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조기와 전기의 취락구조

        김권구(Kim, Gwon Gu)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90

        이 논문의 목적은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조기와 전기의 취락구조를 밝히고 사회적 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청동기시대 조기와 전기의 취락의 전모가 잘 나타난 취락자료를 분석대상자료로 선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사회최소구성단위로서의 주거지의 규모와 수, 가구와 거주방식, 취락 속의 주거지 수와 배치양상, 저장시설 배치양상, 취락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청동기시대 영남지역 취락구조와 사회양상을 밝혀 보고자 한다. 또 이 논문에서는 영남지역 청동기시대를 조기(돌대문토기단계), 전기전반(가락동식토기단계, 흔암리식토기단계), 전기후반(구순각목문토기단계, 공열토기단계)으로 구분하고자 하며 검단리식토기단계와 송국리식토기단계는 청동기시대 후기로 설정하고 이 논문에서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동기시대 조기에는 대체로 10기 내외의 대규모 주거지가 열상배치(列狀配置)되는 모습을 보인다. 취락은 소규모 취락의 경우가 많으며 대형 주거지 1-2기가 함께 조사되는 사례가 다수 확인된다. 조기의 취락형태는 1-2km 거리에 걸친 분산연계형 취락(分散連繫型 聚落)으로서 이주확산형 취락(移住擴散型 聚落)일 가능성이 크다. 둘째 청동기시대 전기전반에는 10기 내외의 대규모 주거지나 중간 규모 주거지가 취락 내에 열상 배치되는 양상이며 취락은 대부분 소규모이다. 물론 조사된 주거지 모두가 거주용 시설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서는 김천 송죽리유적의 경우처럼 취락 내 주거지의 배치가 점차 환상배치양상(環狀配置樣相)을 띠기 시작한다. 또 대규모 주거지 1-2기에 사람들이 거주하였고 가구단위는 확대가족이면서 취락구조는 이주확산형 취락구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청동기시대 전기후반에는 100기 내외의 중소규모 주거지들이 환상(環狀)으로 배치된 주거군(住居群)이 여럿분포하는 취락모습을 띠며 취락규모상 취락위계가 발생하고 중심취락도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청동기시대 전기전반에서 전기후반으로 가면서 가구의 안전을 중시한 대규모 주거지에서의 공동생활방식과같은 거주방식에서 사생활보호(私生活保護)를 강조하는 개별적 거주방식으로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기시대 전기후반의 취락구조와 분포양상은 정착심화형 취락(定着深化型 聚落)의 양상이며 집단영역의 배타적 점유를강조하여 지석묘와 선돌이 적극적으로 축조되는 양상이며 청동기시대 후기로 들어가면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화되어지석묘가 다양한 방식으로 축조된다. This thesis aims to trace settlement patterns of Youngnam Region during the Initial Bronze Age to the Early Bronze Age along with settlement structures to review its social features. Relatively well preserved settlements have been selected as research data. The methodologies adopted will review the size of dwelling sites and the number of clustered dwelling sites as a minimum social unit, household and dwelling style, the number of dwelling sites in a settlement and their distributional patterns, the arrangement of storage facilities, compositions of a settlement, and so on, to trace the structures of the settlements and their social features in Youngnam Region during the related Bronze Age. In this thesis the Bronze Age of Youngnam Region has been subdivided into the Initial Phase characterized by the culture of the coarsely plain pottery with raised band, the Earlier Early Phase featured by the culture of the Garak-dong-styled coarsely plain pottery and the culture of the Heunam-ri–styled coarsely plain pottery, the Later Early Phase notified by the culture of the coarsely plain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rim and the culture of the rim-perforated coarsely plain pottery, and the Late Phase identified by the culture of the Songguk-ri-styled coarsely plain pottery or the culture of the Geomdan-ri-styled coarsely plain pottery. However the late Phase has been excluded because it is not the period this thesis deals with at all.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witnessed the emergence of small settlements consisting of less than ten large-sized dwelling sites, of which layout was similar to a linear distributional pattern. Mainly the number of dwelling sites are one or two. The distributional pattern among settlements shows the sparsely scattered distributional types within roughly one or two km radius,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migration-spread distributional settlement type.Secondly, the Earlier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also witnessed the appearance of small settlements within ten or so large-sized or medium sized dwelling sites, of which layout within settlements were similar to a linear patterns as well. Of course all of the pit houses excavated from a settlement were not to be used as a dwelling space. However some settlements such as Songjuk-ri site, Gimcheon, began to have circular distributional patterns in cluster within each settlement. Villagers seemed to have lived in one or two large-scaled dwelling sites. The household unit of this phase have been thought to be related to an extended family and its settlement structure seems to be related to the migration-spread distributional settlement type. Thirdly, during the Later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one hundred or so small-sized or medium-sized dwelling sites began to be appeared, of which layout in cluster inside settlements showed circular distributional patterns. In addition a settlement consisted of various clusters of dwelling sites and some kinds of settlement hierarchy emerged along with a large-scaled central village. Fourthly, the Later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was estimated to witness changes in dwelling styles from a communal dwelling style in a large-sized dwelling site emphasizing household safety to an individualistic dwelling style focusing privacy protection. The settlement structures of the Later Early Phase of the Bronze Age and its distributional patterns are considered to be a kind of sedentary intensification-type distributional settlement emphasizing the exclusive occupation of a group territory by way of active uses of dolmens and menhirs. During the Late Phase of the Bronze Age such a trend to build up megalith monuments had been intensified, which had yielded enormous spread of various dolmens in diverse way.

      • KCI등재

        지역발전전략으로서 ‘유적전시관’의 설립 − 장흥 신북구석기유적전시관 설립제언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권구(Kim Gwon-gu)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1 고문화 Vol.97 No.-

        이 논문은 장흥 신북구석기유적전시관의 설립제언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전략으로서의 유적전시관을 설립할 때에 검토되어야 할 요소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설립과정에서의 난관을 줄이고 개관 후 운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최소화하는 합리적인 해법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유적전시관의 성격, 전시전략과 전시의 특성, 주변 유적의 활용전략, 건립추진방식, 건립비용규모와 재원의 출처, 1년 운영예산규모, 인력규모,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 연간평균 관람객의 수 등을 검토하여 현재의 유적전시관의 문제점과 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의 분석대상은 프랑스 남서부지역 라스코동굴 인근의 토트구석기유적전시관과 라스코Ⅳ : 동굴예술국제연구센터, 영국 요크의 바이킹 요빅센터, 연천 전곡선사박물관, 공주 석장리박물관, 대가야왕릉전시관이 포함된 고령 대가야박물관과 야외유적체험장소라고 할 수 있는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서울 종로구 청운동에 소재하는 윤동주문학관이다. 유적과 잘 조화를 이루는 유적전시관의 사례, 동물원을 결합시킨 유적전시관의 사례, 유적전시와 야외전시관의 결합형태 사례, 진품이 거의 없는 복제품 전시를 중심으로 하면서도 체험을 유도하며 방문객에 큰 인상을 주고 규모도 작아 관리비도 적게 들면서 연간 방문객 수도 많다고 생각되는 사례 등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유적전시관을 건립할 때, 유적 가치의 공유, 유적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전시개발, 전시관 공간사용의 신축성 극대화전략, 시설운영관리의 용이성과 비용절감방안 모색, 다원적 재원모색, 교육체험프로그램 활성화, 지역축제를 포함한 문화자원의 연계활용, 지역경제에의 기여방안 등에 대한 요소를 고려하며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유적전시관은 문화자원의 학습장소일 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의 토대임이 인식되어야 한다.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reasonable solutions to minimize obstacles occurring making an archaeological site museum as well as to decrease problems occurring after its opening through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to be reviewed upon making an archaeological site museum as a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This thesis particularly deals with the case study of the suggested Palaeolithic site museum at Sinbuk, Jangheung County. The methodology adopted is to review the features of the site museums, their exhibition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in display, utilizing their neighbouring archaeological sites, approaches to making site museums, the financial size and sources, estimated annual budget size, required number of staffs, diversity in educational programs,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visitors, and so on, which will reveal us informations on the present problems of existing archaeological site museums and their future challenges. The existing site museums home and abroad to be discussed will include Thot Centre of Prehistoric Art, Lascoux Ⅳ : the International Centre for Cave Art at Montignac in southwestern France, the Viking Jorvik Centre located in York, England, Jeongok Prehistory Museum in Yeoncheon, Seokjangni Museum in Gongju, Daegaya Museum including Daegaya Royal Mausoleum along with Daegaya History Theme Park in Goryeong, and Yoon Dong-Ju Literature Museum at Cheongun-dong, Jongno-gu, Seoul. The criteria to select the site museums are the harmonious and effective uses of archaeological sites, an example of a site museum coexisting with a zoo, cooperations between site museums and open air theme park, a small scaled museum with replica exhibitions, considerable visitors’ number, and low operation cost. In conclusion, the strategy to make site museums must be based on the following elements such as sharing site values, content development in relation with related archaeological sites, maximization in space flexibility, competitiveness in facility management, low management cost, seeking diverse financial source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ffiliating cultural resources including unique local festivals, and strengthening local economy. It must be emphasized that site museums are not only learning centre for cultural resources but also base for reg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영남지역 읍락의 형성과 변화

        김권구(Kim Gwon-gu)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2

        이 논문은 경주, 경산,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영남지역 읍락의 형성과 변화양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읍락의 범위는 제1기(기원전 3세기-기원전 2세기)에는 5㎞ 반경이었고 제2기 ‘國’의 범위는 경주지역은 반경 20㎞를 넘는 반면 경산 임당지역과 김해지역의 제2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國’의 범위는 중심유적에서 반경 10㎞이내였던 것으로 유적분포양상은 암시한다. 제3기(기원후 2세기-기원후 3세기)에도 제2기의 범위가 세 지역 모두에서 유지되었다. 경주와 경산지역에서는 기원전 1세기경 ‘國’이 출현하는데 김해지역에서의 ‘國’출현은 경주와 경산지역보다 50여 년 정도 늦었을 가능성이 있다. 김해지역에서는 경주와 경산지역보다 ‘國’의 출현과 성장에서 왜(倭)와의 교역이 더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제3기에 늑도보다는 김해지역이 교역의 중심으로 성장하고 늑도 중심의 교역망은 쇠퇴한다. ‘國’의 출현과 성장과정에서 읍락의 해체가 발생하는데 경산 F지구 취락이 토성축조와 더불어 폐기되는 것이 그 사례이다.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formation of the settlement clusters called the euprak (邑落)in the Youngnam region and their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al features of the related archaeological sites the spatial ranges of the settlement clusters called the euprak during the sub-period 1(300BC-100BC) might be roughly 5km radius from their main cente. But that of the Guk polities(「國」) widened into 10km radius during the sub-period 2(100BC-100AD) and the sub-period 3(100AD-300AD) in Gyeongsan and Gimhae regions unlike the more 20 km’s radius in Gyeongju. The sub-period 3 witnessed little change in the spatial ranges of the three areas. The ‘Guk’ polity in Gyeongju and Gyeongsan area had emerged around the 1st Century BC but the ‘Guk’ polity in Gimhae might appear fifty years later than that in Gyeongju and Gyeongsan. The trade with the Wae(倭) seemed to have more importance in Gimhae area than Gyeongju and Gyeongsan area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Guk polities(「國」). Gimhae area must have emerged as a trading center in the sub-period 3 while replacing the Geukdo(勒島)-centered trading network flourishing during the sub-period 2.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es the collapse of the euprak and population relocation might be followed as shown in the collapse of the settlement near the F Zone in Imdang area of Gyeongsan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en fortress.

      • KCI등재

        청동기시대 암각화의 층위관계와 암각화 확산의 사회경제적 배경 검토

        김권구 ( Kim Gwon-gu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6

        이 논문의 목적은 청동기시대 암각화의 편년을 층위관계와 암각화 문양의 내용검토를 통하여 추적하고 암각화 확산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고찰하는데 있다. 부여 송국리 1호 석관묘 개석을 포함하여 보성 동촌리 1호지석묘의 개석과 석관 벽석에서 확인된 성혈과 박편의 제작시기인 청동기시대 토층에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고령 봉평리암각화에서의 층위관계, 사천 본촌리유적 나10호주거지 출토 동검암각화 지석, 밀양 살내유적II 제1호 지석묘 출토 동검암각화는 청동기시대 암각화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층위관계 속의 고고학적 검증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설사 청동기시대 지상에 노출되었더라도 포항 인비동 16호 지석묘 암각화, 대구 진천동 입석의 암각화, 여수오림동 5호지석묘 상석의 암각화도 청동기시대 유적에 청동기시대 유물을 모티브로 하거나 그 당시 사용되는 문양을 사용하는 암각화가 존재한다는 것은 청동기시대 암각화의 존재를 알려주는 방증적 증거이다.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검, 촉, 동심원(나선형), 성혈 등 다양한 암각화 문양이 사용되고 청동기시대 후기에 더 많이 남한지역에 확산되는 양상이다. 상기 암각화자료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청동기시대 암각화의 사용과 확산배경 중의 하나로 농경정착사회의 장례의례와 조상숭배가 관련되는 경우가 다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동기시대 조상숭배를 강조하는 정착농경사회의 발전은 지석묘문화와 결합한 암각화를 발생시킨 여러 원인중의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 This thesis aims to evaluate whether the Korean Bronze Age petrographs are really dated to the Korean Bronze Age or not by way of examining both their stratigraphic relation and their petrograph motifs. In addition it also aims to review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ir spread. However the examples of petrographs such as not only the covering plate stone of No. 1 stone cist at Songguk-ri of Buyeo County but also that of the stone cist underneath pebble layers of the No. 1 dolmen at Dongchon-ri of Boseong County and the petrographs from Bongpyeong-ri of Goryeong County covered partly from the cultural layer of the Bronze Age, and other two more petrograph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vividly show the existence of the petrographs by stratigraphic relation during the Bronze Age. There are also indirect evidences to imply a tradition of carving petrograph during the Korean Bronze Age, which is suggested by the three examples such as the stone dagger motifs and the stone arrowhead motif on the capstone of No. 16 dolmen at Inbi-dong of Pohang City, the stone dagger motif on the capstone of No. 5 dolmen at Orim-dong of Yeosu City, and the cup marks and concentric designs on the menhir at Jincheon-dong of Daegu City. Although the sample sizes are not big enough, it is meaningful to find that carving petrographs during the Late Bronze had been practiced in South Korea for rituals such as mortuary practices or ancestor worship practices as the sedentary agricultural communities of the Korean Bronze Age entered into the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further. The development of sedentary agricultural communities with ancestor worship practices might be one of the factors causing the spread of petrographs combing with the dolme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