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학자들의 김사량문학 수용과정 연구 - 1970년대 전후를 중심으로 -

        곽형덕 ( Kwak Hyoungduc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2 No.-

        이 논문은 `재일조선인문학`자들이 전후 자신들의 문학적 입지를 형성해 가는 과정 가운데, 김사량문학을 어떤 방식으로 수용했는지를 밝힌 글이다. 지금까지 김사량문학과 일제말 `재경조선인` 및 해방 후 `재일조선인`과의 연관에 관한 연구는 여러 편 나왔다. 하지만, 재일조선인문학이 어떻게 김사량문학을 자신들의 문학적/사상적 준거로써 위치시켰는지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으로 언급만 돼온 실정이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재일조선인문학자들이 김사량문학을 수용해 가는 과정을 큰 틀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관점을 통해 해석했다. 첫째, 재일조선인문학이 전후 일본 문단에서 부상해서 하나의 `장르화`되는 과정과 김사량문학 재평가가 긴밀하게 연계돼 있는가. 둘째, 재일조선인문학자들의 언어관은 김사량문학과 어떠한 공약적 혹은 비공약적 접점을 공유하는가. 이러한 두 가지 큰 틀을 통해 1970년대 당시 김사량문학이 한국문학자도 아니고 북한문학자도 아닌, 또한 한국과 북한 그 어느 쪽의 편도 들어줄 수 없는 `고향회복`을 지향하는 `재일조선인문학자들`에 의해 `전면적`으로 수용된 그 당위성을 분석했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ception of Kim Saryang`s literary works by Zainichi Korean writers seeking to establish their position in the post-war Japanese literary world. Current research papers tend to focus on the link between Kim Saryang`s literature and Koreans living in Tokyo during the wartime period, or to Zainichi Koreans during the post-war era.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reating Zainichi Korean writers` reception of Kim`s literature and the role it played in their own thought and literary creations. I will focus on the reception of Kim Saryang`s literature by Zainichi Korean writers from two angles: first, by investigating why Zainichi Korean writers were continuously reevaluating Kim`s literary works during the post-war period-at a time when their own body of literature had been recognized within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s a minority literature. Second, by researching what importance Zainichi Korean writers placed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aryang`s literary works and the Japanese language. By drawing on these two angles, I will reinterpret the reevaluation process with which Kim`s literature was interpreted by Zainichi Korean writers and Japanese critics in Japan after the post-war period. In the 1970`s, neither South nor North Korean researchers were able to fully reevaluate Kim`s literary works due to their own ideological agendas during the cold war system. However, Zainichi Korean writers who were impartial to the situation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constantly summoned Kim`s literary work, even completing the compilation of his collected works. This clearly suggests a connection between Zainichi Korean writers` effort to revive Kim`s literature and their vocation to establish their own literature as a minority literature, written in Japanese, from within Japan.

      • KCI등재

        ‘재일’의 근거로서의 『화산도』

        곽형덕 ( Kwak Hyoungduck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3

        이 글에서는 한국어로 완역돼 나온 김석범의 『화산도』가 왜 ‘재일’의 근거가 되는 작품인지를 살펴봤다. 이 글에서는 김석범이 조선총련을 떠나 다시 일본어로 창작을 시도하는 1968년부터 한국을 방문하는 1988년까지의 행적을 살펴보며 이를 『화산도』와 연관해 분석했다. 첫째, 김석범의 일본어 창작과 재일조선인문학 비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통해 이 작품이 추구한 보편주의의 의미를 되짚어 보았다. 『화산도』는 상실된 고향과 조국을 배경으로 ‘인간 회복’을 추구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작가가 추구하려 했던 보편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춰서 독해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둘째, 재일조선인이 중심이 돼 만든 잡지 『계간 삼천리(季刊三千里) 』에서의 활동 및 ‘고국행’과 『화산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작가의 체험과 『화산도』와의 관련은 지금까지 1960년대의 김석범과 조선총련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고찰돼 왔는데 이것만으로는 『화산도』를 온전히 이해하기 힘들다. 『화산도』에 드러난 당조직 비판은 김석범이 조선총련을 탈퇴한 1968년 이후의 체험과 밀접히 연관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다케다 세이지가 『’재일’이라는 근거』(1983)에서 『화산도』를 현실적인 ‘재일’ 상황의 부인 내지는 묵살”이라는 식으로 평가한 것을 비판적으로 독해했다. 『화산도』는 김석범이 재일을 살아가기 위해 남도 아니고 북도 아닌 공생적 가치를 추구한 작품으로, 절실한 ‘재일’의 근거라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seeks to investigate Kim Sok-pom`s epic novel Kazanto, written from 1960s to 1990s, in the respect of a foundation of zainichi. Considering that Kim Sok-pom had been at feud with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t was not surprised that he attempted Japanese writing since he withdrawed from the associa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 below two aspects by considering Kazanto. First, what I found most intriguing in Kim Sok-pom`s trajectory in 1970s and 1980s was his Japanese writing and criticism toward Korean Japanese literature in terms of universalism. I suggest that Kazanto should be read in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sm rather than localism or singularity. Second, I analyze connection between Kim Sok-pom’s activities in the magazine Kikan Sanzenri and Kazanto. It is hard to understand Kazanto when one only focuses on feud between the General Association and Kim Sok-pom because it depicts a long-running conflicts between them until 1980s. Criticism against authority in Kazanto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Kim`s experience since Kim he left the General Association in 1968. In the above analyses I re-illuminate Kazanto from criticizing Takeda Seiji`s book ‘ZAINICHI’ AS FOUNDATION. It is not difficult to saa that Kazanto is the foundation of Kim’s being of zainichi because it does not take the side between North and South. Rather Kazanto severally criticizes both sides in terms of restoration of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