 모형에 따라 버스운행계획을 수립하였고 기점 및 정류소 단위의 timetable을 작성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서울시 472번 간선노선을 대상으로 BMS, 교통카드 등의 수집 자료를 활용하여 운행계획을 수립하고, 모형에 사용된 파라미터와 가정들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Many studies on bus scheduling optimization have been done from the 1960s to recent years for establishing rational bus schedule plan that can improve convenience of bus passengers and minimize unnecessary runs. After 2000, as part of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the importance of the schedule management and providing schedule information through bus schedule optimization has become a big issue, and much research is being done to develop optimization models that will increase bus passenger convenience and, on the side of bus management, minimize unnecessary bus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optimal bus frequency and create a timetable for each bus stop by applying DTR or DTRC model that use data for each bus stop and route segment. Model verification process was implemen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bus management system (BMS) and integrated transit-fare card system for bus route of Seoul's No. 472 line.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uncertainty of optimal solu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the various parameters and assumptions used in the bus scheduling mode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박물관 기획전시 관람객의 관람 속성에 관한 연구

        김원길 ( Wongil Kim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기획전시는 박물관에서의 학술연구, 발굴과 같은 연구 성과를 발표하거나, 큐레이터들의 다양한 기획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이며 국내외 박물관간의 교류전을 통해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박물관에서는 기획전시와 연계된 교육프로그램, 컨퍼런스, 세미나, 문화상품, 공연, 출판, 등 많은 콘텐츠를 제작 하고 있으며 더 많은 관람객 유치를 위해 마케팅 전략과 홍보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 기획전시의 수요자인 관람객의 특징 및 필요를 파악하고 기획전시의 접촉경로, 이용의 만족도 및 불만족 요인과 개선점 등을 도출하여 향후 박물관에서 기획되는 기획전시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기획전시를 연구의 대상 및 범위로 하였다. 관람객들의 만족도와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만 15세 이상의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 관람객이며 조사기간은 각 전시마다 4~ 5일간 각각 5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도구인 설문지의 내용은 관람객 배경정보, 기획전시의 취득 경로 및 만족도, 기획전시실 편의시설 평가, 전시장 관람평가, 박물관 전반적 만족도, 인구통계 정보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조사 프로세스는 조사설계, 설문개발, 실사준비, 실사진행, 데이터 검증, 데이터 분석 순으로 이루어 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자료 분석의 절차를 거쳐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첫째, 관람객 특성을 살펴보면 기획전시 관람자 중 기존 관람객의 재관람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람동기는 주제에 대한 관심층(내적동기), 타인 의식층(외적동기)순이며, 특히 고연령층 및 박물관 재방문층에서 내적 동기가, 20대에서 외적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보의 취득의 경우에는 ‘공중파 방송’은 정보 취득 경로와 주 영향 경로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채널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박물관 홈페이지 및 커뮤니티’와 ‘전시 홈페이지’는 정보 취득 경로, 주 영향 경로 및 채널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 향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만족도 개선 방안에 있어서는 ‘전시내용’과 ‘전시관람’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난 반면 ‘관람환경’과 ‘편의시설’은 증요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으나 만족도가 낮아 점진적으로 개선할 차원으로 나타났다. (결론) 박물관의 기획전시는 점차 그 기능과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의 수요자인 관람객이 어떤 관람특성과 필요를 요구하는지와, 전시 관람 후 얻게 되는 만족도의 과정을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관람객 특성과 관람 만족도로 구분하여 데이터화 하였으며, 중점개선, 점진 개선, 지속유지, 유지강화 영역으로 구분하여 향후 전시 디자이너가 기획전시를 계획하는 과정 중 매우 유용한 도구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Purpose) As a space for presenting the results of academic research/discovery or for expressing curators’ diverse plans in museum, the temporary exhibition is the subject of a structured, cooperative network of exhibition exchange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temporary exhibition design of museum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visitors to temporary exhibitions in museums and also to draw the contact channel of temporary exhibitions, including factor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nd improvements. (Methods) Targeting 500 visitors in 15 years or more to each temporary exhibi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4-5 days.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comprised visitors’ background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 visitors’ satisfaction with the temporary exhibition, evaluation of amenities in the temporary exhibition room, evaluation of exhibition center, overall satisfaction of museum, and demographic data. The research process included, in the following order, research design, development of questionnaire, due-diligence preparation, due-diligence process, data verification, and data analysis.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according the data analysis procedure.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out of all temporary exhibition visitors, the percentage of revisit by existing visitors was high. Second, the motive for viewing included people interested in theme (internal motive) and people conscious of others (external motive) in that order. In particular, the older people revisiting the museum showed a high internal motive while people in their 20s showed high external motive. Third, in the case of information acquisition, ‘public TV broadcasting’ was a common channel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a major influence, but the channel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The ‘museum homepage & community’ and ‘exhibition homepage’ were high in terms of information acquisition, major influence, and channel satisfaction, so that the utilization in the future was highly judged. Fourth, regarding the improvement measures of satisfaction, both ‘exhibition contents’ and ‘exhibition viewing’ showed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hil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viewing environment’ and ‘amenities’ were not high, which should thus be gradually improved.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museum visitors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xhibition.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exhibition satisfaction. Dividing the results into focused improvement, gradual improvement,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could be very useful as a tool for exhibition designers to plan temporary exhibi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박물관 전시디자인 연출유형 및 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김원길 ( Kim Wo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의 박물관은 소장품을 수집하고 전시하는 공간만이 아니라 소장품 보존, 교육, 문화콘텐츠 개발, 여가 프로그램 제공 등 역사와 문화를 매개로 하는 종합 문화공간으로 그 운영이 변모되고 있다. 박물관의 전시는 사회적 변화와 관람객 요구 증대에 따라 점차 변모하게 되었고 박물관의 전시디자인 등장은 박물관 전시의 큰 변화를 일으켰다. 전시 디자이너는 전시실의 공간 기획을 통해서 전시주제와 연관된 공간을 연출하고, 다양한 연출기법을 사용하여 관람객의 전시에 대한 참여도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 냈다.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전시의 공간 연출유형과 연출기법을 분석하고 각각의 유형을 도출함으로서, 향후 박물관 전시기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첫째, 박물관 연출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박물관에서 개최된 전시를 토대로 연출유형에 대해 조사·분석한다. 둘째, 박물관 디자이너들이 전시연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출기법의 이론적 고찰과 유형을 조사·분석한다. 셋째, 최근 개최된 전시를 사례로 연출유형과 연출기법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넷째, 이를 바탕으로 전시 공간의 연출유형과 연출기법의 행태를 파악하여 향후 전시를 기획하거나 운영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한다. (결과) 첫째, 엘도라도 전과 같은 문명전의 경우에는 해당 문명의 특징인 자연환경과 문화양식을 표현하기 위한 문화적 요소가 연출유형으로 표현되었으며, 문화적 요소를 연출하기 위한 기법 요소로 멀티미디어, 매핑미디어, 실감형 미디어와 같은 영상매체가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역사유물 중심의 역사전시와 주제전시의 경우에는 각 주제에 대한 설명을 위한 설명유형을 일차적 전시연출 유형으로 연출되었으며, 설명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매체를 연출기법으로 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4차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AR(Artificial Reality), IOT(Internet of Things) 등 디지털 매체의 사용은 관람객의 참여도와 관람객의 몰입도를 높이는데 전시연출에서 사용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전시 규모나 예산이 높을수록 전시에서 차지하는 매체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다. (결론) 박물관에서의 공간연출과 연출기법은 그 기능과 역할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전시에서 사용되는 연출유형과 연출기법의 유형을 분석하고 표현되어지는 과정을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시 장르별로 구분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였으며 향후 전시디자이너가 박물관 전시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Purpose) The exhibition of museums has been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increased visitors’ needs, and the appearance of museum exhibition design has caused huge changes in the museum exhibition. The exhibition designers have produced various contents for raising the visitor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exhibition by directing spaces related to the exhibition theme and also using various directing techniques through the spatial planning of exhibition 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museum exhibition planning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spatial directing types and directing techniques of museum exhibition, and then drawing each type. (Methods) This study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ing types are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museum directing types and exhibitions held in museums. Second, this study conduct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directing techniques used by museum designers for maximizing the exhibition directing effects, and also researches and analyzes the types. Third, the directing types and directing techniques are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case of exhibitions recently held. Fourth, the data necessary for planning or operating the exhibitions is presented by understanding the directing types and directing techniques of exhibition space. (Results) First, in case of civilization exhibition like Exhibition El Dorado, a cultural element was used as a directing type for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civilization such as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patterns, and as technical elements for representing the cultural element, the image media like multimedia, mapping media, and immersive media were mostly used. Second, in case of historical exhibition and thematic exhibition focusing on historical relics, the explanation type for explaining each theme was used as the primary exhibition directing type, and the media were mostly used as a directing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explanatory effects. Especially, the digital media like AI(Artificial Intelligence), AR(Artificial Reality), and IOT(Internet of Thing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y, is increasingly used for exhibition directing to raise the visitors’ participation and immersion. When the scale or budget of exhibition is bigger, the percentage of media taking up the exhibition is increasing.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ng types and directing techniques used for museum exhibition, and also analyzed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hanged into data by classifying/analyzing them into each exhibition genre, which could be used as a very useful data for exhibition designers to plan museum exhibi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불교 조각대전’조명 연출 디자인

        김원길 ( Wongil Kim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에서의 조명은 전시품을 감상하거나 공간에 대한 강한 인상을 주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박물관 대상의 조명 연구는 대부분이 건축이나 관리적 측면으로 연구되어, 전시를 기획하는 전시디자이너 입장에서의 조명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하다. 본 연구는 박물관 전시품 조명의 특성을 연구하여 유물 전시 조명 연출의 새로운 유형과 방향을 제시하고, 실제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기획특별전 '불교 조각대전'의 조명연출 디자인을 통해 향후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의 조명의 기획과 디자인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통적인 유물전시 박물관에서 전시 연출을 위한 활용 방안으로서의 조명 연출 및 사용법에 관한 것이다. 내용은 크게 전시물의 보존적 차원과 연출적 차원으로 구분하며, 선행 절차로 문헌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이론적 고찰을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의 조사를 바탕으로 박물관 조명의 정의와 특성 등 박물관의 조명을 계획하기 위한 조명의 기본적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대상인 “불교 조각대전- 불상, 간다라에서 서라벌까지”의 조명 연출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첫째, 박물관에서의 조명은 전시되는 전시물을 손상시키는 심각한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되어야 하며, 기구와 램프와 같은 기술적 연구와 별개로 사용자인 디자이너의 운용적인 연구도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전시되는 전시물의 올바른 색감 표현을 위해서는 램프 색온도의 선택과 연색성이 중요하며, 전시물의 올바른 형태 표현과 집중도를 높이기위해서는 조명의 조사각도와 빛의 양, 그에 따른 휘도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셋째, 박물관에서 지금까지의 조명의 사용은 유물의 보존적 차원에서 고정적인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디자이너의 기획에 따라 새롭게 개발된 다양한 제어시스템과 기구를 사용한다면, 조명이 전시 공간을 구성하고 연출하는 새로운 전시 매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지금까지의 박물관 조명은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 중심의 연출이 주로 이루어졌다면 앞으로의 조명 사용은 공간 연출을 위한 다양한 형태와 범위로 나아갈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박물관의 조명은 보존적 측면과 연출적 측면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시스템의 개발과 디자이너의 실험적인 시도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박물관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기획전시에 공간을 기획하거나 조명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Lighting in the museum is essential to appreciating the exhibits and to giving a strong impression of the spac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new types and directions of relic exhibition lighting by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exhibition lighting. The study also provides an important basic resource for designing lighting in museums that exhibit relics, using the actual case study of “Masterpieces of Buddhist Sculpture,” which is a special exhibition hel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Method)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lighting and ways of using lighting when planning for exhibition production in traditional relic exhibition museums. The content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conservative level and designing level. A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conducted in the first instance,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study method, the basic concepts of lighting when designing a museum’s lighting, such a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seum’s lighting, are organized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o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ighting in the “Buddhist Sculpture Exhibition - from statue of the Buddha to Gandhara and Seorabeol.” The conclusion is deduced fro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Result) First, lighting in the museum poses a serious risk factor as it can potentially damage the exhibit; it should thus be constantly researched and developed. While the technical study of elements such as tools and lamps is important, this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operational study of designers and of users. Second, to ensure the correct colors of the exhibit are presented, the choice of the lamp’s color temperature and color rendering are important. To enhance the appropriate form expression and concentra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irradiation angle, amount of light, and adjustment of luminance. Third, the use of lighting at museums until now has tended to adjust the amount of fixed light at the conservative level of relic. However, if various control systems and tools developed according to designers’ plans are used, lighting will function as a new exhibition medium for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and production. (Conclusion) While the lighting of museums has thus far focused on conservation, the use of lighting in the future will include various types and scopes for directing the spa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to design the space of various types of exhibitions and to establish lighting plans in museums.

      • KCI우수등재

        비대칭적 중방향 교통류 대응을 위한 이동식 중앙분리대 활용 버스전용차로 도입 전략 분석

        김태완(Kim, Taewan),정연식(Chung, Younshik),전교석(Jeon, Gyo Seok),김원길(Kim, Wongil) 대한토목학회 202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2 No.2

        중앙 가변차로제는 비대칭적 중방향 교통류에 의한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평가되어 왔으나, 교통안전에 대한 문제로 국내에서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동식 중앙분리대 시스템은 교통안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일시적 버스전용차로 운영과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교통혼잡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도시고속도로 대상으로 이동식 중앙분리대 활용 버스전용차로 운영 전략에 대한 설정 절차 및 최적의 대안에 대한 평가 절차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한강변 서측 2개의 도시고속도로 대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오전 혼잡시간대 일시적 운영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향후 유사 시스템을 활용한 버스전용차로 운영 전략 수립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Lane management with a central variable lane(s) (or reversible lane) where the traffic flow is temporarily reversed in one or more lanes during peak periods has been evaluat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alleviate congestion caused by tidal traffic flows. However, due to traffic safety issues, such a movable barrier system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supplement the existing its operation facilities such as static and/or dynamic signs and special pavement markings. In addition, when combined with a bus exclusive lane strategy, its effectiveness could be greatly increa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easibility analysis procedure for operational strategies of a bus-exclusive lanes using a barrier transfer system (BTS) for urban expressways.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wo urban expressways on the west side of the Han River in Seoul. As a result, temporary operation during rush hour in the morning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bus-exclusive lane operation strategies using similar systems in the future.

      • KCI등재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시기 전시 디자인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민희 ( Lee Minhee ),김주연 ( Kim Jooyun ),김원길 ( Kim Wo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의 경향은 콘텐츠와 전시 환경의 통합적 계획을 필요로 하는 공간 경험의 전시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중의 문화·예술 향유 욕구는 경험을 통하여 충족되어지며, 경험적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양질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전시디자인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시 디자인의 공간 경험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던 20세기 초아방가르드 시기의 전시 디자인에 주목하고자 한다. 아방가르드 시기 대표 미술 전시들을 통해 전시디자인 특징을 시대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동시대 현대미술 전시디자인의 공간 체험적 연출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유효한 디자인 특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방가르드 전시의 특징을 분석하고 아방가르드 전시의 계획 방법, 계획 요인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행한다. 아방가르드 시기 전시 디자인의 특성을 추출하여 공간적, 상호 관계적, 형태적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연출에 대한 세부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세부 요인을 분석의 틀로 계획하여 아방가르드 시기의 대표성을 띠는 현대 미술 전시에 적용하여 새로운 공간 경험에 대한 디자인 특성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20세기 초아방가르드 시기를 대표하는 전시의 전시디자인 연출 요소는 관람자와의 상호 관계적 연출 요인에 따라 영향의 차이가 있지만 구축성, 역동성, 비선형성 연출 요소에 따른 공간의 확장적 특성과 동적 시각성, 공간 인식성에 따른 형태적 연출의 응시적 특성이 가장 많은 부분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본 연구는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시기에 기존의 것을 타파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실험적 욕구들이 분출되면서 전시 환경에 있어서 공간적 경험이 중요시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 디자인의 연출 특성이 관람 환경과 관람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간 경험을 위한 전시 디자인 연출 특성은 구축성과 역동성, 비선형성 요인을 통해 공간의 확장적 특성이 나타나야 하며, 시각 영역 계획을 통한 형태적 연출의 특성이 나타나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현대 미술 전시 디자인의 전시 환경과 몰입도 높은 공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ent trend of exhibitions is characterized by the exhibition focusing mainly on spatial experiences that require the integrated plan of contents and exhibition environment.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ocus on exhibition design of the avant-garde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which studies on the spatial experience of exhibition design were conducted vigorously. We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design through the perspective of fine art exhibitions representative of the avant-garde period and to analyze the valid design characteristics so as to use them as the directing elements of modern art exhibition design in contemporary times. (Method) As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vant-garde exhibition was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long with that,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planning methods and planning factors of avant-garde exhib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esign in the avant-garde period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spatial, interrelational, and morphological aspects, and the detailed factors for directing were derived. The derived detailed factors were plann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were applied to modern art exhibitions representative of the avant-garde period so a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for novel spatial experiences.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directing elements of design for exhibitions representing the avant-garde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had differences in terms of influence according to the directing factors of interrelation with the audience, but there was a preponderance of the extended characteristics of space according to constructability and dynamicity of the directing elements and nonlinear directing elements, along with the stare-lik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al directing according to the dynamic visuality and spatial recogni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patial experiences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exhibition environment as the existing ones were overthrown and experimental desire surged for new things in the avant-garde perio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esign could lead to formation of the viewing environment and viewing attitude. The exhibition design directing characteristics for spatial experience requires the expandabl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o be manifested through the constructability and dynamism of factors and non-linearity factors, an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al directing should manifest itself through visual domain planning. Aforesaid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lan necessary for providing the exhibition environment of modern art exhibition design and highly immersive space experience in the period ahead.

      • KCI등재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이민희 ( Lee¸ Minhee ),김주연 ( Kim¸ Jooyun ),김원길 ( Kim¸ Wo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예술은 정치·사회·환경적 변화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공간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국립 미술관의 건축적 변화의 분석과 해석이 아닌 환경적 변화와 미술관 역할의 변화 양상에 따른 기능적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기존의 미술관 공간 연구가 건물의 외관, 내부 물리적 공간의 분석 등 건축학 측면으로 연구가 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환경의 변화, 운영의 변화, 미술 전시의 변화, 즉 기능적 측면에서 미술관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립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변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미술관의 공간 운영 전략을 위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미술관 공간의 변화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미술관 공간의 변화를 시대적, 운영적, 사회 요구적 변화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 공간을 변화하게 하는 요인으로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세 가지로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미술관 공간의 변화에 대해 검증한다. (결과) 분석 결과, 오늘날 미술관 공간은 장소성이 높게 나타나며, 미술관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미술관의 기능적 측면의 변화로 인한 공간의 특성은 기관의 면적과 규모가 클수록 전시·교육·연계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이 우수하다고 해서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 지속성이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람 서비스 측면으로는 휴게공간이 더 넓게 제공될수록 사용자의 편리성과 이용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 미술관의 공간 형태는 규모가 커질수록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변화가 미술관의 공간 운영 형태를 변화하게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국립 미술관 공간 활용 계획에 앞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rt, the trends of the times for people to enjoy culture have changed with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National Museum of Arts has a duty to ensure that the right of enjoyment of culture is recognized as a people's basic righ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changes of the National Museum of Arts in Korea. It tries to derive each factor by analyzing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diachronically, and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is study should serve as academic research material for the space operation strategy of the art museum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Method) This study proceeded on literature reviews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It analyzed spatial changes by dividing them into periodic, operational, and socially demanding ones, and then analyzed the factors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from three aspects: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 The study then prepared a framework for analysis to verify the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high placeness in the art museum, a factor that bes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useum. The functional change in the art museum showed that the larger the area and scale of the institution,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and publicity, as it has run various programs for exhibitions, training, related cultural events, and so on. However, excellent accessibility was not proportional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publicity, and persistence. In terms of viewing service, except for exhibition halls, the more rest facilities built, the more convenient and usable, and participation and public performance appeared in the same indicator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patial form of art museums today becomes a “complex cultural space” as its scale increases, with significan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and publicity. Therefore, changes in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s dictate how art museums use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nction as basic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when planning space utiliza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