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세안(ASEAN)지역 거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선교학 영역 한인디아스포라를 대상으로 연구한 학위논문(1982-2018)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김광성 ( Kim Kwang Seong ),이강욱 ( Lee Kang Wo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8 복음과 선교 Vol.43 No.-

        오늘날 국제이주는 그 어느 때보다 더 광범하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주는 21세기 메가트렌드로 지구상의 사람 7명중 1명이 이주자이다. 정부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도 2016년 현재 전체 인구의 1/7에 해당하는 수가 디아스포라로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주의 시대에 학계에서는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부터 선교학 영역에서도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국내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통계학적 측면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한 연구는 1982년 처음 시작되었다. 그 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2018년까지 현 재까지 81건의 학위논문이 제출되었다. 학위논문 주제별 연구동향을 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들어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 관련 학위논문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1982년부터 1999년까지는 매년 1.1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0년대에는 연평균 3.6편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지역의 쏠림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전체 학위논문 가운데 중국에 거주하는 한인디아스포라를 대상으로 연구한 학위논문이 26개로 해당 기간에 발표된 전체 학위논문의 32%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어서 미국 12개(15%), CIS 지역 8개(약 10%) 순이다. 상당수(57%)가 중국, 미국, CIS지역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 주제는 선교 대상으로서의 한인디아스포 라 연구, 선교 자원으로서의 한인디아스포라 연구, 한인디아스포 라를 통한 선교, 한인디아스포라(한인교회, 역사) 연구 등이 있다. 선행연구 통계분석을 통해 발견한 선교신학 분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인디아스포라 연구가 모국중심의 연구가 아니라 한인디아스포라와 모국 양쪽을 존중하는 균형 있는 연구가 되어야한다. 둘째 한인디아스포라 연구가 학문적인 성과와 더불어 한인 디아스포라로부터 지지와 협력을 얻어야 한다. 셋째 지역별 연구 편중 현상을 극복해야 한다. 넷째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 적용이 필요하고 연구 결과물, 연구자현황, 연구동향, 한인 디아스포라 사회의 제반 특징을 담고 있는 백과사전, 백서 발간과 아카이브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정치, 문화, 사회를 제외한 경제와 기타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자는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아세안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통합연구를 제안한다. 적절한 통합연구가 수행된다면 아세안 지역의 선교 전략적 중요성, 선교학 영역과 인문사회과학 영역의 학제 간 대화 가능성 확보, 디아스포라 선교전략 수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한인디아스포라 선교네트워크 구성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oday, international migration is ever more widespread and is occurring in every corner of the world.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both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Migration is a megatrend of the 21st century, and one out of every seven people on earth is a migran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the government, as of 2016, one-seventh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ns live abroad as diaspora. In this era of migration,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Diaspora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in the academic world. Since the 1980s, research on the Korean Diaspora has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missi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within the field of missiology by analyzing the statistical aspects of domestic theses on the theme of Korean Diaspora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missiology, study with a subject on Korean Diaspora began in 1982. Since then, ongo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nd 81 theses have been submitted up to 2018.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by thesis subject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missiology entering the 2000s, the number of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diaspora increased sharply. Between 1982 and 1999, an average of 1.1 dissertations was published annually, increasing to an annual average of 3.6 in the 2000s. Second,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research in concentrated regional areas. Of the total theses, 26 dissertations focused on the Korean Diaspora residing in China,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theses published during that period followed by 12 US (15%) and 8 CIS regions (about 10%). A significant number (57%) are concentrated in the study of the Korean Diaspora i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CIS. Third, the research topics include research on Korean Diaspora as missions target, research on Korean Diaspora as missions resource, missions through Korean Diaspora and research on Korean Diaspora (Korean church, history).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Diaspora research in the field of missiology discover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Korean Diaspora study should be a balanced research that respects both the Korean Diaspora and the mother country rather than centered on mother country alone. Second, along with academic achievement, Korean Diaspora study should garner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Korean Diaspora. Third, we must overcome the biases of regional research. Fourth, it is necessary to apply diverse research methods to Korean Diaspora and publish an encyclopedia and white paper containing research result, researcher demographic, research tre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spora society and construct an archival structure as well. Fifth,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conomics and other fields on top of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of Korean Diaspor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study on the Korean Diaspora living in the ASEAN region. If appropriate integrated research is carried out, it will be possible to expec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missions in ASEAN region, securing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missiology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ilding a database for establishing diaspora missions strategy and forming a Korean Diaspora missions networ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중국 종교 정책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예측

        김광성(Kwang Se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0 선교와 신학 Vol.25 No.-

        베이징 올림픽 폐막일인 2008년 8월 24일 중국의 관영 신화 통신은 베이징 올림픽을 “신중국의 탄생이 동아시아의 환자(?洲病夫)로서의 중국 역사에 종언을 고했다.”고 선언했다. 이에 대해 한국의 한 신문은 “서세동점(西???)의 시대는 끝나고 중화 르네상스 시대가 열렸다는 선포”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세계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중국의 새로운 변화의 방향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로서의 이념적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구 열강에게 짓밟힌 역사적 아픔까지 끌어안고 가야 한다. 지난 30년간 개혁 개방이 가져온 엄청난 사회적 변화를 바탕으로 세계 앞에 중국과 중화 민족을 당당히 내세우려면 주도적으로 세계의 흐름과 걸음을 함께 해야 한다. 이러한 막중한 과제 앞에 중국은 더 이상 약한 모습을 보일 수 없게 되었다. 베이징 올림픽을 유치하고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국 정부는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종교 정책을 실시했다. 중국 정부의 종교 자유 정책은 종교 자연 소멸론을 근간으로 하는 막스레닌주의 사회주의 종교 이론이 자리잡고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은 중국 정부와 중국 국민들에게 백 년의 꿈’ (百年之?)을 이룰 수 있게 해 주었다. 실현된 백 년의 꿈은 이제 새로운 백 년의 꿈을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일 뿐이다.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을 책임지는 부서에서는 현재 외국인 종교 활동을 관리하기 위한 법령을 수정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계속해서 변화하는 사회 체제에 적응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올림픽은 중국에게 새로운 꿈을 주었지만, 올림픽 이후 중국의 종교 정책은 통일 전선 전술의 일환으로 종교를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을 뿐이다. 개구리를 찬물이 들어 있는 비커에 넣고 서서히 열을 가하면 개구리는 자신이 죽는 줄도 모르고 수영을 즐기다가 죽어 간다고 한다. 중국 정부는 역사로부터 얻은 교훈을 근거로 강압적인 수단으로 없앨 수 없는 종교를 차라리 사회주의 체제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로 결단한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는 이제 선택할 시기가 되었다. 중국 정부의 계산된 종교 정책에 안주하며 비커 속의 개구리가 되든지, 아니면 비커 속의 물이 느낌도 없이 서서히 온도가 올라가고 있음을 알아채고 늦기 전에 튀어 나가든지…. On 24 August 2008, the closing day of Beijing Olympic Games, Xinhua News declared that “with the birth of New China, its old history as ’the patient country in Asia’ (?洲病夫 :10 has finally ended.” In regard with that, one Korean newspaper interpreted that message as follows; “they proclaimed that the era of western infiltration(西勢東漸) has ended and the Chinese Renaissance began.” In this situation, the world show deep interest in China’ s direction of changes after the 2008 Beijing Olympics. For a long time, China has appeared as a weak country. They were trampled down by the western empires. Moreover, although they did not give up their ideological identity as a socialist state, they experienced great changes by western capitalism for the last 30 years. For these reasons, China wants to display their stately confidence and in order to do so, they should actively go along with the global trends. During the course of preparing and hosting the Olympics, the Chinese government adopted a relatively open religious policy. Its policy of religious freedom is based on the Marxism-Leninism’ s religious theor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theory of religion’s natural death. The 2008 Beijing Olympics was the realization of ’a century’s dream’ of the Chinese and their government. This realized dream is now a starting point toward another century’s dream. The religions department of the Chinese government is revising its policy to control foreigners’ religious activities. China is moving fast to adapt itself to the transforming social system. After the Olympic Games, its altered religious policy is meant to control religions as a method of ‘PRC United Front strategy.’ When we put a frog into a beaker of cold water and heat it up, the frog dies without being aware of the fatal heat. It seems to be certain that the Chinese government decided to employ its historical lessons and make use of the unyielding religion as a means to support the socialism system rather than continue persecuting it. Therefore, it is time to pick a choice. We can rest on the China’ s calculated policy like the frog in a beaker, or we should jump out of it before it is too late.

      • KCI등재

        로잔운동 선언문에 나타난 전문인 선교 개념 고찰

        김광성 ( Kim Kwang Seo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4 No.-

        전문인 선교는 현대 선교의 효과적인 선교전략 가운데 하나이다. 그런데 선교실천 현장의 상황과 변화 단계, 선교실천 목적의 다름으로 인해 전문인 선교에 대한 다양한 개념이 존재한다. 전문인 선교는 텐트메이커라는 개념에서 왔다. 텐트메이커라는 서구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국내 상황에 최적화된 용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평신도 선교, 직업(인) 선교, 자비량 선교 등의 용어를 혼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전문인 선교에 개념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였다. 개념이 정의와 명칭을 통해 언어로 표현된다고 할 때 용어의 불일치는 개념의 불일치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인 선교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함으로써 용어 불일치의 또는 용어 혼용으로 인한 개념 혼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로잔운동이 세계복음화를 위해 선교실천 현장에서 선교신학 주제를 발굴하고 연구하여 이에 대한 선교신학 이론 제공을 중요한 과업으로 삼고 있다. 1차 로잔대회에서는 전문인 선교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를 발견하는 어렵지만 전문인 선교의 이론적 근거가 된 일반 신도의 선교실천적 역할을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2차 로잔대회에서는 일반 신도의 일터와 직업을 선교 실천 영역으로 수용함으로써 평신도 선교로서의 전문인 선교의 전략적 중요성, 직업선교로서의 전문인 선교의 선교신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3차 로잔대회에서는 전문인 선교의 전략적 가치를 강조하면서 전문인 선교가 로잔운동의 중요한 주제로 자리 잡았다. 전문인 선교는 창의적 접근지역을 포함한 모든 선교현장에 적용할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뿐만아니라 로잔운동 선언문을 분석해 볼 때 로잔운동은 전문인 선교 개념을 통해 한국 교회 모든 구성원들에게 선교실천의 사명이 부여되었음을 인식하게 하는 선교신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로잔운동에서 제시하는 전문인 선교 개념을 준거틀로 전문인 선교의 용어 혼용과 개념 혼란의 문제를 해결한다면, 향후 한국 교회 세계선교와 국내 사역 현장에서 전문인 선교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될 것이다. The Tentmaker mission is an effective mission strategy of the modern mission. There are various concepts of Tentmaker mission due to differences in the situation of the field of mission practice, the stage of change, and the purpose of mission practice. The Tentmaker mission comes from the concept of a tentmaker.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Western term “tentmaker” into terms optimized for the domestic situation, terms such as Lay Pastor, Bi-vocational(person) Mission, and Self-Supporting Mis-sion were used interchangeably, resulting in confusion about the concept of the Tentmaker Mission. For the purpose of world evangelization, the Lausanne Movement discovers and studies the topic of mission theology in the field of mission practice, and makes it an important task to provide a theory of mission theology. At the 1st Lausanne Congress, it is only indirectly referring to the practical role of all church members, which becam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Tentmaker Mission. At the 2nd Lausanne Congress,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Tentmaker Mission as a lay mission and the Tentmaker Mission as a bi-vocational mission provided the theological basis for missions. The 3rd Lausanne Congress emphasized the strategic value of the Tentmaker Mission, and the Tentmaker Mission became an important theme of the Lausanne Movement. The Tentmaker Mission not only has important strategic values to be applied to all mission fields, including creative access areas but also has secured the theological basis for missions that make all church members recognize the mission practice. I think the Tentmaker Miss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missions and local church ministry.

      • KCI등재

        선교학 분야 한인디아스포 연구 동향과 과제 - 선교학 영역 한인디아스포라를 대상으로 연구한 학술지 논문(2001-2019년)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김광성 ( Kim Kwang Seong ),이강욱 ( Lee Kang Wo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7 No.-

        본 연구는 선교학 분야에서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기에 선교학 분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진행할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자는 2018년 “아세안지역 거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에서 선교학 분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인디아스포라에 대하여 연구한바 있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시스템을 통해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연구한 국내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고 데이터를 엑셀로 변환하여 분류, 검토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선교학 영역에서 한인디아스포라를 주제로 제출된 총 44편의 학술지 논문이 추출되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세 가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인 한인디아스포라의 거주 지역이 편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이다. 둘째, 선교신학 분야의 한인디아스포라 연구는 선교실천 영역에서 연구자의 지속적인 연구 결과물이 확보되지 않는 것이다. 셋째 지속적으로 한인디아스포라를 연구하는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음의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지역별 한인디아스포라 연구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역별 모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인디아스포라 모임을 분석하고 모임에서 도출되는 연구 결과물 확보를 위한 다양한 학술적 작업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diaspora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issiology at a time when interest and research on Korean diaspora are increasing in the field of missiology and to se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researchers put up an article “A Study to The Necessity of Korean diaspora Research for the Region of ASEAN.” Therefore the research team will analyze Korean academic papers that have been researched on topics related to the Korean diaspora in the field of missiology and exclude academic papers from the list. In this study, I searched Korean journal articles on the subject of Korean diaspora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System(RISS)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and converted the data into Excel for classification and review. As a result, a total of 44 academic papers submitted under the theme of the Korean diaspora were extracted from the field of missiology. The researchers found thre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area of residence in the Korean diaspora, which is studied, is biased. Second, the Korean diaspora study in the field of missiology does not have the continued research result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issionary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foster experts who continuously study the Korean diaspora. There are three ways to address these problems: First of all, it is to train experts in Korean diaspora research by region. Next, community-specific meetings should be organized, and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for various regions. Final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Korean diaspora group and support various academic work to secure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group.

      • KCI등재

        대한민국의 난민정책에 대한 교회의 선교실천적 접근 가능성 고찰

        김광성(Kwang Seong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3 No.-

        International migration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society. International migration has arose to be a global phenomenon. Globalization has influenced the rise of trans-national networks, and exponential developments i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has provided a continuous movement of various migrants such as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fugees. With the rise of the global phenomenon of international migration, the church community in every part of the world is participating in ministries in the area of multi-cultural ministries, migrant mission, diaspora mission and others. With the rising importance of research regarding migration, the field of missiology is also actively engaging in research regarding migration. Among recent migrant developments, refugees have grown to be a minority group or a target of needing urgent concern and care. However, due to various issues such as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impact of guaranteeing the rights of refugees, it is understood that governments and churches will have difficulty in engaging the refuge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refugee ministry that exploded in Europe from the context of South Korea and to address the means of developing a ministry within the church in Korea. Generally, refugees live in a very vulnerable circumstance. They are identified as those who fled their home country due to persecution and are forced to live in a country that speaks a different language with completely different culture. Refugees live in a country, whether home or abroad, that lack or do not guarantee refugee rights through government regulations. As a result, refugees require protection through special regulation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attempted to resolve the issue of refugees through establishing international agencie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However,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attempts in resolving the issue of refugees has prioritized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over against the basic human rights of the refugees. The international aid for refugees depends on th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human rights. Internationally, refugees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Geneva Convention on Refugees and are guaranteed aid an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set forth in the convention. However, this only amounts to minimum efforts in an attempt to maintain international order.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n refugees has been criticiz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being too restrictive. It has been indicated that South Korea has accepted extremely low numbers of refugees in comparison to other nations. However, Korea’s response to refugee crisis is changing. Especially after South Korea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Executive Committee of UNHCR in 2014, Korean government’s policy towards refugees are rapidly changing. In 2013, Korea was the first nation in Asia to pass a law regarding refugees, and in 2015 placed into practice Refugee Resettlement Hope Regulation, one of the most progressive refugee policy. However, it is argued that in reality only a small number of refugees are settled in Korea due to Korea’s mono-cultural background and lack of awareness refugee issues. This implies that even if a country that accepts refugees establishes national laws and practices progressive refugee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unless that country’s citizen’s understanding of refugees changes accordingly, a tremendous gap may exist in the humanistic belief that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a communal responsibility in responding to the refugee crisis. As a particular aspect of a broader migrant ministry, refugee ministry−much like a social welfare program−is a country-specific ministry. Therefore, Korean church’s refugee ministry must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ety’s current attempts at resolving refugee cr 국제이주는 현대사회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전 지구적인 현상이 되었다. 세계화의 영향으로 초국가적 네트워크가 출현하고 교통과 통신수단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이주노동자와 학생, 난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주자의 이동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국제이주가 보편화되면서 교회 공동체는 세계 곳곳에서 다문화 사역, 이주민 선교, 디아스포라 선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역을 실천하고 있다. 이주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면서 선교학계도 이주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최근 이주의 형태 가운데 난민은 소수자 영역 또는 긴급한 관심과 돌봄이 필요한 대상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난민문제는 국가안보, 책무 수행에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 등의 이유로 정부와 교회 모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있다. 본고는 유럽에서 촉발된 난민사역의 선교적 중요성을 대한민국의 상황에서 살펴보고, 이를 대한민국 교회의 사역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찾아보는 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난민은 본국에서 박해를 피해 언어, 문화 등이 전혀 다른 국가에서 생활할 수밖에 없는 매우 취약한(vulnerable) 상황에 놓인 이들이다. 난민은 자국이나 타국과의 권력구조에서 개인의 권한이나 국가의 권력이 부족하거나 결여된 상황에 놓인 이들이다. 따라서 난민은 특별한 프로그램을 통한 보호를 필요로 한다. 국제사회는 난민문제를 국제기구의 설립과 국제법 제정을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난민문제에 대한 접근은 난민의 기본적인 인권문제의 해결보다 국가 간의 정치적, 경제적 문제를 우선으로 하는 한계를 보인다. 국제사회에서 난민은 국제법의 정의와 인정기준에 따라 그들에 대한 국제적 지원이 달라진다. 국제사회에서는 난민은 제네바협약의 규정에 따라 난민 지위를 인정받은 사람이며, 이들은 국제난민협약이 정한 기준에 따라 지원과 보호를 받는다. 이런 접근은 국제사회의 질서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조치에 불과하다. 대한민국 정부는 난민인정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국내외의 비판을 받아왔다. 대한민국은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극히 적은 수의 난민을 수용하여 왔음도 지적된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난민문제에 대한 접근이 달라지고 있다. 특히 2014년까지 UNHCR 의장국이었던 대한민국 정부의 난민정책이 급격하게 바뀌고 있다. 2013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난민법을 제정하고, 2015년에는 가장 적극적인 난민정책인 재정착희망난민제도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단일민족이라는 문화적 배경, 난민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의 이유로 대한민국에 실제로 정착한 난민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평가도 있다. 난민을 수용하는 국가가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위해 국내법적 근거를 확보하고 적극적인 난민수용제도를 시행한다 하더라도 난민문제에 대한 국가적 인식의 변화가 뒤따르지 않으면 국제사회가 난민문제에 대해 공동의 책무를 감당해야 한다는 인도주의적 신념과는 거리가 먼 상황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주민 사역 가운데 특별한 영역인 난민사역은 사회복지사역과 마찬가지로 국가주도적인 사역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교회의 난민사역은 국제사회의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현상적 노력이나 대한민국 정부의 난민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대한민국 교회가 난민문제에 대해 응답해야 하는 것은 시대적 요청일 뿐 아니라 선교실천적 요청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교회는 난민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야 한다.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교회의 사명은 국제사회와 국가의 가시적 난민비호에 적극 동참하면서 동시에 난민들의 비가시적 상처를 평화로 화해와 회복으로, 그리고 사랑으로 품는 것이다.

      • KCI등재

        《종교사무조례》 수정초안에 나타난 중국 종교정책 변화와 로잔운동의 관계성 고찰

        김광성 ( Kim Kwang Seo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8 No.-

        로잔운동은 선교의 개념이 신학적 경향성에 따라 전도와 사회참여의 양극화로 치닫고 있던 1960년대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복음주의 진영의 세계 복음화 노력의 일환으로 1974년 로잔대회로 시작되었다. 로잔운동은 1989년 마닐라대회, 2010년 케이프타운대회를 거치면서 복음주의 진영을 결집하여 해외선교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우고 세계복음화에 대한 선교신학적 근거를 정리해 내는 등 세계 선교의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방향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였다. 이처럼 세계 복음화를 위해 복음주의 입장에서 에큐메니칼 진영의 선교신학을 아우르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로잔운동은 공산주의 확산이 복음전파를 방해하는 장애요인 이라고 판단한 복음주의 진영의 인식으로부터 여전히 자유롭지 못 하다. 2010년 케이프타운대회에는 200여 명의 중국 교회 대표단이 정부의 출국 불허조치로 인해 대회 참가가 좌절되면서 로잔운동과 중국 교회의 만남은 여전히 풀기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로잔운동이 중국 교회와 만나기 위해서는 중국이 시 행하고 있는 종교정책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전 제를 가지고 진행되었다. 종교정책 법제화를 자국 종교문제 해결의 우선과제로 삼고 있는 중국 정부는 최근 《종교사무조례 수정초안》을 발표하였다. 《종교사무조례》는 중국의 종교정책의 법적 근 거가 되므로 《시행초안》에 대한 분석은 향후 중국 종교정책을 가늠 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수정초안》 내용을 분석해 보면 다음의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첫째, 중국 정부는 중국 교회의 대외교류를 보다 철 저하게 통제할 법적 근거를 갖추게 된다. 둘째, 중국 정부의 종교 활동에 대한 통제 영역이 국내에서 국외로 확장 되었다. 셋째, 중국 정 부는 오프라인에서의 종교 활동 통제 범위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에서의 종교활동으로까지 확장하였다. 아울러 종교 신앙의 자유를 보장하면서 종교 활동은 철저하게 통제하는 이중적인 종교정책을 시행해 온 중국 정부가 경제발전과 종교의 양적 성장의 결과로 축적 된 종교재산을 종교계가 종교 발전을 위해 재투자할 가능성을 방지 하기 위한 규제조항을 대폭 강화하면서 향후 중국 정부의 종교정책 은 법적인 근거를 활용한 철저한 통제정책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 중국의 종교정책은 이미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 1978년 개혁개방 정책을 시행하면서 중국은 사회주의를 새롭게 해석하여 이른바 `중국적 특색을 지닌 사회주의`를 표방하였다. 이에 따라 종교를 강제적으로 말살하려는 전통적인 종교정책을 포기하고 종교계의 모든 역량을 사회주의 발전에 집중시키기 위한 종교 자유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사회주의 이념체계에 서는 종교가 존재하도록 내버려둘 수 없다. 그러나 통일전선전략 차원에서 종교를 사회 현상으로 간주하면서 종교가 사회주의 사회에 존재하는 현실을 인정한 것이다. 로잔운동은 세계 복음화를 방해하는 장애요인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공산진영의 존재는 중요한 장애요인 가운데 하 나이다. 그러나 세계 복음화를 위해서는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추구해야 할 대상이기도 하다. 중국 정부에게는 사회주의사회 건설 이 최우선 과제이다. 현대 중국에서 종교 특히 서구 종교인 기독교 는 사회주의 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전향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면 로잔운동은 중국 교회와 동반 자적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 The Lausanne Movement began in 1974 with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n World Evangelization as part of the evangelical camp`s effort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1960s when the concept of missions was heading towards polar extremes of evangelism and social participation depending on one`s theological tendency. Through the Lausanne II in Manila in 1989 and the Cape Town 2010, the Lausanne Movement has brought together the evangelical camps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olog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world missions such as awakening the importance of overseas missions, summarizing theological grounds for world evangelization, etc. Although the Lausanne Mov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of the evangelical camp in encountering the theology of missions of the ecumenical camp for the purpose of world missions, it is still not free from the evangelical camps`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that communist proliferation would be an obstacle to the preaching of the gospel. At Cape Town 2010, around 200 delegations of the Chinese church from China were not able to attend the Congress due to the government`s refusal to grant permission to the delegation to travel abroad. As a result, the meeting between the Lausanne Movement and the Chinese church continues to remain as a difficult task to solv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remise that in order for the Lausanne Movement to meet with the Chinese churc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policies implemented by China must precede the meeting. The Chinese government, with its legislation on religious policy that prioritizes solving religious problems in the country, recently announced Religious Affairs Draft Revisions (Deliberation Draft). Since the Religious Affairs Draft Revisions is a legal basis for China`s religious policies, the analysis of the Deliberation Draft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future religious policy in China.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eliberation Draft, we can detect several important changes. First, the Chinese government will have the legal basis to more thoroughly control the Chinese church`s contact with foreign groups. Second, the Chinese government`s control over religious activities has expanded beyond domestic to abroad. Third, the Chinese government has extended its offline control of religious activities from offline to online. In addition,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has implemented a dual religious policy that guarantees freedom of religion while strictly controlling religious activities, has significantly strengthened regulations preven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religious community will reinvest religious assets accumulated as a resul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quantitative growth of its members for further growth of their religion. Therefore, going forward the Chinese government is expected to implement a strict control policy based on legal grounds. However, the religious policy of modern China has already been fundamentally changed. In implementing the Open Door Policy in 1978, China reinterpreted socialism and proclaimed the so-calle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has abandoned the traditional religious policy to forcibly annihilate religion and started to strongly promote freedom of religion policy to focus all the capabilities of the religious system on socialist development. In a socialist ideological system, religion cannot be left to exist. However, from a unified frontline strategy perspective it regards religion as a social phenomenon and recognizes the reality that religion exists in socialist society. The Lausanne Movement places highest priority on overcoming obstacles that hinder world evangelization. The existence of the communist camp is one of the major obstacles. However, it is also the target of companion for partnership to seek after for world evangelization. For the Chinese government, building a socialist society is its top priority. In modern China, religion, especially Western religion of Christianity, is becoming an important power in the development of socialism. If this situation can be understood prospectively, the Lausanne movement has full potential to establish a companion partnership with the Chinese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