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치료 원칙 변화에 따른 신생아 Bochdalek 탈장의 예후

        서진영,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애란,김기수,피수영,김인구,Seo, Jin-Young,Nam, So-Hyun,Kim, Dae-Yeon,Kim, Seong-Chul,Kim, Ai-Rhan E.,Kim, Ki-Soo,Pi, Soo-Young,Kim, In-Koo 대한소아외과학회 2006 소아외과 Vol.12 No.2

        1989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외과에서 치료받은 신생아 Bochdalek 탈장 6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989년 3월부터 1999년 말까지 조기수술, 과호흡, 수술시 흉관의 삽입을 시행한 I기(33예)와, 2000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지연 수술, 최소한의 호흡 요법과 고빈도 환기 요법, 일산화질소 흡입 요법을 병행하고, 수술시 흉관의 삽입을 제한한 II기(34예)로 나누어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I기의 경우 33예 중 20예가 생존하여 60.6 %, II기의 경우 34예 중 25예가 생존하여 73.5 %의 신생아기 생존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하지만 II기에서 생존율이 향상된 경향을 보임으로, II기에 불필요한 수술은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나쁜 예후 인자를 갖는 예에서 치료 원칙의 변화가 의미 있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연수술, 호흡요법, 일산화질소 흡입요법 각각의 영향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없었던 것은 이번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수술 전에 충분하게 제반 상태가 안정된 후에 시행하는 지연 수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며, 수술시 흉관 삽입은 피하는 것이 좋겠다. 수술 전후의 고빈도 환기 요법과 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considerable controversies in the management of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By 1997, early operation, routine chest tube on the ipsilateral side and maintainingrespiratory alkalosis by hyperventilation were our principles (period I). With a transition period from 1998 to 1999, delayed operation with sufficient resuscitation, without routine chest tube, and permissive hypercapnia were adopted as our practice. High frequency oscillatory ventilation (HFOV) and nitric oxide (NO) were applied, if necessary, since year 2000(period II). Sixty-seven cases of neonatal Bochdalek hernia from 1989 to 200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re were 33 and 34 cases in period I and II, respectively. The neonatal survival rates were 60.6 % and 73.5 %,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period I, prematurity, low birth weight, prenatal diagnosis, inborn, and associated anomalies were considered as the significant poor prognostic factors, all of which were converted to nonsignificant in period II. In summary, improved survival was not observed in later period. The factor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for poor prognosis were converted to be nonsignificant after change of the management principle. Therefore, we recommend delayed operation after sufficient period of stabilization and the avoidance of the routine insertion of chest tube. The validity of NO and HFOV needs further investigation.

      • KCI등재

        임상 ; 자궁내 장천공으로 인한 태변성 복막염에 대한 연구

        전종근 ( Chong Kun Cheon ),김대연 ( Dae Yeon Kim ),김성철 ( Seong Chul Kim ),김인구 ( In Koo Kim ),심재윤 ( Jae Yoon Shim ),원혜성 ( Hye Sung Won ),이필량 ( Pyl Ryang Lee ),김암 ( Ahm Kim ),김애란 ( Ai Rhan E. Kim ),김기수 ( Ki S 대한주산의학회 2007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8 No.3

        목적: 본 연구는 산전 혹은 출생 시 태변성 복막염으로 진단된 신생아들의 임상적 특징과 수술군과 대조군과의 차이점 및 수술을 예측하는 위험인자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89년 6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로 입원된 신생아 중 산전 또는 출생 시 태변성 복막염으로 진단된 53명을 대상으로 수술군과 수술이 필요치 않았던 대조군으로 분류해 두 군간의 다양한 차이를 비교하였고, 수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후향적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태변성 복막염으로 산전 진단된 41명(77%)을 포함하여 총 53명의 신생아의 평균 재태연령은 36±3.4주, 출생체중은 2,819±755 g였다. 산전 초음파 소견은 석회화가 가장 많았고, 수술 당시 소견으로는 회장 폐쇄가 가장 많았다. 첫 수유시기와 완전 수유시기는 비수술군에서 각각 1.4±1.5일과 4.2±1.9일이였고 수술군에서는 11.3±10.9일과 32.3±24.7일이였다. 수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는 수술 전 인공환기요법과 제왕절개술이 필요한 경우였다. 생후 12개월 경의 발육상태는 10백분위수 미만의 키, 몸무게, 두위를 보인 영유아의 비율은 각각 14%, 33%, 그리고 33%였다. 단장 증후군은 2/41명(4.9%), 생존율은 총 50/53명(94%)이었다. 결론: 자궁 내 태변성 복막염을 지닌 신생아들의 높은 생존율은 정확한 산전진단과 신속한 외과적 처치 및 신생아 집중치료로 기인되었다고 사료되며 본원의 자료가 앞으로 산전 상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to stud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intrauterine meconium peritonitis, differences of various factors in between those who required operation and those who did not, risk factors leading into operation, and prognosis in the era of high prenatal diagnosi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53 patients was done. Various factors for operation group (n=41) and non-operation group (control, n=12) were compared. The risk factors for operation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for 53 including 41 (77%) of prenatally diagnosed cases were 36±3.4 weeks and 2,8l9±755 g,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antenatal sonographic finding was calcification. The most common etiology was ileal atresia. The first and full feeding was at 1.4±1.5 and 4.2±1.9 day, respectively for control (l1.3±10.9 and 32.3±24.7 day). Risk factors for operation included requirement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esarean delivery. Overall survival rate was 94%. Survivial rate of those who were antenatally diagnosed was 97.6% in comparison to 83.3% who were not. The growth at 12 months was satisfactory. Conclusion: Favorable outcome of intrauterine meconium peritonitis is reassuring and stems from multidisplinary team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