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공업 계열 특성화고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김대들,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rough estimating whether they have satisfied the purpose of the aids and analyzing the related factors. Amo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49 technical high schools which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Among the 49 subjects, 57.1%(28 schools) are reported to be suitable, 36.7%(18 schools) so-so, and 6.2%(3 schools) unsuitable for the curriculums. The curriculu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ere mostly associated with the local strategic business. However, many of them implemented the pre-existed curriculums because they didn't reflect the job analysis of the business properly. To establish more effectiv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most of all, guides for them should be prepared in its level. Also, mi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of school departments should be made to reorganize the current departments which hinder the specialization in curriculums by government or offices of education. Finally, a conference of government departments on the curriculum establishment should be organiz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의 해당 소관 산업 분야 및 지원 목적에 부합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별하고, 관련 내용들을 분석하여, 중소기업청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관련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특성화고 전체 계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49개의 공업 계열 특성화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질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자료 분석을 위한 결정표와 자료 분석 흐름도를 개발하였고, 자료 분석 위원에 의해 교육과정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육성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특성화 분야 및 학과 체제 구축 여부에 대하여, 대부분의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이 요구하는 지역 전략 산업에 부합하도록 학교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고 있었으나, 이와 연계된 학교 인력 양성 목표는 기존의 학교 인력 양성 목표를 그대로 제시하거나 일반 산업의 기능 인력 양성을 위한 목표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일부 학과 및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은 해당 특성화 분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거나, 소수 특성화 관련 교과목만을 교육 내용에 포함시켜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셋째, 내실 있는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①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핵심 산업 분야와 특성화고의 중장기 발전 방안과 연계된 맞춤형 특성화 교육과정이 개발·편성되어야 한다. ② 산업 기술 변화에 따라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 실태에 대한 개선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③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는 학교가 스스로의 자생력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 KCI등재

        기계설계 과목에 적용한 문제중심학습(PBL)이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호,김대들,이병욱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unit of combination of mechanical elements at mechanical design subject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cond,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an academic achievement. The third, to def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ey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a career decision typ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unit of combination of mechanical elements between the groups that apply the Problem based learning and the lecture teaching, I compared the average value of key competencies. As a result, the average of applies Problem based learning group was higher than applied lecture group. Therefore in improving of key competencies, the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e lectu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after comparing the high level with the low level group which apply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rough the comparison group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group.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rose in both groups than before after conduct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It proves that the factors the affect the key competencies are not the student’s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rd, comparing the group which decide to get a job with that decide to go to college in the group that apply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rough the comparison of those two groups. The average of key competencies rose in both groups than before after performing the Problem based learning. It proves that the matters that affect the key competencies are not the career decision type b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인 문제중심학습(PBL)을 기계설계 과목에 적용하여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이 교수․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학업 성취 수준과 진로 결정 유형을 배경 변인으로 설정하여 ‘교수․학습 방법과 직업기초능력’, ‘학업 성취 수준과 직업기초능력’, ‘진로 결정 유형과직업기초능력’ 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계설계과목이 학교 교육과정에 편성된 OO공업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4개반 86명의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8주 동안 각 반별로 6차시씩 총 24차시의 수업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강의식 수업 보다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특히,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 중 문제해결능력과 수리능력에서 문제중심학습이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교수․학습 방법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정도의 차이가 없었으며, 학업 성취 수준이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학업 성취 수준과 관계없이 특성화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학생의 진로 결정 유형에 따라 직업기초능력의 향상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진로 결정 유형이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학생의 진로 결정 유형과 상관없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특성화고교생의직업기초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세종시 특성화고 설립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요구 분석 연구

        안재영,이병욱,김신명,이찬주,김대들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3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demands of the educational demanders such as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Sejong-si for establish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To achieve them, demands recognized by the educational demanders for establish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desirable departments, etc. were analyzed by a survey. The subject target of the survey was students and their parents, selected in Class 1 of the third grade of each middle school in Sejong-si.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demanders had low awareness toward vocational high school, but there were relatively high possibilities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will be newly established in Sejong-si. Second, the educational demanders requested special enrollment system preferred enrollment system for students who want to be employed, possibility to transfer department, verification of promotion system by learning ability, mutual transfer with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automatic transfer system as the educational operation systems of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will be newly established in Sejong-si. As educational systems, they wanted industry-school connective system for activating employment, connective system with the high occup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the field education system of industrial jobs, etc. and as educational standard and range, they wanted the specialized basic education which can be connected with post-secondary education, major in-depth education of industrial field specialized for employment, multi-major education, global professional educatio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start-up education and others. In addition, as educational environment, they wanted dormitory,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recruitment of city hall and industry-school cooperative supporting institution, training of industrial field professionalism for teachers, reduction of class members and others. Third, the educational demanders wanted Depart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oftware, Cuisine․Food and Beverage, Mechanic․Automobile, Cultural Contents, Electricity․Electronics and others as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will be newly established in Sejong-si. As this result and the expected demand of workers in Sejong-si are combined, this thesis suggest that reasonable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will be newly established in Sejong-si were Department of Cuisine․Food and Beverage, Mechanic․Automobile, Cultural Contents and others. 본 연구는 세종시의 중학생과 학부모의 세종시 특성화고 설립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여 세종시 특성화고 설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세종시 중학교 학생 및 학부모가 인식하는 세종시 특성화고 설립에 필요한 수요, 희망학과 등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대상은 세종시전체 중학교에서 학교별 3학년 1학급에서 표집된 학생과 학부모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종시의 중학생 및 학부모는 특성화고에 대해 대체로 낮은 인식을갖고 있지만 세종시에 신설될 특성화고의 진학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종시의 중학생 및 학부모는 세종시에 신설될 특성화고의 교육 운영체계로 취업 희망 학생 특별 전형제(우선 입학제) 실시, 학과 간 전과 가능성확보, 학습 능력에 따른 진급 제도의 다양화, 일반고 학생과의 상호 전학 및편입 자율화를 요구하였다. 교육시스템으로는 원활한 취업을 위한 학교-산업체연계 시스템, 고등 직업교육기관과의 연계시스템, 산업체 직무 중심의 현장 교육 시스템 등을 요구하였으며, 교육 수준 및 범위로는 대학과 연계 가능한 전공 기초 교육, 취업에 특화된 산업체 현장 중심의 전공 심화 교육, 복수 전공교육, 글로벌 전문 교육, 창의적 융합교육, 창업교육 등을 요구하였다. 그리고교육 환경으로는 학생 기숙사 설치, 스마트 교육 환경 구축, 시청(또는 교육청) 에 취업 및 산학협력 지원기관 설치, 교사의 정례적 산업 현장 전문성 강화 연수 보장, 학급 당 인원 수 감축 등을 요구하였다. 셋째, 세종시의 중학생 및 학부모는 세종시에 신설될 특성화고의 학과로 정보통신 ․ 소프트웨어과, 조리 ․ 식음료과, 기계 ․ 자동차과, 문화콘텐츠과, 전기 ․ 전자과등을 요구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더불어 세종시 예상 인력 수요를 종합하여 신설될 세종시 특성화고의 적정 학과는 조리 ․ 식음료과, 기계․자동차과, 문화콘텐츠과, 전기 ․ 전자과, 이․미용과, 금융과, 경영 ․ 사무과로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CIPP 평가 모형을 활용한 시·도교육청 직업교육 발전 방안 분석 연구

        이병욱,정현옥,이찬주,김대들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development plans for vocational education devised by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MPEO) in terms of human/material resources, budget, policies, and local conditions. Some of MPEO had suggested the ways how to establish vocational education but they were not that systematic and didn't have much positive effect in action as they were expe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cribe the better ideas to make more developed and concrete plans for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examining already existing ones accurately. In this study, the latest development plans for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three MPEO are chosen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Also, the analysis model applying CIPP evaluation model and analysis survey tool have designed based on the education scholars' thorough inspection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below: The data shows all the three MPEO didn't diagnose the human resources fully enough in Context stage. Especially, Education Office of B and C insufficiently investigated material resources, also Education Office of A lacked examination about the current and needed budget. In Input stage, the development plans do not include the information about how to secure human/material resources and budget which are needed for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lans. Accordingly, there is concern that the plans could be degenerated into the formal plans. In Process stage, the development plans present not the specific or concrete but very general how-to. Moreover, all the three MPEO focused only one aspect of analysis, whereas the rest of aspects were not reflected well on the plans. Lastly, since the development plans more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m rather than the expected results of the plans, the concrete output from the plans was not come out in Output stage.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development plans lack efficacy of the plans, prediction of the output, and feedback.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들은 현재의 직업교육이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선진화된 직업교육의 선진화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연구하여 구체적인 세부 정책 및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시·도교육청별로 수립된 직업교육 발전 방안이 정확한 진단과 분석을 통해 지역 여건에 맞게 수립되어 있는가와 그 실현 가능성 및 실행에 필요한 자원 등이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연구는 새로운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구안하고자 하는 다른 시·도교육청에 많은 의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4년(2007년~2010년) 이내에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수립한 3개 시·도교육청의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한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고안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거쳐 분석 모형 및 분석틀을 완성하였다. 3개 시·도교육청의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황 단계에서는 공통적으로 인적 자원에 대한 진단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 C 교육청의 경우는 물적 자원에 대한 분석이, 그리고 A교육청의 경우에는 예산 현황 및 필요 예산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입 단계에서는 발전 방안을 시행하는 데 실질적으로 필요한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예산 등에 대한 확보 및 활용 가능성이 발전 방안에 반영되지 않아 형식적인 발전 방안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었다. 과정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방안 제시보다는 일반적인 제시 수준에 그쳤으며, 공통적으로 분석 영역별 발전 방안 반영 비율이 어느 한 영역에만 치중된 나머지 그 이외의 영역은 직업교육 발전 방안에 소홀히 반영되고 있었다. 산출 단계에서는 직업교육 발전 방안의 특성상 시행 여부에 대한 결과 보다는 시행 가능성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므로 발전 방안의 구체적인 산출 결과물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 결과 발전 방안에 대한 효과성 및 산출에 대한 예측, 피드백 등의 반영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생의 직업계고 진학 선택을 위한 경기도 직업계고 교원의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인식 조사

        이찬주(Chanjoo Lee),김대들(Daedeul K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직업계고 교원이 인식하는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수행 실태와 직업계고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 그리고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적절성과 어려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경기도의 모든 직업계고(108교)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된 778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원 중 직업계고에서 제공하는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을 수행한 응답자는 706(90.8%)명이며, 이러한 지원 활동이 직업계고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응답한 평균은 3.62로 나타났다.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견학(실습실 투어 등)’ 3.99, ‘중학교 교실별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3.96, ‘우리 학교(직업계고)에 찾아오는 전공(학과) 체험 활동’ 3.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교원은 현재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수행 난이도는 3.36으로 응답하였다.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업무 수행 난이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졸업생이 근무하는 산업체 견학’ 3.92, ‘중학교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 3.74, ‘중학교 교실별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 3.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교원은 현재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적절성 정도는 3.09로 응답하였다.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업무 적절성 정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견학(실습실 투어 등)’ 3.53, ‘우리 학교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진로 상담’ 3.49, ‘우리 학교(직업계고)에 찾아오는 전공(학과) 체험 활동’ 3.46, ‘우리 학교(직업계고)로 찾아오는 학교(학과) 설명회’ 3.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he degree of help to secure of vocational high school freshmen and task adequacy of assistance activity and level of difficulty perceived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questionnaire and distributed online to all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108 schools) in Gyeonggi-do, and analyzed 778 sheets collect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performance (frequency of response)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as 90.8% (706 respondents). as for the level of usefulness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for attracting freshme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plied as 3.62. ‘Visiting our school (Laboratory tour etc.)’ 3.99 placed first in the level of usefulness of assistance activities,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 classrooms’ 3.96, ‘Major (department) experience activity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94. etc. appear. Second,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 job performance difficulty for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urrently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was 3.36. The highest degree of task difficulty among assistance activities was ‘Visiting companies where graduates of our school work’ 3.92 topped the list of the level of task performance of assistance activities,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s’ 3.74,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 classrooms’ 3.73. etc. appear. Thir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swered 3.09 as to the level of task adequacy for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urrently provided. The highest level of task adequacy among assistance activities was ‘Visiting our school (Laboratory tour etc.)’ 3.53,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career counseling visiting our school’ 3.49, ‘Major (department) experience activity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46, ‘School (department) presentation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46. etc. app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