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저작권 제한원리의 헌법적 해석

        김송옥(Kim Song-Ok)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法學論文集 Vol.30 No.2

        Digital technology seems to bring about changes on two grounds. First, by enabling the making of perfect copies of copyrighted works for little cost, digital technology threatens to increase unauthorized use of copyrighted works. Second, digital technology increases the public’s access to others’ creations by enabling authors to create and distribute works of all kinds through the internet. The world, however, have concentrated on the first situation, and almost all countries have been strengthened the protection for authors by reforming their own Copyright Act. For example, U. S. Congress enlarged the duration of copyrights by 20 years in the 1998 Copyright Term Extension Act(CTEA), it is likely to influence on other countries. The limitation of a tendency like this is necessary, so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restrictions on copyrights and for balancing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e Copyright Clause, Article 22,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provides as to copyrights: “the rights of authors are protected by law.” The authority to issue copyrights stems from the same Clause in the Constitution that guaranteed the freedom of Knowledge & Arts. It is explained that the Clause is “both a grant of power and a limitation” and that the congress may not overreach the restraints imposed by the implied constitutional purposes, ‘discovery of truth’ and ‘cultural progress.’ It is intended to encourage the creativity of authors by granting of exclusive rights to their respective writings and discoveries. But the requirements of originality, idea-expression dichotomy and that those exclusive grants be for limited times serve the ultimate purpose of promoting the progress by guaranteeing that useful information will enter the public domain. In addition to spurring the creation and publication of new expression, copyright law contains built-in Freedom of Speech accommodations. For the right to receive or have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free flow of idea, the “fair use” defense allows the public to use not only facts and ideas contained in a copyrighted work, but also expression itself in certain circumstances. After all, copyright’s limited monopolies are compatible with free speech principles. Indeed, copyright"s purpose is to promote the creation and publication of free expression. Accordingly, I analyzed that the general principles as mentioned above is still valid in the Digital Age, and that some provisions of the Copyright Act in force fail constitutional review under both the Knowledge & Arts Clause and Free Speech Clause’s guarantee.

      • KCI우수등재

        가명정보의 안전한 처리와 합리적 이용을 위한 균형점 - 데이터3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를 겸하여 -

        김송옥(Kim, Song-Ok)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9 No.2

        데이터3법의 개정으로 인해 가장 주목받는 동시에 가장 중요한 이슈는 가명정보의 개념 도입과 가명처리한 정보간의 결합, 이른바 데이터 결합에 관한 명시적 규정을 둔 점이라 할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비식별조치를 거친 개인정보의 활용을 장려해 왔으나, 데이터3법의 개정을 통해 그동안 가이드라인의 효력문제와 더불어 가명정보 활용에 제약으로 여겨졌던 여러 불명확한 요소들을 제거하고 무엇보다 가명정보 처리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3법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가명정보의 확실한 법적 근거를 바라고 지지해왔던 산업계나 이를 반대하는 시민단체 모두 문제를 제기하고 있기 때문에, 무엇이 문제가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접점을 어디로 설정할 것인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데이터3법을 비판하면서 그 근거로 해외입법례를 들고 있는데, 간혹 잘못된 소개로 오히려 혼란을 주는 경우도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소개와 분석을 요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가명정보 및 데이터 결합과 관련하여 일본, 유럽연합, 우리나라의 법률을 비교함으로써 우리 데이터3법이 가명정보의 처리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은 아닌지, 정보주체의 권리들을 제대로 보장하고 있는지, 궁극적으로 데이터3법이 추구해야 할 보호와 이용간의 조화를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비교법적으로 보면, 우리나라만이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처리할 수 있는 가명정보의 처리 목적을 통계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의 3가지로 제한하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만이 데이터 결합을 정부가 지정한 결합전문기관을 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정보주체의 권리들과 정보처리자의 의무들을 한 줄의 조항으로 배제 또는 면제하는 유래 없는 보호체계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은 또한 어떠한 헌법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지, 즉 정보주체의 동의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관계, 형벌법규의 명확성의 원칙, 입법권위임의 법리, 법률간 정합성의 문제 등 다양한 차원에서 접근해보았다. As a result of the revision of 3 Acts regarding to Data, the most notable and important issue is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seudonymous data and the combination of pseudonymous data(also known as data combinations). Before the revision, the government had encourage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non-identification measures through Guidelines, but this revision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eliminated various unclear factors that have been considered obstacles on the use of pseudonymous data under Guidelines and secured clear legal grounds for processing pseudonymous data. However, there is not only a positive assessment of 3 Acts regarding to Data. As the industry, which had hoped for and supported a clear legal basis for processing pseudonymous data, and civic groups against it are pointing out the problem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is the problem and how to resolve it. In addition, more accurate introduction and analysis are needed as there are cases where criticism of 3 Acts regarding to Data is often made based on misintroduced laws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this paper contains a specific assessment of whether our 3 Acts regarding to Data excessively restricts the processing of pseudonymous data, whether it properly guarantees the rights of data subjects, and ultimately whether 3 Acts regarding to Data achieves a harmony between protection and use that should be pursued, by comparing the laws of Japan, the European Union, and Korea. According to comparative analysis,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limits the purpose of processing pseudonymous data to 3: statistical purposes, scientific research purposes and archiving purposes in the public interest. Also, only Korea is required to conduct data combination through a specialized institution designated by the Protection Commission or the head of the relate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However, the rights of data subjects and the obligations of data controllers are excluded or exempted through a single line provision. Thus, this paper makes various assessments of these problems on the constitutional levels, especiall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ent of data subject and Right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and applying the rule of law.

      • KCI등재

        AI 법제의 최신 동향과 과제 - 유럽연합(EU)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송옥(Kim, Song-Ok) 한국비교공법학회 2021 공법학연구 Vol.22 No.4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은 지금 시대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이자, 가장 뜨거운 관심 대상이다. 기술로 인해 인간이 누리게 될 편익과 그것이 가지고 올 경제적 효과로 인해 세계 각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전략을 세워 과감한 투자와 규제 개선을 추진함은 물론, 기술 및 인재 교류, 공통된 표준 마련 등을 위해 국제적 협력을 이어나가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EU)이 이른바 ‘AI 법안’을 제안한 것은 이미 충분히 예고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획기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기술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법이 역으로 기술의 혁신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사고로 인해 윤리규범 단계에 머물러왔었기 때문이다. GDPR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 국의 개인정보보호법에 영향을 미친 것처럼 ‘AI 법안’ 역시 어떠한 파급효과를 불러올지 관심이 지대한 것도 사실이다. 또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각국의 AI 전략과 정책에는 반드시 법제 개선이 그 내용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 법제 개선을 통해 AI 기술의 개발과 구현, 상용화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그 편익을 극대화하고, 한편으로는 AI 기술이 가져올 위험성을 통제함으로써 안전하게 그 편익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자는 전략인 것이다. 더욱이 어느 국가나 법률시장의 선점을 통해 자국의 법이 세계 표준으로 자리잡길 바란다는 점에서 이 분야의 경쟁도 향후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유럽연합이 ‘AI 법안’을 제기하기까지의 과정과 법안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시사점을 얻고, 지금까지 우리나라 AI 정책의 현황 및 법제의 제·개정 현황을 점검한 후, 이들을 바탕으로 미래를 위한 AI 법제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해보았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keyword and issue. Due to the benefits that humans will enjoy from AI and its economic effect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setting up strategies at the national level to promote bold investment and regulatory improvements, and continue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exchange technology and talent and establish common standards. The recent proposal of the European Union (EU) to the so-called ‘AI Act(AI Regulation)’ is considered to be very groundbreaking, even though it has already been fully announced. Because the law does not keep up with the speed of technology, it may rather hinder technological innovation, so it has remained in the ethical norm stage. Just as the GDPR affected personal data protection laws of each country, including Korea, 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what ripple effect the ‘AI Act’ will bring. In addition, AI strategies and polici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each country necessarily include legal improvement as one of the contents. The strategy is to maximize the benefits by removing obstacles to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AI technology through legal improvement,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AI technology can safely enjoy the benefits by controlling the risks it brings. Moreover, competition in this field is also expected to intensify in the future, given that any country hopes its laws will become the world standard through the preoccupation of the legal marke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gained implications by reviewing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proposal of AI Act, checked the current status of AI policies and legislation in Korea so far, and presented directions and tasks of AI legislation for the future.

      • KCI등재

        잊혀질 권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송옥(Song-ok Kim) 한국언론법학회 2015 언론과 법 Vol.14 No.1

        본 연구는 ‘잊혀질 권리’(right to be forgotten)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이에 따라 우선 ‘잊혀질 권리’의 정확한 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시작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검토결과, ‘잊혀질 권리’란 결국 ‘링크삭제청구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잊혀질 권리’의 법적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와 관련한 선행논문을 살펴보면, ‘잊혀질 권리’를 새로운 기본권으로 보는 견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하나로 이해하는 견해, 법률상의 권리로 이해하는 견해로 나눌 수 있다. 생각건대, ‘잊혀질 권리’는 과거 오프라인 시대에 자연스럽게 대중의 관심과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사실들이 인터넷 시대 들어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재현되는 상황에 처함으로써 정보주체들이 갖는 현실적인 괴로움을 덜어주고자 고안된 법률상의 권리일 뿐이다. 그리고 ‘잊혀질 권리’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잊혀질 권리’는 역사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고 이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접근권을 방해함으로써 표현의 자유에 대한 중대한 제약이 될 수 있으며, 인터넷에서 검색서비스가 갖는 중요성을 고려할 때 ‘링크삭제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은 정보의 독점을 초래하여 인터넷 이전 시대로 복귀하는 것이 될 것이라는 점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잊혀질 권리’를 도입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대하여는 회의적이지만, 도입해야만 한다면 제한적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일반적으로 공개된, 적법하고, 진실된 정보에까지 ‘잊혀질 권리’를 적용하는 것은 위험하며, 표현의 자유나 학문의 자유 등의 행사를 위해서 링크삭제청구를 거부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understanding of what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I developed this paper by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a result, the right to be forgotten means the right to erasure of link. And I studied the legal character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this article.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opinions are trichotomized, the first one is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a new constitutional right. The second one is the right is included in the right of information privacy, and the last ons is the right is the legal right. In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right is the regal right designed for the data subjects suffering from unerasable old information relating them on the internet. Also, I analyzed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the critical view. The right has a falsifiability of history, and may restrict the freedom of expression significantly by disrupting access to information by internet users. Furthermore, I contended that the approval the right to erasure of link,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earch engines, will cause the monopoly of information, so that our society will return to the past before the internet society. Finally, I examined the necessity for the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t is not positively necessary, but if it is needed, it must adopt narrowly. Especially, the right to be forgotten should not apply to open, lawful or true information, and a proper defence rejecting the claims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for the exercis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academic freedom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안면인식기술을 이용한 생체인식정보의 활용과 그 한계 : 실종아동 등 신원확인을 위한 법제를 중심으로

        김송옥(Kim, Song-Ok),권건보(Kwon, GeonBo)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1

        안면인식기술이 국가에 의한 감시의 도구로 전락할 위험성에 따라 그 확대에 대해서는 논쟁적이다. 중국이 이 기술을 전면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권침해국가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이 기술의 금지 또는 확장을 놓고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감시의 위험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는 감시의 효과가 곧 기본권 제한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대한 제한만이 아니라 표현의 자유, 일반적 행동의 자유 등 여러 기본권들을 동시에 제한할 수 있다. 특히 CCTV에 안면인식기술이라는 AI 기술을 적용할 경우, 감시는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정보주체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유럽연합의 기본권보호청(FRA)이 안면인식기술에 관한 보고서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기술은 또한 테러와 같은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거나 실종아동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찾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전면적인 금지는 어려울 전망이다. 또한 수집의 편리성이라는 이 기술의 효용으로 인하여 출입국심사와 치안 등 제한적인 영역에서는 이미 사용 중에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은 실종아동을 찾기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의 필요성에 착안하여, 안면인식기술을 적용한 CCTV 영상 처리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여러 위험성과 법적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러한 위험성을 차단하고 문제점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의 GDPR를 포함한 개인정보보호법제를 참고하고, 안면인식기술에 관한 유럽연합내 최근 논의들을 따라가며 참고할만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어떠한 선한 목적의 정보처리시스템이라도 그 오용과 남용의 위험성은 항시 존재하므로, 시스템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법률에 근거한 시스템 도입 및 운영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나아가 목적제한의 원칙, 데이터최소화의 원칙 등 개인정보처리의 기본원칙들을 준수하도록 하고 정보주체의 열람권, 처리거부권, 정정권 등 개인정보보호권을 보호하며, 이러한 원칙들이 준수되고 있는지와 아울러 정보주체의 권리들이 제대로 보장되는지에 관한 정기적인 개인정보 영향평가와 감독기구에 의한 모니터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expansion o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s controversial depending on the risk of becoming a tool for surveillance by the state. While China is accused of being a human rights violation state by the full use of the technology, active discussions are underway over the ban or expansion of the technology in the U.S. and European Union. The reason why the risk of surveillance should be taken seriously is that the effect of surveillance is linked to fundamental rights violations. It can simultaneously limits not only privacy secrets and freedom, but also various fundamental rights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and general freedom of action. In particular, if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one of AI technology, is applied to CCTV, the risk of surveillance increases because it can be done remotely and in real time without the data subject recognition. But as the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FRA) points out in its report on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t is also unlikely to be a full ban, given that it could be a quick and efficient way to respond to situations like terrorism or find missing children. In addition, due to the utility of this technology, the convenience of capture, it is already in use in restricted areas such as immigration and security. Under this background, this paper aimed at diagnosing various risks and legal problems posed by the introduction of CCTV systems applied wit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nd suggesting ways to prevent the risks and solve the problems. To this end, it was intended to refer to the EU’s data protection laws, including GDPR, and to follow recent discussions within the European Union on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to obtain some useful implications. Ev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ood purposes, there is always a risk of misuse and abuse, so it is essential to operate the system based on law to improve transparency in its introduction and operation. Furthermore, it should comply with the basic principles relating to personal data processing, such as the principle of purpose limitation and data minimization, protect the right of data subjects, such as right of access, right to object and right to rectification. Also, regular privacy impact assessments and monitoring by supervisory bodies should be conducted on whether these principles are being followed and whether the rights of data subjects are properly guarante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피아노 교육이 어린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Hye Kyong Kim),김송옥(Song Ok Kim)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1 교과교육연구 Vol.22 No.1

        It is a well-know fact that the piano music educa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hildren’s character and personality. The curriculum of music subject enacte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lso states that Musical talent of child is developed through a desirable music experience and it makes a harmonious personality by cultivating rich sentiment and creativity. This study examines early education to be treated most importantly in piano music education and its subjects are children of four and eleven-year old.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s this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s of piano education, analyzes the proper time of piano education in contents, goal and music education of piano education, examines how piano education affect music education of children nd then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ano education on the formation of children’s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