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가한 건축상과 남아시아 현대 이슬람 건축의 이해

        구하원 ( Ha Won Ku ) 한국이슬람학회 2015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25 No.1

        The Aga Khan Award for Architecture is one of the endeavors led by the Aga Khan IV, the hereditary Imam of Nizari Ismailis who form the second-largest branch of Shia Islam. Initiated in 1977 and awarded every three years, the last Award was presented in 2013, with its prestige rivalling the annual Pritzker Architecture Prize. However, while the Aga Khan Award for Architecture rewards projects which demonstrate architectural excellence and respond to their social, economic, technic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t also emphasizes a heightened awareness of the roots and essence of Muslim culture, as well as the potential to stimulate related developments elsewhere in the Muslim world. This article examines the awardees of South Asia, focusing on three examples: the Mughal Sheraton Hotel, Agra; Sher-e Bangla Nagar or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Dhaka; and the Grameen Bank Housing Program of Bangladesh. Through these examples, I argue that the Award has been responsive to the history and plights of South Asian Muslims; however, I argue its emphasis on Mughal heritage has discouraged further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Islamic architecture and its vocabulary in South Asia.

      • KCI등재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와 『마누법전(Mānava Dharmaśāstra) 』의 번역

        구하원(Ku, Ha-Won) 한국인도학회 2013 印度硏究 Vol.18 No.2

        윌리엄 존스(1746-1794)는 영국의 오리엔탈리스트(Orientalist)로 언어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1783년 벵골 대법원(Bengal Supreme Court) 배석판사(puisne judge)로 임명된 후 벵골의 아시아 소사이어티(Asiatic Society of Bengal)를 창립하는 등 캘커타에서 여생을 보냈다. 그는 판사로서의 직무를 행하며 1788년 힌두와 이슬람 법률을 집대성하는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산스끄리뜨어를 공부하며 1794년『마누법전(Institutes of Hindu Law; or, the Ordinances of Menu)』을 영어로 번역하였다. 『마누법전』은『마나바다르마샤스뜨라(M?nava Dharma??stra)』 또는『마누 스므리띠(Manusm?ti)』라 불리는 경전으로서, 소송 및 형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인도법에 관한 한 가장 오래된 저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영국이나 인도에서 존스는 개인적으로 매우 진보적인 성향을 보여주었으나 식민통치의 주체로서 인도인들을 인도인들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즉 절대 권력으로써 통치해야 한다는 신념을 보여주었다. 인도인들 고유의 방식으로 통치하기 위한 일환으로 존스는 인도인들의 법전을 번역하는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이는 당시 총독으로 파견되었던 헤이스팅스와 콘월리스의 정책과도 부합하였다. 그러나 『마누법전』에 지나친 의미를 부여하며 번역한 결과 『마누법전』과 이를 해석하는 빤디뜨(pa??it)들은 살아있는 전통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고 법전의 내용 역시 영국 판례법의 근거로 전락하게 되었다. 결국 존스는 인도 근대 식민치하에서 법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이에 적합한 새로운 규정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다. Sir William Jones (1746-1794) was a learned British Orientalist and hyperpolyglot, known to have knowledge of more than forty languages. After being appointed to the position of puisne judge of the Bengal Supreme Court in 1783, Jones spent the rest of his life in Calcutta. In addition to performing his legal duties, he formed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and edited its journal, as well as publishing numerous articles on Indian languages, literature, and law. While serving as judge he recognized the need to translate and compile a collection of Indian law, which led to the study of Sanskrit and the translation of the M?nava Dharma??stra, one of South Asia’s most ancient books of law discussing details on civil and criminal law, from Sanskrit into English as Institutes of Hindu Law; or, the Ordinances of Menu, which was published in 1794. While Sir Jones was liberal in his thoughts or personal writings in England or India, his thoughts had certain limits due to his role as colonial administrator. He believed that Indians needed to be ruled under an absolute power, a thought that coincided with Governor General Warren Hastings’s notion of Orientalist form of government. As a means of such administration, Jones proceeded to translate the M?nava Dharma??stra for the Indian peoples; however, due to misunderstandings about the function of the text itself as well as the role of the pandits, Jones and his successors overestimated the significance of such ‘traditional’ scriptures. In addition, the translation of such law books resulted in the books ultimately replacing the authority of the pandits, who in actual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ustaining the vitality and adaptability of such texts. The contents of the law books also came to function as mere examples and/or explanations for future cases. Thus Jones and his translations led the development of a new paradigm, based on ‘tradition’ but only suitable for British colonial rule in South Asia.

      • KCI등재

        식민치하 ‘인도’ 건축에 대한 해석

        구하원(Ku Ha-Won) 한국인도학회 2010 印度硏究 Vol.15 No.1

        인도 근대 건축사에서 지방 원주민 군주들을 위해 지어진 궁성 건축의 대표적인 예로 바로다라(Vadodara)의 락슈미 빌라스 궁전(Lakshmi Vilas Palace, 1890)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궁전 건축들은 서양의 건축양식과 건축적 요소, 의미 등이 인도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어떤 방식으로 변용되었는지 보여주는 예로 연구되었으나, 후원자와의 관계나 현재의 해석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락슈미 빌라스 궁전의 역사와 건축적 전통, 현재 이루어지는 학술적 논의, 그리고 이의 한계를 살펴보며, 후원자였던 마하라자 사야지 라오 개끄와르 3세의 전기를 통해 새로운 해석을 하고자 한다. 락슈미 빌라스 궁전은 인도 서북부 구자라뜨(Gujarat)와 마하라슈뜨라(Maharashtra) 지역을 다스렸던 바로다 왕국(Baroda)의 마하라자를 위하여 지어진 궁전이었다. 당시 마하라자는 미성년자였으며 궁전의 설계는 영국인 교사 등 친영파 인물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결국 궁전은 만트(Mant)와 치좀(Chisholm) 등 두 명의 설계에 따라 지어졌으며 오늘날까지 지방 원주민 군주가 후원한 인도 근대 건축 중 가장 뛰어난 예로 꼽히고 있다. 이는 19세기말 인도에서 영국 식민통치를 위해 지어지던 관공서 건축 양식으로 유명한 ‘인도-사라세닉 양식’으로 지어졌는데, 인도-사라세닉 양식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달리 락슈미 빌라스 궁전은 상당히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건축사적인 평가에 기인하기보다는 후원자 사야지 라오 3세의 적극적인 이미지 구축과 유지에 기인한 것이었다. 개혁적인 군주로 평가받기도 하였던 사야지 라오는 다양한 이들에게 전기를 집필하도록 주문하였는데, 이의 영향으로 락슈미 빌라스 궁전에 대한 인식이 꾸준히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락슈미 빌라스 궁전은 건축적으로는 원주민 군주들과 식민 통치의 영합을 반영할 뿐이지만, 마하라자 사야지 라오가 활동한 다양한 역할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았던 것이다. As one of the most famous palaces built for a Native Prince during the 19th century, the Lakshmi Vilas Palace at Vadodara (Baroda) has been briefly discussed in various art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studies.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its stylistic features (i.e. "Indo-Saracenic Style" of architecture) or its significance in modern Indian architectur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role of its patron, Maharaja Sayaji Rao Gaekwad III of Baroda, as well as its architectural features and traditions. The Lakshmi Vilas Palace was built for Maharaja Sayaji Rao when he ascended the throne to the Princely State of Baroda in 1875. As a minor, most of the plans were decided by colonial representatives, and the palace was completed in 1890 according to the plans of Major Charles Mant and Robert Chisholm, both famous for their Indo-Saracenic style architecture in India. It is still considered an outstanding example of indigenous palace architecture built during the 19th century, an assessment which was most likely enhanced by the self-constructed images of Maharaja Sayaji Rao. According to several biographies of the Maharaja, the Maharaja carefully controlled his image as a progressive and enlightened ruler, as well as supporter of nationalist movements during the colonial rule. While architecturally the Lakshmi Vilas Palace reflects the affiliation of the "native prince" and colonial rule, the negotiations of the Maharaja in his political roles enabled multiple readings of the palace itself.

      • KCI등재

        근대성의 건축 : 식민 치하 인도 칼리지와 대학교 건축의 고찰

        구하원(Ku, Ha-Won) 한국인도학회 2016 印度硏究 Vol.21 No.1

        이 논문은 식민 치하에서 설립된 인도 고등교육기관의 여러 면모 중 건축을 분석하여 서구의 근대적 교육에 대한 당시 영령인도정부 및 인도인들의 인식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칼리지와 대학교의 건축은 해당 지역과 설립 시기, 설립 주체의 자산(資産)과 취향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지어졌으나, ‘교육기관’이라는 특성상 설립 주체의 이념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지녔다. 특히 라즈꼬뜨의 라즈꾸마르 칼리지와 아즈메르의 마요 칼리지는 영령인도정부가 인도 왕족의 교육을 위해 설립하였으며, 바라나시의 센트럴 힌두 칼리지(現바나라스 힌두 대학교)와 알리가르의 모함메단 앵글로-오리엔탈 칼리지(現알리가르 무슬림 대학교)는 인도인들이 인도의 힌두교도와 무슬림 상류층을 교육시키기 위해 설립한 학교들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분명한 설립 목표를 지닌 고등교육기관으로 위 네 개의 학교를 선택하여 각각의 설립 이념과 건축, 그리고 이러한 건축이 근대성과 식민통치성을 표출한 방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라즈꾸마르 칼리지와 마요 칼리지의 건축이 인도 지배층에 대한 영국인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 알리가르 무슬림 대학교와 바나라스 힌두 대학교의 건축은 인도인들이 근대성, 즉 식민 통치의 기반이자 정당화의 근거로서 서구의 우월함을 어떤 방식으로 이해하며 인도의 새로운 지도자들에게 배양시키고자 하였는지 고민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유사한 목표를 지닌 근대적 교육기관 내에서도 다양한 건축적 양식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분석함으로써 식민 치하 인도인들이 서구의 지배에 어떤 방식으로 도전하고 변용하며 이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였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thoughts surrounding modern education among the British government and Indians in colonial India, this article examines the architecture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established under British colonial rule. The architectur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ppear in a variety of styles according to their regions and dates of establishment, wealth and taste of patrons, but as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also largely affected by the beliefs and philosophies of the establishers. Among these institutions, Rajkumar College, Rajkot, and Mayo College, Ajmer, were established by the Presidencies of British India, while Central Hindu College (later Banaras Hindu University) of Varanasi and Mohammedan Anglo-Oriental College (later Aligarh Muslim University) of Aligarh were established by Indians.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in patrons and financial support, th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all established for similar purposes: the education of the Princes or elite Indians. This article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architecture, as well as discourses on the modernity and/or colonial governmentality reflected in these four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le the architecture of Rajkumar College and Mayo College reflects 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British Raj towards education of Indians, the architecture of Aligarh Muslim University and Banaras Hindu University display the disquiet of Indians in translating and relating modernity, i. e., the rationale and basis of Western dominance, to the indigenous elite. However, such educational goals were expressed and realized in multiple ways and were not always successful nor consistent; this article suggests the modes of challenge and adaptation of Western colonial rule by the Indian elite through a nuanced reading of the visual representations, i.e., the architecture of such colleg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새로운 전통의 구축

        구하원(Ku, Ha-Won),이춘호(Lee, Choon-Ho) 한국인도학회 2012 印度硏究 Vol.17 No.2

        움직이는 이미지인 영상을 담은 역동성으로 인해 영화의 비평과 분석은 그 주제와 내용에 한정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영화의 배경, 특히 건축과 내부 장식과 같은 시각문화는 인물이나 사건의 연장선상에서 분석하며 비평할 수 있다. 영화의 배경은 관객이 스스로를 영화에 몰입시키는 ‘중간 지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특정 국민국가 또는 집단의 동질성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표출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발리우드 영화로 불리는 인도의 상업영화는 서구영화나 신인도영화와 달리 표현에 있어 리얼리즘이나 연속성에 대해 크게 구애받지 않아 그 배경에 대한 연구가 더욱 흥미롭다. 이 논문에서는 발리우드 영화로서 최고의 흥행수입을 올린 〈세 얼간이〉와 함께 배경이 유사한 학원물 〈모합바뗑〉의 줄거리와 배경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며 비교하였다. 특히 배경으로 사용된 건축 중 영국 윌트셔의 롱릿저택과 인도 방갈로르의 IIM을 비교함으로써 대학이라는 새로운 근대적 교육기관과 전통적인 스승상을 그린 방식을 고찰하였다. 또한 두 영화의 배경으로서 학교 안의 공간들(교장실/총장실, 강당, 정원이나 물탱크)과 학교 밖의 공간(커피숍과 병원, 주거 공간 등)에 나타나는 시각 문화를 분석하여 두 영화가 전통과 권위를 대하는 태도를 비교하였다.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cinema has mostly focused on the subject matter and narrative, due to the fact that the cinema is an amalgamation of moving images. However, the setting of a movie, especially its architecture and decor, can provide much insight into the plot and characters of a movie. This setting performs as an ‘in-between’ space, providing a place in which the viewer can insert oneself into the narrative despite his or her lack of experience. It also acts as a medium for the nation state, which aims to create an imagined state of homogeneity. Bollywood cinema, in contrast to western cinema, has not focused so much on the aspects of realism or continuity, which has allowed directors to work much more freely throughout history. In this paper, we examine Three Idiots, the Bollywood movie with highest profit in India as well as the world, with Mohabbatein, a movie based in a similar academic setting. Particularly, by comparing Longleat, the setting of the school in Mohabbatein, and the Indian Institute of Management Bangalore, the setting of 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 and DWTS, the setting of Skitsal School in Three Idiots we aim to discover the visual culture suggested and established by the directors. We also compare significant settings within the school: the headmaster’s office, the main hall, gardens and water tower, as well as settings outside and thus free from the authority of the school: the coffee shop, hospitals, and residences. Through such comparison we aim to analyze the approach towards authority and tradition in both movies and how the main characters/audience seek to overcome or establish new visual traditions.

      • KCI등재

        South Asian Art History Since the 1990s

        Ku, Ha-Won(구하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09 남아시아연구 Vol.15 No.1

        본 논문에서는 남아시아 미술사 연구의 최근 연구 경향을 논하고자 한다. 2003년 출간된 남아시아 미술사 서지(書誌)를 기반으로 하여 남아시아 지역을 소재로 한 미술사 출판물을 주제별로 간략히 소개한 후, 식민 치하 남아시아 미술사가 구축된 과정을 추적하여 그 태생적 한계를 설명한다. 즉 19세기 경험주의적 학문으로서 근대적인 역사학이 형성되면서 미술사학은 역사학을 보조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학문으로 형성되었으며, 특히 서구의 지배하에 놓인 식민지에서 미술사는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는 논리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문학, 인류학, 역사학, 여성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일어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1980년대부터 남아시아 미술사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도모하였다. 그리하여 최근의 연구 경향으로는 다학문적 또는 학제적 접근방식을 통한 미술사적 고찰과 보다 다양한 소재의 미술 사적 해석, 그리고 근ㆍ현대 미술에 대한 논의가 증가한 것을 들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rends found in South Asian art history since the 1990s. Based on a bibliography of South Asian art history compiled in 2003, it introduces the scope of South Asian art history from 1993 to 1998. Following a brief discussion of the formation of art history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also aims to explain the limits inherent in the discipline. As a discipline seeking to fulfill a role within empirical history, art history has been utilized as a powerful tool in creating modernity, especially within the colonial context. However, recent trends in South Asian art history display new approaches. Firstly, we can find the enthusiastic embracing of multi-disciplinary or inter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the adaptation of theories advanced in anthropology, ethnography, history, and literature. Secondly, subject matters that have been ignored within the traditional narrative of art history have been gathering more interest. Lastly, an interest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which also leads to the subject of identity, has been arising in recent studies of South Asian art history. These trends reflect a broadening of topics in both period and media, as well as approaches within the discipline.

      • KCI등재

        인도의 역사교과서 논쟁과 시기별 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서술

        구하원(Ku, Ha-Won) 한국인도학회 2018 印度硏究 Vol.23 No.1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인도의 역사교과서에 대한 논쟁과 개정 경과를 살펴보고, 각 시기별 역사교과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해 서술한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식민사관과 종교적 편견을 지양하고 독립국가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지닌 1차 교과서는 1966년 출간되기 시작한 후 2002년까지 사용되었으나, 정치적 상황이나 역사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여러 가지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2002년에 출간된 2차 교과서는 역사적 사실의 왜곡과 편향성으로 큰 비판을 받고 2007년 3차 교과서로 대체되었는데, 이 역시 서술이나 교육 방식 등 여러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이 논문은 시기별 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인도 최초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즉 아잔따 석굴사원과 엘로라 석굴사원, 따즈마할에 대한 서술을 비교하였다. 1차 교과서의 집필진은 ‘인도’라는 새로운 독립 국가가 형성된 과정을 중시하여 특정 세계유산에 대한 서술이 편향되었다면, 2차 교과서의 세계유산에 대한 서술은 당시 집권당의 정치적 노선에 따라 힌두중심적인 성향이 뚜렷이 드러났다. 한편 3차교과서는 보다 창의적인 교육을 지향하면서 세계유산이나 예술 작품에 대한 논의방식도 달라졌다. 이와 같이 교과서에 실린 세계유산에 대한 서술이 변화하는 모습을 통해 한편으로는 국가가 국제기구에 세계유산을 등재함으로써 꾀하였던 국가 이미지와, 다른 한편으로는 국민을 양성하는 권력행위인 교육을 통해 드러나는 국가 정체성 사이의 균열(rupture)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을 지적함으로써 국가가 역사를 이해하며 이용함으로써 의도하고 지향하는 바를 밝힐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roversies and publications of three sets of history textbooks in India and the description of UNESCO World Heritages in each set. The first set of textbooks, aimed to purge history of colonial historiography and religious prejudice and build a new national identity, was published from 1966 and used until changes in political surroundings and historical approaches deemed it unsuitable in 2002. However, serious issues related to misrepresentation of historical facts and religious bias were raised about the newly published Set 2 (2002). Set 2 was replaced with textbooks of Set 3 (2007), which however still retained several problems in their historical perspectives or pedagogical approaches. In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I examine the description of three World Heritage sites of India, i. e., Ajanta Cave Temples, Ellora Cave Temples, and the Taj Mahal, within each set of textbooks. While the first set of textbooks discussed the World Heritages within the authors’ narratives focusing on building a newly independent nation of ‘India’, the second set displayed a Hindu-centric pre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World Heritage sites. The third set of textbooks focused on providing a more creative education, which led to a different approach towards World Heritages or works of art. Thus I argue that these differences in the narratives of World Heritages in three sets of textbooks reveal a rupture between the national identity propelled by the State through international agencies on the one hand, and the national identity reflected in national education as a means of producing a citizen on the other. Identifying this rupture will lead to reveal the imaginary desires and ideas of the nation-State, driven by its perception and use of history.

      • KCI등재

        전통과 이슬람: 인도네시아 근대 모스크 건축 양식의 이해

        구하원 ( Ha Won Ku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1 東亞 硏究 Vol.30 No.1

        Mosque architecture in Indonesia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wo different styles. The first is based on 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of Southeast Asia, in which a timber building with a hipped pyramidal roof is built on top of stilts. The second is more readily readable as “Islamic,” due to the use of arches, bulbous domes, and minarets on the building. In Southeast Asia, mosques of the second type were built only after the late- 19th century, and have been categorized as “Mughal/Mogul,” “North Indian,” “Indo-Islamic,” or “Indo-Saracenic” style mosques.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architectural changes found in Indonesian mosques focusing on two examples of each style: the Agung Masjid Demak (Demak Great Mosque), which was built in the traditional style, and the Masjid Raya (or Baiturahman Mosque) at Aceh, which was built by the Dutch in the new, ``Islamic``, style. I argue that the new style of mosques reflected the conscious rejection of the traditional mosque and power structure on which it was based. I also suggest that these mosques be categorized as ``Colonial-Islamic style``, as they represented a European interpretation of Islamic architecture. Due to its eclectic features, as well as the rise of Islamic scripturalism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 new colonial-Islamic style architecture came to be accepted among Indonesians as a symbol of the Pan-Islamic community, leading to many other examples built in this style after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