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지역으로의 비파형동검문화 확산경로와 시기별 변천

        김권구 영남고고학회 2015 嶺南考古學 Vol.- No.72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diffusion routes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o the Youngnam Region over time for the Korean Bronze Age. To do so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ound in the Youngnam Region have been dated and their discovered locations have been analyzed. In addition the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ound in the Hoseo region and the Honam region have also been dated and their locations also have been compared. The chronology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has been set up on basis of their features and the related objects found together along with them. The topographical and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Youngnam region as well as its interaction routes over time have been reviewed. The analysis has revealed that during the early Bronze Age the inland routes passing through the Sobaek Mountain Range of both the northern Gyeongbuk region and western Gyeongbuk region have been more significant roles than other routes in diffusio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o the Youngnam Region. Instead during the late Bronze Age the Southern Coastal routes have more important roles in diffusio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o the Youngnam Region than the inland routes of the Gyeongbuk region. There are many evidences to support that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might not have been produced in the Youngnam region and they might have been transported into the Youngnam region through the Hoseo region or the Honam region. They are as follows; absence of a moulder for any bronze object including a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some examples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dated earlier than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rom the Youngnam region, many examples of re-touched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rom the Youngnam region, many occurrences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rom the Southern Coastal areas. The diffusio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into the Youngnam region must have been related to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Bronze Age which need them socially, politically and ideologically. 이 논문은 영남지역 출토 비파형동검문화의 확산경로 또는 유입경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에서 출토되거나 확인된 비파형동검을 정리한 후 부장·매납 시기를 검토 하여 그 시대별·지역별 분포양상을 검토하고 호남과 호서지역 출토 비파형동검의 부장·매납 시기와 지역별 분포양상도 함께 비교되었다. 비파형동검의 부장·매납 시기 편년은 비파형동검의 형태상의 특성뿐만 아니라 비파형동검과 함께 출토된 유물과 출토유구의 중심유행시기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또 영남지역의 지형적·지리적 특성과 통시대적인 교통로에 대하여서도 검토되었다. 그 결과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비파형동검문화의 영남지역 확산 또는 유입에 있어서 경북북부지역과 경북서부지역의 소백산맥 고봉준령 사이의 안부(鞍部)를 통과하는 내륙교통로의 역할이 더 큰 비중을 가졌던 것으로 보이며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경북지역 내륙교통로보다는 남해안교통로가 비파형동검문화의 영남지역 확산에 있어서 더 큰 비중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영남지역에서 아직 비파형동검용범을 포함한 다른 청동기의 용범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점, 영남지역의 비파형동검보다 이르거나 동시기의 비파형동검이 호서지역에서 출토되는 점, 영남지역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 중에서 재가공된 것이 다수 확인되는 점, 여수 적량동 지석묘 출토 비파형동검의 경우와 같이 호남의 남해안연안지역에서 청동기시대 후기의 비파형동검이 다수 확인되는 점을 볼 때 영남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되었다하기 보다는 호서지역이나 호남지역을 통하여 비파형동검이 영남지역으로 확산 또는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비파형동검의 확산 또는 유입은 비파형동검을 필요로 하는 청동기시대 사회발전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성과와 과제

        김권구 한국박물관학회 2011 博物館學報 Vol.- No.21

        이 논문은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성과를 평가하고 과제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이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이 2005년 이전개관이후 1년 동안 정상적으로 박물관이 기능하기 시작한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박물관활동을 국립중앙박물관 이 발간한 연보를 토대로 평가할 것이다. 박물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운영철학과 평가기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데 양적인 평가와 질적인 평가가 있겠으나 양적인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용 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5년간의 성과(2006년~2010년)는 관람객분석, 시설규모분 석, 유물관리현황분석, 예산과 인력분석, 특별전시의 개최양상분석, 사회교육, 학술활 동, 국제교류현황 등이 주로 양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양적인 분 석이 갖는 한계를 피할 수는 없다. 위의 기준으로 평가된 국립중앙박물관은 5년간 그 이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크게 활성화되었고 범위가 다양화되었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박물관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 관람객과의 소통방식의 개선에 대한 성찰, 방문객 관람환경의 개선과 만 족도 향상, 유물관리개선,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 등 박물관 사업의 질 향상 노력, 학술능력강화, 민족주의 등 각종 편견에서 벗어나 지식을 학습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의 배양장소로서의 박물관기능강화 등이 앞으로의 과제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지석묘 구조 다양성의 사회적 의미

        김권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영남학 Vol.- No.89

        이 논문의 목적은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지석묘 구조의 다양성과 그 사회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동기시대 시기별로 지석묘 축조과정에서 축조집단이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전략적 수단을 토대로 사회·경제적 맥락 속에서 지석묘 구조 다양성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에 부분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는 영남지역 지석묘에서의 구조적 다양성에서 집단의 내부적·외부적 차별화를 하려는 적극적인 시도가 상대적으로 덜 보이다가 청동기시대 후기의 송국리문화권에서 거대한 상석이나 묘역 혹은 다단토광에 다단개석을 가진 대규모 매장주체부, 가시성이 탁월한 입지, 불을 사용한 정화의례 등의 요소가 결합되는 양상이 지역별로 다르게 확인되었다. 청동기시대 후기 지역별 지석묘 구조의 다양성은 사회분화의 진행에 따라 사회적 불평등이 발생하고 유력자의 존재가 출현하기 시작했지만 '제도화되지 않은 불안정한 불평등'과 점증하는 사회적 갈등을 역동적으로 암시하는 증거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즉 지석묘 구조의 다양성은 사회적 갈등과 통합의 상징물이라고 생각된다. This thesis aims to trace the social meanings of the structural diversity of dolmens in the Youngnam Region during the Bronze Age. To do so the various strategic candidate tools, which the Bronze Age people could adopt, has been analyzed along with the regional features of dolmen structures over time in socio-economic contexts. The Early Bronze Age witnessed the emergence of the dolmens. During the Early Bronze Age diverse differentiation in dolmen structure and other strategic tools had been expressed less obviously than in the Late Bronze Age. However the Late Bronze Age witnessed diverse creative combinations of available tools for internal and external differentiation. So the diverse differentiating tools such as extraordinarily big capstones, wide and long dolmen premise, strategic location such as hilltop, deep stone cist with several layers of stone plates and pebbles, complex ceremonies including purification rituals, relatively conspicuous consumption of mortuary goods, and so on, had been creatively adopted on purpose, which might result in diversity of dolmen structures. The structural diversity in dolmen during the Late Bronze Age might be a vivid evidence to imply not only the emergence of social inequality and that of elites along with social differentiation but also ‘the unstable un-institutionalized inequality’ with increasing social conflicts. So the diversity in dolmen structures is thought to be a symbol of social conflicts and integration.

      • KCI등재

        반구대암각화의 편년에 대한 고찰

        김권구 영남고고학회 2013 嶺南考古學 Vol.- No.67

        There have been long disputes in the upper limit of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Rock Art. The arguments that the chronological upper limit of the Bangudae Rock Art might be dated to Neolithic have been recently suggested frequently. However the arguments are considered to be premature. The arguments to support its chronological upper limit as the Bronze Age is more logically persuasive. The logical basis to support the chronological upper limit of the Bangudae Rock Art as the Bronze Age are as follows: many examples of the rock art tradition in the Bronze Age, differential ratios of hunting and fishing in the subsistence of the Bronze Age societies, the dubious possibility of hunting whale during the Neolithic Age, the existences of Bronze Age sites and no discovery of Neolithic sites within 10 km's radius from the Bangudae Rock Art, and so on. The preservation of the Bangudae Rock Art as well as that of its neighbouring landscape is extremely essential because its landscape is part of the rock art as a landscape monument. The integrated perception of the Bangudae Rock Art and its landscape is required. Therefore the way to preserve the rock art, whether it is permanent or not, should not have any negative impact on both the Bangudae Rock Art and its landscape. It would be better to seek ways for avoiding its environmental destruction or landscape damage. 반구대암각화의 상한연대에 대해서는 현재 신석기시대설과 청동기시대설이 맞서고 있다. 이 글은 신석기시대설과 청동기시대설에 대한 평가를 하고 청동기시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반구대암각화는 청동기시대의 암각화전통, 청동기시대 생업 속에서의 수렵과 어로의 상당한 비중, 직접고래사냥의 신석기시대 가능성 수용의 유보, 신석기시대 패총출토 고래 뼈는 자연사하거나 좌초된 고래의 뼈라는 시각, 반구대암각화반경 10km 이내에서 신석기시대유적의 미확인상황과 상당한 수의 청동기시대유적의 분포상황 등은 반구대암각화 상한연대의 청동기시대설을 뒷받침해준다. 반구대암각화는 우리나라 최초의 구도를 가진 청동기시대 암각화일 뿐만 아니라육지동물과 바다동물 그리고 새까지 묘사된 세계에서도 희귀한 경관기념물로서 탁월하고도 보편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반구대암각화와 주변경관은 일체이며 그 경관도 반구대암각화를 구성하는 한 부분이어서 서로 분리될 수 없다는 통합적 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반구대암각화의 보존방식은 그것이 영구적인 것이건 일시적인 것이건 가릴 것 없이 반구대암각화의 경관을 훼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목기에 대한 고찰-남한지역의 목기를 중심으로

        김권구 한국고고학회 2008 한국고고학보 Vol.67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wooden tools of the Bronze Age and to reconstruct their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In the Bronze Age, tools used in daily life consisted mostly of wood and stone. Wooden tools which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nclude hoes, a wooden tool used to level soil, a pestle, a type of small plow, axe handles, a charcoaled handle for a polished stone dagger, a fire shovel, the shaft of an arrow, part of a water pipe, a birdshaped wooden object, and a charcoaled wooden tool. In addition, stone tools such as stone chisels, stone hand planes and stone axes are frequently found at archaeological sites, which indirectly suggests that wood-working was in great demand in the Korean Bronze Age. It appears that Bronze Age wooden tools may evidence regional, as well as, temporal variation, but this is difficult to confirm at present due to lack of conclusive data.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of the Late Bronze Age is reflected in the wooden tool culture of the period. The appearance of various agricultural tools and water regulating facilities, such as water pipes, are examples of this intensification; they may also be regarded as a temporal signature of the Late Bronze Age wooden tool culture. Indeed, various wooden tools, such as hoes, pestles and other tools can be traced back to the Late Bronze Age (the Songgukri Period). Regional patterns are not clear, at present, but the common features observed from wooden axe handles from Seobyeon-dong, Daegu, and Majeon-ri, Nonsan, may be regarded as a common feature of this tool type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wooden pestle found at Jeojeon-ri, Andong, was found to share many common features, in terms of shape and style, with the wooden pestles from Japanese sites, such as Itatzuke in Northern Kyushu and Karakogagi in Kansai Province; this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a common wooden tool culture which was shared by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t is also believed that this similarity in wooden tools may be associated with the diffusion of rice culture from Korea into Japan. The timber used to make these tools appears to have been selectively chosen–the type of wood used depended on the type of tool that was to be made. For exampl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wood from oak and other oak species (Quercus sp.) were used, in many cases, to make hard tools. More intensive archaeological research and excavations are required, however,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regional and temporal features of the wooden tools of the Korean Bronze Age. It is hoped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scholars in Korea and Japan will facilitate further exploration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oden tool cultures of the Korean Bronze Age and the Japanese Jomon and Yayoi Periods.

      • KCI등재

        매장문화재부담금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방안

        김권구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3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major problems of the present Korean management system of archaeology and to seek desirable suggestions in order to pursue the sustainable harmony between the recovery of academic excavation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order to continue the sustainable harmony between preserving the values of archaeological resources as limited pure public goods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present system of developer’s payment for archaeology must be replac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development fee for archaeology. The excavation of archaeological resources have been done according to the market principle, that is, the lower price principle. But the principle has produced a lot of serious problems in the Korean management system of archaeology, which must result in the market failure. So the governmental intervention is urgently required. By introducing the development fee, the archaeological field units and the developers can avoid direct contact. Instead, the Heritage Management Office will operate the excavation fund raised by the development fee for archaeology in order to avoid low-price contracts, degrading excavation quality, and other related residents’ complaints and social conflicts in advance. In addition, the budget for purchasing the preserved excavation sites, which are the source of the landowners’ enormous complaints, must be allocated to the Heritage Management Office by the Ministry of Planning and Finance. More budget for small-sized excavations must be allocated as well in order to solve many residents’ complaints. These budget increase will be the fundamentals to decrease the residents’ big complaints and social conflicts in relation with the archaeological management, which will be a challenge of the Korean government. Along with the governmental efforts, the archaeological field units must do their all-out efforts to overcome many problems in excavation including low-price contracts. Finally, the wage system and working status system must be revised. Excellent young excavators must be recruited appropriately and continue to work in a safe psychological condition, which are the basis to guarantee high-quality excavation. 매장문화재의 가치를 유지시키면서 개발과의 조화를 지속가능하게 하려는 관점에서 현재의 매장문화재발굴제도의 문제점을살펴보고 그 대안을 찾아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순수공공재이면서 제한된 문화자원이라고 할 수 있는 매장문화재의 가치를 지속가능하게 보호하고 개발과의 조화를 이루게하려면 발굴법인과의 발굴계약을 통해 개발자에게 직접 발굴비용을 부담하게 하는 현행제도를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순수공공재인매장문화재를 그 동안 시장의 원리에 맡겨 조사해왔는데 시장실패양상을 보여줌으로 적극적인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방식이 매장문화재부담금제도의 도입이다. 발굴법인과 개발자의 직접적 접촉을 방지하고 문화재청의 관리 속에서 매장문화재부담금으로 확보된 재원으로 매장문화재의 발굴이 진행되게 되면 저가수주, 발굴의 질 하락, 민원과 사회적 갈등과 같은 매장문화재 발굴과관련된 많은 문제가 사전에 해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매장문화재부담금제도의 도입을 통해 매장문화재발굴제도와 보호제도를 개선하면서 민원을 사전적으로 크게 줄이기 위해서는민원의 폭탄이 되는 ‘발굴보존문화재 존치구역에 대한 토지매입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도록 기획재정부는 문화재청에예산을 배정해 주어야 한다. 소규모국비발굴예산의 대폭확충을 통한 개별민원의 감소도 모색되어야 한다. 매장문화재의 발굴과 보존이제대로 이루어지고 매장문화재에 대해 민원을 가진 주민이 줄어들 수 있도록 정부는 그 토대를 놓아주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저가입찰, 부실 발굴 등에 대한 발굴법인의 자정(自淨)노력도 이루어져야 하고 우수한 발굴조사인력의 이직방지와 양성을 위한 임금체계와근로신분체계의 제도보완이 요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