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절초음파를 이용한 노치 피로균열의 균열깊이 평가

        김미령(Mei-Ling Jin),이태훈(Tae-Hun Lee),박병준(Byung-Jun Park),장경영(Kyung-Young Jhang)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9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9 No.5

        이 논문에서는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진전된 CT피로시험편의 노치 피로균열을 대상으로 회절초음파를 이용하여 균열깊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실험에 의해 검증하였다. 특히 균열선단 이외에 노치와 같은 또 다른 회절파 발생요소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회절파 성분들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탐촉자 스캔에 의한 영상화 및 전파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균열이 없는 시험편과 균열이 있는 시험편에 적용하였다. 실험 및 분석의 결과 주파수가 클수록 그리고 탐촉자의 굴절각이 클수록 정확한 측정이 가능했고, 4㎒의 60°-60° 탐촉자 조합의 경우 오차 0.38 ㎜ 이내로 균열깊이가 측정되었다. 제안 기법은 균열 선단부가 미세하여 회절파 세기가 미약하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므로 미세 균열의 검사 및 깊이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oposed a methodology based on ultrasonic diffraction technique to inspect the depth of a crack initiated from a notch of CT specimen by fatigue test, and its usefulness was verified by experiments. Especially, in order to identify accurately the diffractive waves from the crack tip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extra diffractive elements such as a notch, we have tried imaging by transducer scan and analyzed the propagation path of diffracted wave. Two specimens with and without a crack were experimented. Higher frequency and larger refractive angle of transducer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error in the measurements, and the measured crack depth showed an error less than 0.38 ㎜ in case of 4 ㎒ 60°-60°. The proposed methodology is applicable to weak diffractive sources, and so that it would be useful to inspect micro cracks and for their depth sizing.

      • KCI등재

        입원 아동 환자를 위한 로봇용 기능성 게임 앱 사용성 평가

        김미령(Mei-Ling Jin),김정은(Jeong-E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2

        본 논문은 입원 아동 환자들에게 병원생활에 익숙함을 더하기 위해 병원을 배경으로 개발한 로봇용 기능성 게임 앱의 사용성 평가를 하기 위한 것이다. 전문가 10명과 입원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앱의 사용성 평가는 전문가용(MARS) 평가도구와 사용자용(uMARS)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개발된 로봇용 기능성 게임 앱의 사용성 평가 결과는 전문가용은 3.67±0.342점이고 아동용은 3.68±0.592점으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평가에서는 심미성(aesthetics)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평가에서는 기능성(functionality)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주관식 의견에서도 동일하게 전문가의 의견에서는 게임 배치, 스타일의 일관성 등을 지적하였고, 아동의 의견에서는 방법을 익히기 쉬움, 화면 이동 등 위주로 기술하였다. 두 집단에서 모두 참여를 통한 관심 유도(engagement) 측면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반영하여 향후 입원해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기능성 게임 앱을 개발한 로봇에 실제로 장착하고 사용성 평가를 다시 진행할 때 의미 있는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serious-game apps for robots that are being developed for hospitals to add familiarity to hospital life for hospitalized patients. We conducted a usability test of 10 experts and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patient experience.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eveloped apps was based on the professional (MARS) evaluation tool and the user (uMARS) evaluation tool.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of the serious game robot app were 3.67 ± 0.342 for professionals and 3.68 ± 0.592 for children. The expert group obtained the highest score in the aesthetics category, and the user group obtained the highest score in the functionality category. In the subjective comments, the experts pointed out the game layout and the consistency of the style. According to the children, the methods were easy to learn, and the screen movement was mainly described. Both groups received low ratings in terms of engagement through particip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reference material when the functional game app is actually installed in the robot and the usability test is conducted again after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 KCI등재

        ADHD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동향 분석과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문제행동유형을 중심으로

        길한아 ( Kil Han-ah ),김미령 ( Jin Mei-ling ),마지성 ( Ma Ji-sung ),정다이 ( Jung Da-i ),( Sakura Yusuke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 연구는 ADHD 학생들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행동중재 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문제행동 유형별로 분석하며, 이들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문제행동중재의 방안과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질적 수준을 갖춘 단일대상연구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첫째,‘부주의(주의산만)’를 종속변인으로 한 논문은 총 18편이였으며, 다음으로는‘과잉행동’이 11편,‘충동성’이 9편,‘공격행동’이 8편,‘자리이탈’이 4편,‘방해 행동’이 3편,‘과제불이행’이 2편,‘소리내기’와‘울화’는 각각 1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CEC 질적 지표의 8가지 영역인 맥락과 환경, 참여자, 중재자, 중재설명, 중재충실도, 내적타당도, 종속변인, 자료 분석을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 영역과 자료 분석 영역이 96%로 가장 높은 충족률을 나타냈으며, 중재 충실도 영역은 가장 낮은 충족률을 보인 영역으로 13.3%의 충족률을 나타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과 ADHD 학생을 위한 문제행동 중재 관련 연구의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behavioral problems of ADHD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level of quality of these behaviors, I would like to elaborate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that need to be taken to draw implications and to make a single subject study with a qualitative level. The firs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18 papers with "Carelessness (distr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11 studies with "Hyperactivity" , 9 studies with "Impulsiveness", 8 studies with "Aggressive Behavior", 4 studies with "Out of seat", 3 studies with "Interrupting", 2 studies with "Noise" and 1 study with "Fuss". Second, we analyze the eight areas of CEC qualitative indicators : context and environment, participant, mediator, explanation of intervention, fidelity of implementation, internal validity, dependent variable and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dependent variable area and data analysis area had the highest rate of 96%, and the fidelity of implementation area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which was 13.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tasks of the study on intervention problem behavior for ADHD students were discussed.

      • 저소득 노인을 간호대상으로 한 유헬스 간호사에 관한 문화기술지

        최한나 ( Han Na Choi ),김정은 ( Jeong Eun Kim ),김미령 ( Mei Ling Jin ),이지산 ( Ji San Lee ),김석화 ( Suk Wha Kim ),정수용 ( Su Young Jeong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4 간호학의 지평 Vol.11 No.1

        This study sought to ascertain and describe u-Health nurses (ubiquitous healthcare nurse, tele-nurse)` experiences working with low-income elders in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s of 6 nurse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in community places in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city of Seoul. The ethnographical analysis method, proposed by Spradley, was used to analyze interview data. Results: We identified two major clusters of themes on common issues and concerns experienced by nurses: "work environment" and "daily work life." In addition, ten themes and fourteen sub-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field work data. Conclusion: The study provide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nd services of u-Health nurses in Korea, of which much remains to be understood, as the healthcare services they currently provide are limited. Moreover, its findings could empower novice nurses and expand nurs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competence.

      • KCI등재

        외현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 메타분석의 활용

        조성희(Cho Sung Hee),손승현(Son Seung Hyun),고서연(Ko Seo Yeon),백영선(Paek Young Sun),김미령(Jin Mei li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일반학생을 기준으로 외현화 장애에 속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CD),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특성의 차이는 주효과로서 평균효과크기, 그리고 조절변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의 차이를 포함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1996년부터 2017년까지의 학위논문 20편, 학술지 논문 27편, 총 47편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CMA 2.0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영역에서의 세부변인 중 사고문제가 일반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큰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영역의 경우 ADHD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안이, CD학생은 우울과 분노, 냉소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 영역의 경우 ADHD학생은 일반학생과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문제행동 영역의 경우 세 집단 모두 일반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행의 경우 모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어 일반학생보다 외현화 장애학생들이 더 많은 비행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DHD, CD, ODD집단 별로 출판유형, 출판년도, 학교 급 변수를 조절변수로 투입한 결과, ADHD학생의 경우에만 출판유형과 학교 급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ADHD학생의 심리적 특성이 학술지보다 학위논문에서, 중·고등학생보다 유·초등생에서 일반학생과 더 큰 차이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외현화 장애학생의 중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have externalizing disorders which includ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Conduct Disorder(CD),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ODD). This study included total of 47 studies which include 20 unpublished theses and 27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6 to 2017. This study used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program to analyze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thinking problem variables in the cognitive domain showed large effect size. In the emotional domain, ADHD students showed high Q-value in anxiety and CD students showed high Q-value in depression, anger, and cynicism compared with typical students. Futhermore, in the social domain, ADHD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typical students. And in the problem behavior domain, all three externalizing disorde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typical students. In particular, all three groups showed large effect size in juvenile delinquenc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students who have externalizing disorder created more delinquent problems than typical students. The publication type, publication year, and school level variables were used as moderators for ADHD, CD, and ODD group differences analysi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nly ADHD group showed moderator effect in publication type and school level. Finally, implications for externalizing disorder studen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