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한국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사회과학" 도입의 조건

        김동노 ( Dong No Kim ) 이화사학연구소 2012 梨花史學硏究 Vol.0 No.44

        This paper examines how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ocial conditions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in Korea brought abou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ocial sciences. The national crisis of Korea in this period, which originated both from internal deteriorations of the old system and external threats from foreign imperial forces, necessitated the transplantation of Western cultures, institutions and religions. Political reformers and scholars in Korea actively tried to ``translate`` Western social sciences, since they believed that Western countries became affluent and strong mainly due to their superiority in knowledge and technology. Driven by the practical goal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they preferred some fields of social sciences to others, especially those that could be utilized for political reforms and economic developments: political science, jurisprudence, and economics. In political sciences, new definitions of such key terms as the state and the people (or kukmin) were introduced to emphasize the patriotic spirit of the Korean people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modern state. In jurisprudence, theories of constitution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from political elites, to the extent that they dreamed to implant the constitutional monarch system in Korea, following the Japanese model of political modernization. In economics, Korean scholars paid attention to various economic theories and theorists related to the subjects of strengthening national wealth. In all three fields of social sciences, the introduction of foreign disciplines did not accompany serious conflicts with the traditional ones, since some Korean scholars interpreted Western social scientific knowledge in terms of time-honored Confucian teachings.

      • KCI등재
      • KCI등재

        일제시대 식민지 근대화와 농민운동의 전환

        김동노(Kim Dong No)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1

        이 글은 식민지 시기인 1920년대와 1930년 초반의 농민운동이 그 이전의 농민운동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독특한 특징이 있음을 밝히고 그러한 특징이 나타난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려고 한다. 조선시대의 농민운동이 주로 지세문제를 둘러싸고 국가 및 국가관료에 대항하는 형태였던 것에 반해, 일제시대의 농민운동은 주로 지주에 대한 소작쟁의로 전환되어 계급투쟁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농민의 정체성에 있어서나 농민운동의 경향에 있어서 흥미로운 사실이다. 전통적으로 농민운동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있었던 만큼 일제시대의 농민운동은 외부에서 강제로 이식된 식민국가에 대해 더욱 강하게 저항할 것으로 기대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농민운동이 계급운동으로 전환되었던 것이다. 농민운동에서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 이유로 이 연구는 식민지시기에 이식된 근대적 제도에 주목한다. 토지조사사업은 이 변화의 시작이었고, 뒤따른 지세제도의 변화는 약화되어 가던 농민공동체를 무너뜨리는 데 기여했다. 특히, 총액제의 공동납 제도에서 개인세제도로의 변화는 조선시대에 조세를 둘러싼 반국가 투쟁에서 나타난 지주와 농민들 사이의 연합을 통해 형성되었던 농민공동체 구성원들의 결속력을 크게 약화시켰다. 식민지 시기의 개인세제도 하에서 농민공동체는 구성원들 사이의 경제적 이익이 충돌하면서 내부적으로 분할되었고, 농민공동체와 국가의 관계는 새로운 차원으로 바뀌게 되었다. 농민 공동체에 기반한 이전의 생존전략이 가진 유용성이 사라지면서 농민들은 새로운 전략을 수립해야만 했고, 농민들은 날로 확대되는 지주의 착취와 시장경제의 무자비한 작동에 맞서 스스로를 결속시켜야 했다. 이렇게 됨으로써 농민들은 계급의 이익에 근거한 생존전략을 세우게 되고, 계급의 경계선을 따라 지주와 농민이 대립하는 구조로 바뀌게 된 것이다. 농민들은 제국주의 지배에 맞선 민족적 저항에 동참하기 이전에 생존을 위한 계급투쟁을 벌여야만 했고, 식민통치라는 극단적 상황 속에서 피식민지인으로서 농민들이 가질 수도 있었던 민족정신은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채 협소한 계급 적대감으로 변형되고 말았다. 이는 식민지 시기 조선에 근대적 제도들이 도입되면서 조선인들이 지불해야만 했던 대가였다. Peasant uprisings in the colonial period exhibited some peculiar characteristics that were absent in peasant protests before Korea was colonized. Unlike peasant movements during the Chos??n dynasty, when protests against the state or state bureaucrats dominated, the peasants waged class struggles against landlords in the colonial period, mainly in the form of tenant disputes. This fact shows an interesting distortion of peasants' identity, since it i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the peasants' struggles against the state would intensify after colonization, to the extent that the state they faced was not theirs but a colonial one imposed from outside. In this paper, I analyzed how this transition from nationalist identity to class identity occurred in the peasantry. In this analysis I attended to the fact that the transition was never natural, but resulted from the establishment of modern institutions introduced by Japanese colonialism, which resulted in the separation of individual peasants from their communities. The cadastral land survey w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modern transformation, and the subsequent land tax law critically damaged the demising old peasant community. The change in land tax from a corporate to an individual tax especially dissolved the binding force of community members in their anti-state protests. The social impact of this change was striking. Not only was the peasant community internally divided because of the disharmony of economic interests among its members, but more importantly its relationship with the state acquired a new dimension. Now that the old survival tactics had lost their effectiveness, peasants needed to develop new strategies without relying on the old community morale. This situation required the peasants to find unity among themselves in order to face the ever-increasing exploitation from landlords and more generally the ruthless operation of market economy while paying much less attention to the nationalist struggle against the foreign invaders. Thus, the division between the landlords and the peasants was completed along the class line, and the latter confronted the former in tenant disputes to safeguard their subsistence in the face of landlords' attempt to maximize economic interest.

      • KCI등재

        반농반노― 일제시대 농민운동의 근대적 전환과 노동운동의 형성

        김동노(Dong No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7 현상과 인식 Vol.31 No.4

        이 글은 일제시대의 농민과 노동자들이 어떤 동기에서 무엇을 위해 사회운동을 전개했으며, 어떤 사회적 영향을 끼쳤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특히 농민운동과 노동운동 사이의 연계에 근거하여 두 운동 사이의 관련성과 농민운동 경험의 노동운동으로의 전이 가능성을 분석의 초점으로 삼았다. 당시의 농민들이 전개한 대표적 농민운동이었던 소작쟁의는 주로 소작권을 지켜 생존유지를 추구하려는 의도에서 발생했다. 1920년대 이후 산업화와 함께 농민들은 근대적 노동 주체로서 산업 노동자로 변화해 갔다. 산업화는 농민들에게 경제적 풍요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희망보다 경제적 파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가능성만을 제공해 주었다. 이 가능성은 상당수의 농민들로 하여금 농촌을 떠나 도시로 가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도시로 옮긴 이들도 농촌에서 못지않은 열악한 경제적 상황에 처했고, 이들의 경제적 고통은 노동운동을 통해 표출되었다. 식민지 시기 노동운동의 독특성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1930년대 중반 이전인 1930년대 초반에 이미 상당한 정도로 앞서 발전했다는 사실이다. 이 독특성이 나타난 것에는 외부의 조직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농민과 함께 노동자는 사회주의 계열 정치집단의 주된 조직화대상이었다. 그런 점에서 이들은 사회주의라는 근대적 이데올로기의 힘을 얻어 자신들의 불만을 표현했던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들은 예전의 농업적 기반 위에서 근대적 사회운동을 전개하는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흔히 반농반노로 표현되듯이, 이들의 이농은 농촌으로 부터의 완전한 이탈이 아니라 한 발은 근대의 공간으로 옮기면서도 다른 한 발은 여전히 전통의 공간 속에 남겨 두는 그런 형태였다. 그런 만큼 이들이 농촌에서 경험했던 소작쟁의는 도시에서의 노동운동을 위한 중요한 자산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social movements by peasants and industrial laborers who comprised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It mainl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ovements and the transfer of social movement experience of participants. Peasant movements in this period are best represented by the tenant dispute which originated from the defensive mobilization of poor peasants struggling to protect their subsistence. With the spread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20s, the peasants were transformed into modern industrial workers. Although the industrialization accompanied a new source of economic suffering instead of economic prosperity, the peasants actively utilized this new outlet to escape from the extreme poverty in the rural side and migrated to urban industrial areas. Economic difficulties they faced in urban areas endowed them with a good motivation for the participation in a new type of social movement, the labor dispute. One peculiarity of labor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can be found in its premature development in the early 1930s even before the full scale industrialization started in the mid-1930s. Social conditions underlying this peculiarity are various,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the labor movement by outside leadership, mainly by socialist political groups. In this sense, the industrial workers, being employed in the modern economic sector, seemed to be equipped with modern ideology of socialism.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still possessed the traditional basis of their lives and social movements. As their social existence at that time was expressed in terms of ‘half-peasant and half-industrial worker’(pannong panno), their migration was never the complete escape from rural areas ; they placed one of their feet in the modern industrial site and the other in the traditional rural village. This ambivalence positively worked for the transfer of the experience of peasants in the traditional rural area to the modern industrial one, including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social movements. The transfer of social movement experience in the two different types of social movement persuasively testifies why the labor movement prematurely developed in the early 1930s, the period exactly when the tenancy dispute reached its apex.

      • KCI등재

        근대 초기 서구 경제학의 도입과 식산흥업론

        김동노(Dong No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13 사회이론 Vol.- No.43

        이 연구는 개항기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조선에 도입된 서구의 경제학에 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왜 당시의 지식인들은 서구 경제학을 필요로 했는지, 이 때 도입된 서구 경제학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되었는지, 어떤 특징과 한계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분석하려 한다. 19세기 후반 국가적 위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가운데 하나가 서구의 지식을 도입하는 것이었고, 특히 당시 국가들사이의 경쟁을 상업을 둘러싼 것으로 인식하는 진화론이 성행하면서 서구 경제학이 국가를 강하게 만드는 비결로 받아들여졌다. 다수의 유학생이 일본에 파견되면서 일본에 퍼져있던 서구 경제학이 조선의 지식인에게 전달되었고, 동시에 국내의 지식인들도 일본과 중국을 통해 서구 경제학을 받아들였다.일본과 마찬가지로 조선에서도 서구 경제학은 고전파 자유주의와 신역사학파의 영향력 하에 있었으며 이들이 가진 서로 다른 이론적 지향에도 불구하고 둘은 절충된 모습으로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때로 이들이 충돌하게 될 때는 자유주의 경제학이보다 큰 영향력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국가 부강의 수단으로서 서구 경제학에 기반한 다양한 식산흥업론이 제안되었는데,특히 국세에 관한 기초조사, 사회경제적 인프라의 구축, 주식회사의 설립, 무역의 진흥 등에 있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 방안들은 대체로 근대적인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수립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서구 경제학이 지닌 이러한 공헌과 함께 결정적인 한계도 역시 드러났는데, 당시 조선이 맞이한 위기의 근원은 개인을 넘어서는 국가적 차원의 것인데도 그 해결방안을 개인적 차원에서 찾으려는 것이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에 도입된 서구 경제학이 조선 사회를 근대로 이끌어가는 중요한 길을 열었던 것은 분명하다.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some important problem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conomics to the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y Korea needed it, how it was imported, which economic thoughts dominated, and what limitation it contained.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its national crises, originating from internal deterioration and external threat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competition among the states in this period was basically economic one, Korean intellectuals eagerly imported Western economic thoughts to make their country strong. Western economics in Korea mainly came from Japan with the med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and it was dominated by British liberalism and neo-historical school of Germany, as was the case in Japan. This foreign academic discipline contributed in various ways to the development of ideas of economic growth, especially by asking for national censuses, the construction of socio-economic infrastructures,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ions, and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trades. Nevertheless, the application of Western economics to the plans for national strength bred a critical pitfall, in that it limited the role of the government to the minimum level while individuals were believed to be active agents of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불편한 이웃

        김동노(Dong-no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50

        이 글은 한국과 일본 사이에 일어난 역사적 상처에 대한 기억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화해의 문제를 분석하려고 한다. 일제 식민지 지배와 태평양 전쟁이 끝난 지 7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국가 사이의 상처는 지속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시로 확대재생산 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일본에서 우경화 바람이 거세지면서 이러한 경향이 강화되어 다시 역사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은 첨예화되고 있다. 왜 이렇게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사이의 용서와 화해는 힘든가? 이미 많은 기존 연구에서 이에 대한 답을 제시했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과 민족주의의 입장에 입각한 역사해석, 외부에 있는 공동의 적을 만듦으로써 내적 단결을 강화하려는 정치가들의 전략적 선택, 잘못된 역사적 행위를 망각하는 일본인의 무관심 등이 그 대표적 예이다. 물론 이러한 주장들이 가진 정당성은 인정되지만 이 문제의 근원을 역사적 사실의 왜곡이나 상대방에 대한 비난만으로 돌리는 한에서는 문제의 해결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새로운 접근을 통해 두 나라 사이의 역사의 갈등이 지속되고 화해가 어려운 이유를 찾으려고 한다. 특히 이 연구는 두 나라에서 추구하는 정의(justice)의 개념이 다름에 초점을 두고, 어떻게 이 차이가 역사적 갈등을 해결 불가능하도록 만드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Max Weber의 개념을 사용하자면, 일본에서 생각하는 정의의 개념은 형식적 정의(formal justice)에 가까운 반면 한국에서는 실질적 정의(substantive justice)에 유사하다. 일본은 국제법이나 조약 등과 같은 형식적 절차를 통해 역사적 과오를 해결할 수 있고 해결되었다고 믿고 있다. 일본은 태평양 전쟁이 끝난 후 이루어진 법적 과정(특히 도쿄 전범재판)을 통해 자신들의 잘못은 이미 처벌되었으며, 또한 1965년의 한일 국교정상화를 통해 이루어진 보상과정을 통해 한국인에 대한 보상은 완결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더구나 자신들의 역사적 잘못을 재판의 대상이 된 전쟁(중일전쟁, 태평양전쟁)으로 한정하고 이에 대한 잘못은 시정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한국의 입장은 일본의 잘못이 재판이나 조약과 같은 형식적 절차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 것이며 따라서 잘못에 대한 진심 있는 사과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은 일본의 잘못이 전쟁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식민지 지배 전체인 만큼 사과의 대상도 식민지 지배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인다. 이와 같이 한국과 일본의 서로 다른 정의의 개념과 실현 방식이 역사적 과오를 서로 다르게 규정하고 이러한 이질성이 두 국가 사이의 화해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런 만큼 역사의 갈등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서로의 관점을 상대화하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wounds of Japan and Korea`s history that are impeding improved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Nearly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n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Pacific War, yet the damage done to both countries has not only failed to heal, but continues to accumulate. As conservative politics increasingly gain support in Japan, historic hostilities have once again sharpened. The question remains, why do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continue to elude us so long after the fact? Many preexisting studies have offered theories: primarily, politicians have strategically distorted historic facts and presented self-servingly nationalistic interpretations of history and thus painted a common enemy for the sake of internal solidarity. Of course, the historic background and realistic legitimacy of such arguments must be acknowledged. However, as long as the root of these problems is yoked to a cycle of historic misrepresentations or hostile criticisms, resolution seems nearly impossib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bring a new perspective to the question of why historic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seems so difficult.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concept of `justice` significantly differs for each nation and how that difference may ultimately stymie mutual understanding. Borrowing Max Weber`s terminology, if Japan`s definition of justice hews close to `formal justice,` Korea`s perception is closer to `substantive justice.` Japan believes that its wrongs were officially absolved through the legal proceedings that followed the Pacific War (particularly the Tokyo war crime trial and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hile any necessary restitution to Korea was fulfilled through the compensation portion of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65. Furthermore, Japan limits its acknowledged historic misdeeds to the conflicts covered in court trials (namely,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and considers all such wrongs committed during these wars to be rectified. However, Korea considers the damage inflicted by Japan to be an issue of morality - thus rather than trial or treaty, a genuine and sincere apology is the proper resolution. Furthermore, Korea considers Japan culpable not only for its actions during wartime, but also for the entirety of its colonial occupation. Thus to the Korean perspective, the entire history of Japanese colonialism is grounds for apology. As such, Japan and Korea`s disparities in the definition and fulfillment of justice lead to fundamentally different perspectives on historic memories and present a considerable obstacle to amity between the two nations.

      • KCI등재

        국가와 사회의 권력관계의 양면성: 국가 자율성과 국가 역량의 재검토

        김동노 ( Dong-no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6

        이 글은 국가의 본질을 선험적으로 결정하려는 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 국가를 보다 분석적으로 이해하려고 했다. 특히 관심을 둔 것은 국가 권력의 강약을 결정하는 사회적 역사적 조건이다. 이를 위해 국가와 사회의 역학 관계를 국가의 자율성과 역량이라는 두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국가의 자율성과 역량은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기 보다는 구체적인 사회적 역사적 조건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는 전제 하에 이 글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탐색했다. 국가의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조건으로는 사회 계급들 사이의 힘의 균형, 정치와 경제의 분리, 국가의 영토성의 기능, 자원동원의 공정성, 그리고 문화적 상징을 통한 정당성의 확보에 관해 논의했다. 국가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는 제도적 기반의 확립을 통한 국가성의 실현, 정보의 통제를 포함한 사회기반력의 확보, 자원동원과 통제의 효율성과 효과성, 사회의 일부집단과 외부세력의 결합, 국가 내 하위 권력중심의 형성을 통한 분권화, 사회적 해체위기의 경험에 관해 논의했다. 이러한 분석적 접근에 입각하여 국가의 자율성과 역량을 교차시킴으로써 국가의 힘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다양한 국가의 모습을 이 분석 틀 속에 위치시켜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다양한 이론적 자원과 경험적 자료를 활용했는데, 특히 중요한 문제의식은 국가를 사회 속에 위치시켜 보려는 것이다. 국가와 사회의 관계는 단선적이기 보다 복합적이고, 하나의 고정된 형태이기 보다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국가가 사회에 영향을 주는 만큼 사회도 국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국가를 사회의 한 부분으로 보고 국가-사회의 관계 속에서 국가를 인식하는 방식만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국가의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intends to find an alternative to the essentialist approach of the state, the two most representative of which are Hegel``s and Marx``s notion of the state. Regra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Hegel developed the concept of the state as an absolute being, standing over and beyond civil society and overcoming the inherent contradictions of civil society, while Marx perceived the state as an instrument of class domination by criticizing Hegel``s ideal concept of the state. The basic assumption underlying this paper is that the state in the real world will be placed somewhere on the continuum composed of the two extreme polarities, each suggested by Hegel and Marx. With the belief that the strength of the state vis-a-vis society varies depending upon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in which it is situated, this paper identifies the conditions that encourages (or discourages) the strength of the state, which is further divided into two realms: its autonomy and capacity. Of various conditions that determine the state autonomy, this paper picks up four critical ones: t he balance of power among social classes, the ( institutional and personnel) separation between the economy and politics, the territoriality of the state, the principles of resources mobilization from society, and cultural legitimacy of the state. Also the conditions that facilitate the state capacity include the stateness as manifested by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al power of the state, the effective and efficient control of resource flows, the collaboration of social groups with external forces, decentralization by the growth of power centers within the state, and the experience of social dislocations, like the war or colonization. Through the discussions of these various conditio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strength of the state can be better understood when it is placed within the actual contexts of its relationship with society and this relationship is never static but rather dynamic, constantly changing over time and places.

      • KCI등재

        김대중의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김동노 ( Kim¸ Dong-n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통일과 평화 Vol.12 No.2

        이 글은 김대중의 민족주의와 세계주의를 통해 사상가로서 그의 모습을 새롭게 밝히려 한다. 그런 의도에서 이 글은 김대중의 민족주의는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어떻게 민족주의를 넘어 세계주의로 나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대립적 관계에 있는 민족주의와 세계주의는 어떻게 통합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기본적으로 김대중의 사상은 보편적 가치를 추구한다. 따라서 김대중의 사상체계 속에서 민족주의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민족주의는 모든 개인이 아니라 ‘우리’ 민족이라는 한정된 범주를 설정하기 때문이다. 이는 김대중의 보편주의 속에 나타난 특수주의의 요소이다. 그러나 그의 민족주의에서 ‘우리’라는 본원주의의 특징이 강조되는 것은 민족 내부의 단결에 국한되며 북한과의 통일을 언급할 때 가장 그러하다. 그의 민족주의에는 다른 민족에 대한 배타성이 없기 때문에 열린 민족주의 그리고 보편성을 추구하는 세계주의로의 전환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동시에 김대중은 민족주의와 민주주의를 결합시킴으로써 민족주의와 보편적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다. 김대중이 추구한 보편성의 또 다른 모습은 실용성의 가치를 지닌 시장경제이다. 김대중의 민족주의와 세계주의를 관통하는 흐름이 바로 이 실용성이며, 북한과의 통일 논의나 일본과의 관계 재정립에 있어서 그가 주목한 것도 실용성이다. 북한이나 일본과의 관계 개선이 얼마나 도움이 될지를 그는 예견하고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그는 과거를 넘어 미래로 나아가는 민족주의와 세계주의를 주장했던 것이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shed a new light on Kim Dae-Jung’s political thoughts by analyzing his nationalism and globalism. More specifically, I investigat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veness of his nationalism and globalism, and the way he reconciled the contradictory elements in the two ideologies. Nationalism takes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overall framework of his political philosophy, since he generally put emphasis on the universal values, such as human equality, freedom, democracy etc. While he stressed the primordial ‘Weness’ in his nationalism, however, he never evinced exclusiveness on ‘Others’ as well. His nationalism, therefore, inherently contained the potential to overcome the narrow confinement of nationhood and advance towards globalism. Also, he elevated nationalism to the status of universalism by combining it with the universal values of democracy. Another effort to introduce universalism to his arguments of nationalism and globalism was his focus on the efficiency and the practicality of the market economy. He legitimated the necessity to ameliorat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oth with North Korea and Japan on the basis of practical interests. Although he relied upon the rhetorics of nationalism and globalism in his attempts to facilitate the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he anticipated enormous economic benefits from the amicable relationships with the two nations. This anticipation made him to pursue the future oriented policies during his presidency, despite the deep-wounded historical memorie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 KCI등재

        거시이론에서 사건사로, 그리고 다시 거시이론으로? -역사사회학의 연구 경향과 새로운 길의 탐색

        김동노 ( Dong-no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100

        이 글은 역사사회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제도화 되었고,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학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유럽과 미국에서 역사사회학이 자리 잡아간 과정과 변해가는 모습을 검토하려고 한다. 이어서 이러한 제도화와 변화의 과정이 한국의 학문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사회와 역사와 한국사회학 에실린 역사사회학 논문을 경험적으로 분석해보려고 한다. 더 나아가서 앞으로 역사사회학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에 있어 한국의 역사사회학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해보는 것이 글의 목적이다. 역사사회학이 사회학의 발전에 미친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분명하다. 시간의 개념이 들어가지 않는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을 극복하는데 역사사회학이 도움을 준 것은 물론이며 보다 넓게 보면 사회에 대한 심층적 이해도 사회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역사적 접근을 통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역사사회학은 거시 구조이론에서 미시 사건사와 문화연구로 방향을 바꾸면서 새로운 위기를 맞고 있다. 이는 국내 역사사회학의 연구경향에서도 똑같이 발견되고 있다. 거시구조이론이 가진 몰역사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면서 역사사회학의 연구가 단편화되고 파편화되는 또 다른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길은 기존 연구가 가진 단점들을 버리고 장점들을 묶어 하나의 총체적 결합으로 나아가는 것에서 찾아질 수 있다. 특히 사건에 근거한 이론 구축을 확대·심화함으로써 사건과 이론을 새롭게 통합함으로써 탈출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 역사사회학은 한국의 역사적 경험 특히 식민/탈식민의 경험에 근거한 새로운 이론구축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trace back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historical sociology in the U. S. and Europe: how it emerged in the academic field, how it was transformed, and how i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 will also investigate how this general trend is reflected in the research papers of historical sociology in Korea by analyzing those published in Sociology and History (Sahoewa Yoksa) and Korean Journal of Sociology (Hankuk Sahoehak), and how Korean historical sociolog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theories. Historical sociology first emerged in the 1970s with a practical purpose of overcoming ahistorical fallacy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theories, as most representatively exemplified in functionalism. Despite its great contribution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social reality by constructing macro-structural theories, historical sociology faced a new challenge when some scholars criticized decontextualization of these theorie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to steer its attention towards event analyses and cultural studies. This new trend, when pursued in an extreme form, brought about a new crisis by fragmenting theories of historical sociology and abstracting events from the general social theories. One effective way to solve this crisis is to synthesize events with theories and causality with narratives. Historical sociology in Korea will help in developing new social theories as it can construct them based upon historical experiences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colonial modernization and decolonization processes.

      • KCI등재

        대한제국기 황성신문에 나타난 근대적 개혁관

        김동노 ( Dong No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06 사회와 역사 Vol.0 No.69

        This paper intends to discover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reform projects revealed in the Hwangsung Daily and other periodicals published by reform-minded Confucian scholars. Although they inherited the legacy of Confucianism that had buttressed the Chosun dynasty for about 500 years, a national crisi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originating from both internal deterioration and external invasions, compelled the scholars to seek reform projects. In response to this demand, they actively developed ideas of reform projects with the hope that they would save their country from total collapse. Among many reform ideas proposed, the Hwangsung Daily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four realms; moderniz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development of the economy, institutionalization of a formal legal system, and restructuring of the state finance system. In modernizing the educational system, the newspaper proposed to develop a new school system, in which students would obtain more practical knowledge as well as traditional Confucian teachings. The paper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modern economy since it would result in the increase of national wealth. The most modern feature of political system, as espoused by Confucian reformers, w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ormal law by which the arbitrariness of political rulers could be checked. Despite the positive aspects of all these reform ideas, the reform projects of the Hwangsung Daily and other Confucian based periodicals were not radical enough and possessed inherent limits, since they tried to legitimate their reform ideas on the basis of the time-honoured tradition of Confucianism. Modern educational,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s they wanted to develop were not free from the longstanding old problems that had plagued the Chosun dynasty so long. Moreover, the Confucian reforms failed to fully realize the importance of resource mobilization for their reform projects and thus could not devise proper ways to improve the state finance system. The limited radicalism of these Confucian scholars was somewhat inevitable, to the extent that dreamed of a new society in which old principles still domin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