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힐레벡스의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해

        권영파(Kwon, Youngpa),이규성(Lee, Kyous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3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론은 라너(K. Rahner) 신학을 대변한다. 그런데 교회 밖의 구원 가능성에 관한 긍정적 논의는 블롱델(M. Blondel)로부터 신신학(Nouvelle Théologie)으로 이어지는 신학 조류 안에서 공의회 이전부터 발전하고 있었다. 도미니코 수도회 르솔슈아르(Le Saulchoir) 학파에 속했던 스힐레벡스(E. Schillebeeckx)도 라너와 비슷한 시기에 독자적으로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론을 전개했다. 본고는 1971년 이전 작품을 중심으로 교회 밖의 비그리스도인이 하느님의 보편적인 구원 활동과 연결되는 지점을 정리한다. 스힐레벡스는 하느님과 인간의 특별한 관계를 ‘theologal’로 집약하며 자유의지를 갖고 하느님과 친밀한 상호 주체적 친교를 맺는 인간을 그려낸다. 그는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을 향한 정향성을 회복한 인간은 세상의 구체적 경험을 통해 하느님 앞에 선다고 말한다. 스힐레벡스는 의미를 추구하고 보다 나은 세계를 건설하려는 인간의 모든 노력도 하느님의 구원은총이 작용한 ‘익명의 종교성’으로 간주한다. 그런데 스힐레벡스는 역사라는 상대적 실재에서 그리스도라는 절대적 실재가 드러나고 인간의 삶은 익명성에서 벗어나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 의지에 개방된 향주적인 삶의 지평으로 진입한다고 한다. 이처럼 스힐레벡스는 그리스도의 자기 전달 안에서 인간 경험의 초자연적 심연의 차원이 드러나면서 인간이 진정한 자기 이해에 도달한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해에서 ‘세계 밖의 구원은 없다’는 주장의 그림자가 확인된다. 스힐레벡스의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론은 교회의 선교 임무를 약화시키지 않는 가운데 비그리스도인 뿐 아니라 신앙인의 일상에서 하느님의 은총을 발견할 수 있는 좋은 틀을 제시할 뿐 아니라, 살아계시는 하느님의 활동을 세계 안에서 사랑과 정의 실천으로 증거하며 세계와 함께 보다 나은 역사를 건설할 그리스도인의 사명을 말해준다. Although K. Rahner is famous for the theologoumenon of ‘anonymous Christian’, the movement of seeking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outside the Church was endemic among Catholic theologians in decades preceding Vatican II. Maurice Blondel laid the groundwork for this stream followed by Nouvelle Théologie. The notion of ‘anonymous Christian’ has analogues in the writings of Edward Schillebeeckx, a Dominican affiliated with the School of Le Saulchoir, around the time that it appeared in Karl Rahner’s works. In this paper, Schillebeeckx’s understanding of ‘anonymous Christian’ was analyzed based mainly on his works written before 1971 while asking how an anonymous Christianity stands within the dynamism towards the end of God’s universal salvific activity. Schillebeeckx draws the uniqu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eing and God by using neologism of ‘theologal’. By ‘theologal’, Schillebeeckx intends to give salient to the reciprocity and inter-subjectivity of human beings reflected on an intimate relation with God. According to Schillebeeckx, man who had recovered his tendency toward God by the Grace of Jesus Christ stands before God only through and in a concrete experience in the world. In Schillebeeckx’s the theology an ‘anonymous religiosity’ is not confined on the religious activity, but extended to understanding man’s endeavor of seeking the meaning of his existence and of looking for a better world. He argues that man’s eagerness for these endeavors has its root in the saving activity of God. Besides, according to Schillebeeckx, man’s life enters into a theologal life only when his existence is removed from his anonymous status by opening himself toward Christ, who is the absolute reality revealed in the horizon of history. In this theologal life, the implicit transcendental horizon of life manifests the mystery of God. In the face of which the self-understanding of man reaches to his very core within the absolute self-communication of Christ. From this perspective, in his theology the proposition of “Extra mundium nulla salus” is not contradictory to the roposition of “extra ecclesia nulla salus.” Schillebeeckx’ theory of ‘anonymous Christian’ presents a perspective from which we Christians can recognize the grace of God working in our concrete daily life in this world without sacrificing the task of mission granted to the Church. Also it reflects the vocation of every Christian to devote themselves on ‘building a better world’ with and in the world while testifying the existence and saving activity of God by our practice of love and justice in our daily life.

      • KCI등재

        세계 안에서 하느님과 함께 - 스힐레벡스 인간학의 현대적 함의 -

        권영파(Kwon, Youngpa),이규성(Lee, Kyousu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3

        스힐레벡스는 신앙의 위기를 직면하며 다양한 사상과 시대조류에 응답하는 신학자였다. 그는 아퀴나스 신학에 굳건하게 발을 딛고 신학과 인간학을 동전의 양면처럼 구성하는 가운데 그리스도교 밖의 동시대인들에게 공명할 수 있는 인간학을 제시했다. 스힐레벡스의 인간학은 인간이 자유의지를 지니고 세계 안에서 인간과 맺는 모든 관계 경험이 하느님과 연결되는 고리를 보여준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육체와 정신의 합일체로서 세계 안의 자기 이해를 통해 하느님 인식에 다다른다. 그에게서 보다 나은 세계를 건설하려는 인간의 열망과 궁극적인 실재를 궁구하는 갈망은 하느님과 연결된 인간의 보편적 특성을 드러내는 모습으로 이해된다. 한편, 스힐레벡스는 세계 안의 고통과 악이라는 경험 앞에서 분노하며 저항하는 경험의 의미를 정치신비주의 맥락에서 해석한다. 그에 따르면 고통 앞에서 인간은 지금과는 다른 상황을 꿈꾸며 이를 실현하려는 움직임을 실천한다. 여기서 희망은 고통과 악에 맞설 힘을 줄 뿐 아니라 현재를 딛고 세계가 나아갈 미래의 길을 보여준다. 스힐레벡스는 이처럼 고통과 악이라는 부정적인 경험을 새로운 지평으로의 진입 순간으로 해석하며 정의로운 사회 건설을 위한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사회정치 변혁을 위한 스힐레벡스의 실천 이해에서 사회변혁의 주체는 인간이 아니라 인간 안에서 활동하시는 하느님이다. 스힐레벡스에 따르면 이러한 지평의 변화와 투신 안에서 인간의 진정한 자기실현과 하느님 경험이 일어난다. 스힐레벡스는 세상 안에 살아가는 모든 경험과 관계 및 인간의 존재 의미를 초월과 연결하여 바라보는 시야를 열어준다. As a theologian, E. Schillebeeckx was always ready to respond to a crisis of faith or of the Church. While his beliefs were grounded in Aquinas theology, he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currents of thought to build an anthropology around the theological themes of creation-salvation-eschatology. Using a coin with a side of theism and a side of anthropology, Schillebeeckx shows how all the daily experiences in which we use our free will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ur fellow human beings are linked to our relationship with a living God. According to Schillebeeckx, a human being is a unity of body and spirit, and only through this unity can man experience self-understanding and God. To Schillebeeckx, all efforts towards constructing a better world and the pursuit of an ultimate reality are signs of the universal nature of man who was created by God as a co-worker in continuing creation, salvation. Schillebeeckx also argues that the experience of suffering is the place to encounter God’s act of salvation. In Schillebeeckx’s theology, this moment of resistance to evil of the world bears a political–mystical meaning. Through this devotion to the construction of a better world, we can recognize that the One who is calling us to an intimate personal relationship is God Himself, Who is working in and through our resistance against the evils of this world. The anthropology suggested by Schillebeeckx widens man’s insight into the transcendent meaning of both our daily life and our existence in this world.

      • KCI등재

        가톨릭교회 문헌에 나타난 선교와 복음화의 의미

        권영파(Youngpa Kwo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7 No.-

        하나의 신앙을 고백하는 그리스도교인 모두는 예수가 그리스도이심을 선포하는 자리에서 만난다. 본 연구는 선교라는 공동과제를 전망하며 로마가톨릭교회의 선교관련 문헌-『교회의 선교활동에 관한 교령』, 『현대의 복음선교』, 『교회의 선교사명』, 『복음의 기쁨』-에 나타나는 선교와 복음화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문헌이 작성된 시기의 배경과 신학을 살펴보는 가운데 추출한 내용에 따르면, 선교는 말씀 선포뿐만이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이 복음화를 위해 경주하는 일상의 증거를 지시한다. 이때 선교의 대상은 비그리스도인만이 아니라 교회를 떠난 사람과 교회 안에 머물며 하느님께 보다 가까이 가려는 모든 이를 포함한다. 한편, 본 연구는 교회 문헌에 따르면, 선교의 결실이자 목표는 복음화(evangelization), 곧 복음의 힘으로 개인과 문화의 가치관, 양심, 활동의 회심을 불러일으켜 그리스도인의 삶으로 하느님나라를 지금 여기에서 살아가도록 이끄는 여정을 의미한다고 정리한다. 이러한 교회의 선교 이해에서 교회를 통한 구원의 필요성은 결코 포기되거나 약화됨 없이 견지된다는 점도 분명히 나타난다. Within One Faith, we all christians who believe in Jesus Christ meet in one place where Gospel is proclaimed. This study aims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both ‘mission’ and ‘evangelization’ appeared in the document of Roman Catholic Church. Those document analysed in this paper are Ad Gentes, Evangeli Nuntiandi, Redemptoris Missio and Evangelii Gaudium. In this research not only the context in which these documents had been written but the underlying theology of each document wer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mission is understood as a witness of Gospel in daily life and also as a proclamation of Gospel, while object of missions includes non-christian of course, those who leaved the Church and also those who are living a life of faith. According to the documents examined in this study, evangelization is the fruit and final ends of missionary activity.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evangelization is bringing about the conversion in the criteria of judgement, determining values, lines of thoughts so that enable them to live in the reign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