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업계열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분석

        김리진(Leejin Kim),장인희(Inhee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계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상업계열 고등학교 2학년생 312명이며,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총 21개로, 자기유능감, 대인관계기술, 내적통제감,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의 8개 유기체 변인, 학교변인(교사와의 관계, 수업과 학습, 교실분위기, 학교복지시설, 학교주변환경), 친구변인(교우관계), 가정변인(가족기능성, 부의 학력, 경제적 수준)의 9개 미시체계변인, 부모-교사 관계, 부모-자녀의 친구관계의 2개 중간체계변인, 한국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의 1개 외체계 변인, 학벌지상주의의 지지정도의 1개 거시체계변인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는 교사와의 관계, 한국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 정서활용, 부모-교사 관계 순위로 5개 변인이 유의하였다(R²=45.3%). 생태체계 변인 중 미시체계 변인의 영향력은 35.7%로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상업계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것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investigate,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significant predictors affecting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312 students(2nd grade) of commercial high school in Kyonggido.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by SPSS Win 22.0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re were 21 independent variables: 8 organism variables (self-competence, interpersonal skills, internal control, mood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capability), 9 microsystem variables(school variable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learning, classroom climate, school welfare facilities, school environment/ peer variables: peer relationship/ family variables: family functioning, education level of fathers, economic status), 2 mesosystem variables(parent-teacher relationship, parentchildrens peer relationship), 1 exosystem variables(satisfaction with Korean educational system), 1 macrosystem variables(Koreans primal belief in educational achiev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atisfaction with Korean educational system, peer relationship, emotional capability, parent-teacher relationship(R²=45.3%); and the effect of microsystem was the strongest(R²=35.7%). This research is meaningful of analyzing school life satisfact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in terms of ecological perspective.

      • 유아교사의 다문화 유아 문제행동 지도 경험과 요구

        김리진 ( Kim Leejin ),최형성 ( Choe Hyung Sung )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22 예술과 문화 Vol.1 No.0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심층면접을 통해 다문화 유아와 부모의 특성 및 문제행동 지도의 어려움을 분석하고, 유아교사가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해 어떠한 도움을 요구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1시간 이상씩 각 2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한 후 Bogdan와 Biklen(1992)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유아의 특성은 언어 표현 능력, 인지발달 및 성취정도, 신체발달, 기본생활습관(의복, 청결, 자조), 또래와의 상호작용, 식습관 등 6개 범주로 구분되었다. 다문화 유아 지도를 위해 주로 개별지도와 또래의 도움 유도 방식을 사용하지만 문제행동이 개선되지 않은 채 반복적으로 발생함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부모에 관하여 대다수 유아교사들은 이들과의 긍정적 및 협력적 관계 맺기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들은 다문화 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 여러 형태의 지도방법 개발,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방법 지원, 다문화가정에 대한 교사교육, 인적·재정적 지원, 외부 전문기관와의 연계 시스템 도입 등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유아, 다문화 부모, 다문화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 및 지원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experience and demands of guidance for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 Ten infant teachers were interviewed twice in-depth for more than an hou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rocedures of Bogdau and Bikeleu (1992) after the transcri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infants were categorized into 6 characters, including language expression ability, cognitive development and achievement, physical development, basic lifestyle (clothing, cleanliness, self-help), peer interaction, and eating habits. And teachers mainly used individual guidance and buddy’s help to guide multicultural infants, but teachers experienced no improvement in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 Also, most infant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y establishing positive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 parents. The teachers requested effective guidance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infants, multicultural par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eacher education programs, financial support and human resource systems, and linkage systems with the external specialized organiza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understand multicultural infants, multicultural parents, and teachers who guide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for them.

      • KCI등재

        아이돌보미 사업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현황 및 개선방안

        김경은(Kim, Kyoung-Eun),임정하(Lim, JungHa),김리진(Kim, Leejin),김주현(Kim, Joo Hyun),김연아(Kim, Youn-A),이아연(Lee, Ayeo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안전한 아이돌봄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아이돌보미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2020년 신설된 아이돌봄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현황 및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재직 중인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 106명, 서비스제공기관 책임자 88명, 광역모니터링단 10명으로부터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이돌봄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일반적 배경, 업무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전담인력의 업무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담인력의 학력, 전공, 자격증, 이전 경력은 다양하였고, 이들은 자신의 업무 중 아동학대 의심가정 사례관리 업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이 업무에 대한 이해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돌봄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업무 실행 상황을 살펴본 결과, 아이돌보미 채용 시 인․적성 검사 및 인성교육 실시 업무 외의 주요업무 실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돌봄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효율적 업무 수행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의견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 의심가정 사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해 사례관리 전담인력 역량강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이돌보미 아동학대사례관리 전담인력의 업무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points for the task of the case manager of child abuse prevention,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n 2020 as the demand for safe child-care support services and the need to reinforce monitoring for child-care providers indcreas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6 case managers of child abuse prevention working at the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and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centers, 88 persons in charge of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and 10 members of the regional monitoring group across the nation. For data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background, majors, qualifica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f the case managers of child abuse prevention varied and they considered ‘the case management for families with suspected child abuse’ to b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ir tasks, with that being said they showed the lowest level of understanding in that task. Second, the case manag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major tasks other than ‘personality and aptitude tests and personality education when hiring child-care provid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ase managers need capacity-building training to perform their ‘case management tasks for families suspected of child abuse’.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xpertise in the task of the case manager of child abuse prevention.

      • KCI등재

        유아 교사들의 창의성교육에 관한 개념을 인식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

        장인희(Inhee Chang),김리진(Lee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유아 교사들이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과정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접대상자는 서울 소재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교사 4명이며,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하여 면접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중 木下(기노시다)의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가 집단이라 할 수 있는 유아 교사들은 독특한 사고, 풍부한 표현력 등이 창의성교육의 핵심개념이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주로 아이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이 이루어지는 학습, 누리과정 교수 등을 통해서 창의성 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보다 앞서 수행된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개념을 탐색한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유아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관하여 상당히 일치된 핵심개념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비교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이 일관성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유아들에게 개념 및 교수방법 등이 양호하게 잘 전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qualitative study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conception by kindergarten teachers in Korea. The interviewees are 4 current teachers in kindergarten in Seoul. Data was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by Kinoshita, a kin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kindergarten teachers who experts in child education understood key concepts of creativity as unique thinking and rich expression ability. Such concept is mainly acquired at the class in which direct encounter with children is made. Besides, they formed the concept of creativity through reading books and articles, graduate studies and teaching Nuri Curriculum. In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concept of creativity targe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y had shared wide concept, but kindergarten teachers shared only some key concepts on creativity. This result would mean that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the early children education is relatively coherent and such concept and teaching method are relatively well delivered to children at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아동의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이아연(Lee, Ayeon),김리진(Kim, Lee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 J시 초등학교 5∼6학년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3.0과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불안의 일부 하위요인과 자동적 사고의 일부 하위요인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불안 전체와 일부 하위요인 그리고 자동적 사고 전체와 일부 하위요인은 6학년이 5학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사회불안, 완벽주의와 자동적 사고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만이 사회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동적 사고는 완벽주의, 사회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아동의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동적 사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지적 접근을 통한 개입이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완벽주의 아동의 심리적 불편감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불안이 완벽주의에서 자동적 사고를 매개로 강화되는 인지적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인 사고로 변화시키는 인지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불안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치료적 함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mediated by automatic thoughts. 24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 city of Jeonbu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4.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social anxiety and automatic thoughts. Also, according to grade,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and automatic thoughts. Second, only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 sub-factor of perfection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lso, automatic though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ird, automatic thoughts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is means that cognitive intervention can help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scomfort of perfectionist children experienced in social situations. This study confirms the cognitive process in which children’s social anxiety is reinforced from perfectionism through automatic thoughts. The study has therapeutic implications. A cognitive program that changes irrational thoughts into rational thinking can be effective in alleviating social anxiety in children.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관계기술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

        홍서은(Hong, Seo-eun),김리진(Kim, Leej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관계기술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 J시의 초등학교 4∼6학년 2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SPSS 23.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version 3.5.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또래관계기술의 하위요인인 협동/공감 요인은 여아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조절방략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수준 요인은 남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방략 전체와 하위요인인 체험적 수준 요인은 4학년이 6학년 보다, 인지적 수준 요인은 4학년이 5, 6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관계기술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조절방략이 갖는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 아동이 성장하면서 축적된 부모의 역기능적인 양육방식과 관련된 경험이 아동의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정서조절방략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아동이 적절한 정서조절방법을 습득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아동의 또래관계기술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relation to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250 elementary school sudents in J city, Jeonbuk, participated in the study. SPSS 23.0 and PROCESS Macro Model 1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ly cooperation/sympathy, a sub-factor of peer relationship skills, differed by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ades and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sulted in gender differences, but there were no grade difference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differed in both gender and grade. Seco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Therefo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relation to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Also, the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skills by utilizing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최형성(Hyung Sung Choe),김리진(Leej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 두 변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232명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통제변인을 통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스트레스 대처방식별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대처 방식 중 문제중심 대처와 회피중심 대처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서중심 대처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중 회피중심 대처만이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세 변인 간 관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신장 및 감소 예방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fant teachers in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32 infant teacher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measures included interpersonal stress questionnaires, psychological well-being questionnaires, and stress coping style questionnaires. The moderating effects were examin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fter controlling the control variables. Results Interpersonal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stress coping styles, problem-focused coping and avoidance-focused cop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emotion-focused coping was nega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avoidance- focused coping styl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s Th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helping us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