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관련 변인들에 대한 관계 구조분석

        김설화(Seolhwa Kim),최민수(Minsoo Choi)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교사 효능감, 조직몰입에 대한 입체적 검사를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직접 효과를 살펴보는 동시에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를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 감성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 팔로워십, 교사 효능감, 조직몰입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원장 감성적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은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원장 감성적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원장 감성적 리더십, 교사 팔로워십, 교사 효능감, 조직몰입의 향상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방안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 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ructural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emotional leadership, followership, a sense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It also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and identified the teachers’ degree of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variables. This research involved 894 childcare teachers; it was carried out over 3 weeks, from Feb 5, 2018 to Feb 28, 2018. A “fit” of measurement model and a structural regression model were evaluated using a Chi-Square(χ2), standardized Chi-Square (NC: Normed Chi-Square),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of Steiger-Lind’s 90% confidence interval, TLI (Tucker-Lewis Index), a relative fit index, CFI (Comparative Fit Index), and an SRMR (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Residua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 was verified at a .05 significance level. First,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emotional leadership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Followership, a sense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emotional leadership and followership of childcare teachers had direct effect on their sense of efficacy. Third, it found that the emotional leadership and followership of childcare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improvements in emotional leadership, followership, a sense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It also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variabl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gain an inclusive understanding of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보육교사의 COVID-19로 인한 직무스트레스, COVID-19에 대한 두려움, 코로나우울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설화(Seolhwa Kim),조지현(Jihyun Cho),최은정(Eunjeung Choi)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COVID-19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와 코로나우울의 관계에서 COVID-19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와 그릿의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보육교 사의 심리적 건강 증진과 코로나우울 예방, 실질적 개입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호남권(광주, 전남, 전북)과 영남권(부산, 대구, 경북, 경남)에서 재직 중인 보육교사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IBM SPSS Statistics 25와 Process macro 3.5의 model 15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 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COVID-19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코로나우울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 과정에서 보육교사의 COVID-19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COVID-19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하여 코로나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VID-19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코로나우울로 가는 직접경로에서는 그릿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COVID-19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COVID-19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하여 코로나우울로 가는 간접경로에서는 그릿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보육교사의 COVID-19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우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코로나에 대한 두려 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보제공이나 전염병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과 함께 보육교사의 그릿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the prevention of Corona blue, and the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for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on effect of fear of COVID-19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including its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orona blue in childcare teachers due to COVID-19. Methods: This survey targeted 224 childcare teachers in service in Honam region (Gwangju, Jeollanam-do and Jeollabuk-do) and Yeongnam region (Busan, Daegu,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5 and Process macro 3.5 (Model 15). Results: First,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due to COVID-19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ona blu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stress for childcare teachers due to COVID-19 affected Corona blue. The fear of COVID-19 functioned as a medium in this proces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direct path of job stress, due to COVID-19, to Corona blue.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was significant in the indirect path of job stress, due to COVID-19, to Corona blue with the fear of COVID-19 functioning as a medium,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n reduce the fear of COVID-19, an education regarding the epidemic control method, and a strategy to improve the grit of childcare teachers are needed in order to prevent the depression among childcare teachers caused by job stress due to COVID-19.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 관계

        최민수 ( Choi Minsoo ),김설화 ( Kim Seolhw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 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관련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리더십, 놀이성을 잠재적 예측 변인으로 설정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형성과정을 구조화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광주ㆍ전남지역 만 3, 4, 5세 유아 60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 리더십, 놀이성,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용 21버전과 SPSS AMOS 23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조절 능력, 놀이성, 리더십, 사회적 유능성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력, 리더십, 놀이성 변인들 간의 직접효과는 .05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이러한 직접효과는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놀이성, 그리고 리더십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놀이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리더십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리더십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 능력, 놀이성의 간접효과는 .05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놀이성은 리더십을 통해 사회적 유능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직접·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 능력, 놀이성, 리더십 변인들을 함께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of variables that affect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self-control, leadership and playfulness of children were selected as potential prediction factors through precedent studies about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nd a model is established that structuralizes the process of building a social competence.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we have measured the self-control, leadership, playful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606 children living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in their age three to five.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MOS program for SPSS P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playfulness, leadership, and social competence variables was significant at 05 level. Second, direct effects of self - control, leadership, and playfulness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 at .05 level. In other words, this direct effec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control, playfulness, and leadership of the children, the higher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and the higher the self-control and playfulness of the children, the higher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self-control and playfulness affecting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leadership as a mediating variable was significant at .05 level. In other words, self-control and playfulness of children can indirectly influence social competence through leader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f-control, playfulness, and leadership variabl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 KCI등재

        상담자의 진정성과 작업동맹과의 관계 : 역전이 관리 능력을 통한 포커싱적 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주은선(Joo, Eunsun),효정(Kim, Hyojeong),김설화(Kim, Seolhwa)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진정성과 작업동맹과의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 능력을 통한 포커싱적 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청소년상담센터, 대학상담실, 사설 상담기관 및 유관 기관관등에서 현재 상담을 하고 있거나 상담 경험이 있는 상담자 214명을 대상으로 진정성, 작업동맹, 역전이 관리 능력을 측정하여, SPSS를 통해 기술통계와 AMOS로 구조적합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진정성은 역전이 관리 능력의 매개를 통해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포커싱적 태도는 상담자의 진정성과 작업동맹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포커싱적 태도의 수준에 따라 역전이 관리 능력과 작업동맹 수준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상담자 진정성이 역전이 관리 능력을 매개하여 작업동맹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포커싱적 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합한 조절된 매개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상담 관계 안에서 상담자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untertransfer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ity and working alliance of counselors, as well a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ocusing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9 counselors who have had or are currently in counseling, and who live in Seoul or metropolit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untertransference mediated the counselor’s authenticity between working alliance.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regulation effect of focusing attitud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ertransference and working alliance. Third, the regulated mediated effect of focusing attitudes controlling the mediated effect of countertransference between counselor’s authenticity and working alliance. has been verifi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ies, discuss ways to grow and develop the counselo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그릿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매개로 하여

        표정민(Jungmin Pyo),김설화(Seol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그릿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소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그릿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매개로 하여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J도 및 K광역시의 승급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보육교사 3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 18.0을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그릿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그릿은 소진의 정서적 고갈에는 직접적인 부적 영향력을,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소에는 간접적인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소진의 개인적 성취감 감소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그릿의 중요성에 대한 재고를 제안하고, 추후 보육현장에서 그릿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 및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grit, stress coping methods, and burnout, and investigated how childcare teachers’ grit affects burnout through stress coping methods. Methods: Three hundred and sixty-three childcare teachers, who had completed the promotion curriculum in J province and K metropolitan cities,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e aforementioned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 Results: First,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grit ha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to the active stress coping method. Second, a direct negative effect of grit was noted on exhaustion, an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f grit was noted on depersonalization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active coping with stress reduced the low personal accomplishment, one of the component of burnout, among childcare teachers.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re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grit among childcare teachers and suggests that renewed strategies and education are required to promote grit in childcare institu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노년기 사회참여활동,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표정민 ( Jungmin Pyo ),조준 ( Joon Cho ),김설화 ( Seolhw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중 「고령자를 위한 라이프코칭 및 재무설계서비스」가 이용자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0세 이상 노인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 18.0을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첫째,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참여한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노년기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넷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참여활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행복감의 중요성에 대한 재고를 제안하고, 추후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의 심리적 건강증진과 실질적 개입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ife Coaching and Financial Planning Service for Seniors” among Jeollanam-do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s affects user happines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78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MOS 18.0 was u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had an effect on self-estee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in old ag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self-esteem has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happines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and self-esteem. This study proposes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happiness in old age, and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promotion and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are nee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